$\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패션마케팅 영역에서의 비교문화적 연구의 경향
Cross-Cultural Studies in Fashion Marketing Discipline 원문보기

한국의류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v.30 no.8, 2006년, pp.1312 - 1322  

조윤진 (서울대학교 의류학과) ,  양수진 (서울대학교 의류학과) ,  김은영 (서울대학교 의류학과) ,  추호정 (서울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 recent accelerated globalization has changed every aspect of consumers' life on the globe, thus understanding the similarity and the difference among people in the world became the crucial element of business for many global companies. As one of the most globalized industries in Korea, fashion bu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러한 현 패션산업의 현실을 기반으로 본 연구는 의복의 문화적 접근의 중 요성을 인식하고, 패션마케팅 연구에 있어서 문화의 대응으로서의 비교국가 연구(cross-national study)의현황을 살펴본다는 데서 출발하였다. 그리고 추출된 비교국가 패션마케팅 연구들을 선행연구들이 제시하고 있는 비교문화연구의 기준에 따라 분류해보고 그 연구들이 가지는 방법론적인 접근법의 문제점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 첫째, 국내 패션 마케팅 영역에 있어서의 비교문화적 연구방법을 사용한 연구들을 추출하여 비교문화연구의 유형에 따라 적절하게 유형화한다. 둘째, 분석 대상인 비교문화연구들의 연구 주제와 연구 대상의 문제에 대해 고찰한다. 셋째, 연구방법과 분석의 문제를 고찰한다.
  • 이에 본 연구는 의류학 분야의 국내 대표학회지인 한국의류학회지와 복식지에 창간호부터 2005년도까지 게재된 연구를 대상으로, 패션마케팅 영역에서 발표된 국내의 비교문화연구 현황을 분석하고자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패션마케팅 영역의 비교문화적 소비자 연구가 선행연구에서 논의되었던 비교문화연구의 설계와 분석의 기본적인 틀에 적합하게 이루었는지에 대해 심층적으로 조사하고 비판함으로써 향후 비교문화연구를 수행함에 있어 개선점을 제시하는 데 본 연구의 목표가 있다. 본 연구의 분석 내용은, 비교문화연구들의 연구 대상 문화(국가), 연구의 세부 주제, 그리고 표본, 번역 등의 방법론적 문제점 등을 포함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국내 연구자가 다른 국가에 대하여 연구분석한 논문을 다문화연구로 규정하고, 한국과 다른 국가를 비교하여 연구하고 분석한 경우를 문화비교연구로 규정하여 분류연구를 진행할 수 있는 기준을 마련해 주었다.
  • 위와 같은 비교문화 연구의 의의와 방법론적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의류학 중 패션마케팅 영역에서 지금까지 이루어진 비교문화를 분석하고자 한다. 즉, 패션마케팅 비교문화 연구의 현황을 파악하고 이들 연구에 대한 비판적 분석을 통하여 비교문화 연구를 수행함에 있어 중요시 되는 논점과 이슈들에 대해 논의하고자 하는 것이 이 연구의 목표가 된다.
  • 그리고 글로벌 마케팅의 중요성이 대두되면서, 패션마케팅에서 타국가에 대한 연구와 비교문화 연구가 점점 더 중요해지고 있다. 이러한 현 패션산업의 현실을 기반으로 본 연구는 의복의 문화적 접근의 중 요성을 인식하고, 패션마케팅 연구에 있어서 문화의 대응으로서의 비교국가 연구(cross-national study)의현황을 살펴본다는 데서 출발하였다. 그리고 추출된 비교국가 패션마케팅 연구들을 선행연구들이 제시하고 있는 비교문화연구의 기준에 따라 분류해보고 그 연구들이 가지는 방법론적인 접근법의 문제점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 셋째, 연구방법과 분석의 문제를 고찰한다. 이를 통해 앞으로 비교문화연구에 있어 연구자들이 기본적으로 인식해야 하는 중요한 문제점을 지적해 보고, 향후 비교문화연구의 설계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는 의류학 분야의 국내 대표학회지인 한국의류학회지와 복식지에 창간호부터 2005년도까지 게재된 연구를 대상으로, 패션마케팅 영역에서 발표된 국내의 비교문화연구 현황을 분석하고자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패션마케팅 영역의 비교문화적 소비자 연구가 선행연구에서 논의되었던 비교문화연구의 설계와 분석의 기본적인 틀에 적합하게 이루었는지에 대해 심층적으로 조사하고 비판함으로써 향후 비교문화연구를 수행함에 있어 개선점을 제시하는 데 본 연구의 목표가 있다.
  • 미국의 관점에서 본다면 자문화 중심적 연구(ethnocentric research)는 미국 문화 안에서 개발된 이론을 미국의 연구자가 미국 외의 국가들에서 복제하여 수행한 연구를 의미한다. 즉 어느 하나의 문화 안에서 그 문화 출신의 연구자들에 의해 최초로 설계되고 수행된 연구들을 두 번째 문화에 복제해 봄으로써 최초의 문화에 적용할 수 있는 이론을 다른 문화로 이론의 수정 없이 확장할 수 있느냐에 관한 연구이다. 미국에서 개발된 이론을 타 문화권에서 수정 없이 검증하는 연구일지라도 연구자가 연구 대상 문화권에 속해 있는 경우에는 자문화 중심적 연구로 간주하지 않았는데 그 이유는 연구자가 연구대상 문화의 영향 안에 있으므로 대상문화에 대한 에믹(emic)적인 이해가 내재되어 있다고 볼 수 있기 때문이다.
  • 위와 같은 비교문화 연구의 의의와 방법론적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의류학 중 패션마케팅 영역에서 지금까지 이루어진 비교문화를 분석하고자 한다. 즉, 패션마케팅 비교문화 연구의 현황을 파악하고 이들 연구에 대한 비판적 분석을 통하여 비교문화 연구를 수행함에 있어 중요시 되는 논점과 이슈들에 대해 논의하고자 하는 것이 이 연구의 목표가 된다. 분석의 대상이 된 비교문화연구를 평가하는 데 사용된 기준들은 Adler(1983b)와 Nasif et al.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김미자. (1990). 한국 복식의 30년간 연구동향: 1958-1989. 복식, 15, 55-61 

