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모노크롬 회화를 응용한 현대 패션 디자인 연구 -1970년대 한국 모노크롬 회화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Modern Fashion Design Application of the Monochrome Painting -Focused upon Korean Monochrome Painting in 1970s- 원문보기

服飾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v.56 no.5 = no.104, 2006년, pp.1 - 12  

간호섭 (홍익대학교 섬유미술.패션디자인과) ,  조은주 (울산대학교 의류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result of the examination about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e monochrome was influenced by the minimalism and modernism, and consequently the abstract expressionism which is the main trend of the modern painting was formed basing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작품들은 1970년대 한국 모노크롬회화의 미적 특성들을 연구하여 현대패션에 응용함으로써 시대사조와 인간내면의 욕구를 반영하는 예술의 한가지인 패션디자인에 모노크롬 회화의 미적 특성을 투영시 키고자 하는 것이 본 작품들의 목적이다. 1970년대 한국 모노크롬회화의 미적 특성을 살리기 위하여 그 시대 회화작품들의 미적 아름다움과 단순하고 자연 적인 형태나 색채의 미를 최대한 응용하고자 한다. 신체미, 자연미, 단순미, 전통미, 전체미 등의 5가지 미적 특성들을 중심으로 다양한 소재와 기법들을 의상에 표현하고자 하였다.
  • 아이템은 원피스, 베스트 등의 기본적인 아이템을 응용하여 H, A 라인의 직선적이고 단순한 실루엣을 사용하고 소재는 노방, 쉬폰, 실크, 모직. 면직, 가죽, 토끼털 등의 다양한 소재의 사용으로 전통적인 감각과 현대적인 감각을 조화시켜 재해석하고자 한다. 색상에 있어서는 모노크롬 회화에서 나타나는 주조색인 백색을 기본으로 회색, 아이보리, 베이지, 청색, 흑색 등의 무채색에 가까운 색상들을 사용하였다.
  • 본 논문은 모노크롬 회화의 미술사적 배경과 특징에 대한 일반적인 고찰을 통하여 모노크롬 회화의 개념을 파악하고 1970년대 한국 모노크롬 회화의 특성들을 살펴보고 현대 패션에 어떻게 반영되었고 이로 인해 모노크롬 회화의 미적인 특성들을 파악하였다. 이를 토대로 의상으로의 접목을 시도하여 현대의 패션 감각으로 6작품을 제작하였다.
  • 위와 같은 맥락에서 서구 미술에서 영향을 받았지만 독자적인 한국적 표현과 정체성을 보여준 1970년대 한국 모노크롬 회화는 이러한 현대의 예술적 요구를 잘 나타내고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한국의