  2. 김정호. (1999). 90년대(1990-1998) 한국 의류학 연구의 현황 -한국의류학회지와 한국복식학회지를 중심으로-. 복식, 46, 133-142 

  3. 김현식. (2000). 의복과 문화적 접근-질적 연구 방법의 중요성-. 한국의류학회지, 24(4),510-520 

  4. 김효숙. (1991). 의복구성 분야에 관한 연구논문의 현황과 재조명. 건국대학교. 생활문화연구소 연구보고, 14, 103-114 

  5. 나수임, 이정순, 배주형. (2000). 한국 의류학의 연구경향분석(1991-1999). 한국복식문화학회, 8(6), 853-863 

  6. 박혜선. (1996). 선행연구에 나타난 의복소비자 행동변인 및 시장변인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0(6), 1125-1137 

  7. 성화경, 이옥희, 유혜경. (1994). 한국의류학회지에 게재된 논문 및 인용된 참고문헌분석. 한국의류학회지, 18(5), 692-703 

  8. 손미영, 이은영, 김하나. (2004). 패션산업에서 해외 직접투자 -무역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지, 28(9/10), 1341-1350 

  9. 이영혜, 이인자. (1996). 복식사회.심리학분야의 연구경향 분석 (제1보)-1974-1994-. 복식, 30, 19-40 

  10. 유혜경, 이승희. (2004). 한국 패션마케팅 분야의 연구경향과 시사점-2000년까지의 학회지 논문을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지,28(8), 1121-1131 

  11. 이미영, 김태일. (2002). 한국의류학회지에 게재된 설문조사 연구의 방법론적 특성 분석. 한국의류학회지, 26(6),779-789 

  12. 이선재. (1991). 한, 미 대학생 및 교포 대학생간의 의복 태도에 관한 비교연구. 한국의류학회지, 15(2), 173-187 

  13. 이승희, Nancy A. R., & 김재숙. (2001). 바디이미지 연구 (제1보)-한.미 여성의 이상적 미, 바디이미지와 외모행동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5(5), 969-980 

  14. 이옥희, 김용숙. (2002). 중국여대생들의 의복관여수준에 따른 소비자 특성 및 의복구매행동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6(2), 205-215 

  15. 이인자. (2000). 최근 의류학 관련 연구 추이. 생활문화.예술 논집, 23, 29-38 

  16. 정찬진, 박선정, 황선진. (1991). 한국의류학연구의 현황과 재조명: 1959-1990. 한국의류학회지, 15(1), 28-37 

  17. 지혜경. (2002). 한국 의류무역의 변화 추이 및 구조적 특성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18. 한국섬유산업연합회. (2003). 섬유연감 2003. 서울: 정문사 

  19. Adler, N. (1983a). Cross-cultural management research: The ostrich and the trend.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2, 226-232 

  20. Adler, N. (1983b). A typology of management studies involving culture. Journal of International Business Studies, 14(2), 29-47 

  21. Berry, J. M. & Dasen, P. (1974). Introduction to culture and cognition. London: Methuen 

  22. Douglas. S. P. & Craig. C. S. (1997). The changing dynamic of consumer behavior: Implications for cross-cultural research. International Journal of Research in Marketing, 14, 379-395 

  23. Green, R. & White, P. D. (1976). Methodological consideration in cross-national consumer behavior. Journal of International Business Studies, 7(2), 81-87 

  24. Hofstede. G. (1983). The cultural relativity of organizational practices and theories. Journal of International Business Studies, 14(2), 75-89 

  25. Lerman, D. & Callow, M. (2004). Content analysis in cross-cultural advertising research: Insightful or superficial?. International Journal of Advertising, 23, 507-521 

  26. Levitt, T. (1983). The globalization of markets. Harvard Business Review, 61(3), 92-102 

  27. Nasif, E. G., Al-daeaj, H., Ebrabimi, B., & Thibodeaux, M. S. (1991). Methodological problems in cross-cultural research: An updated review. Management International Review, 31, 79-91 

  28. Peng, T. K., Peterson, Mark F., & Shyi, Y. (1991). Quantitative methods in cross-national management research: Trends and equivalence issues.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12, 87-107 

  29. Zaichkowsky, J. L. & Sood, J. H. (1988). A global look at consumer involvement and use of products. International Marketing Review, 6(1), 20-3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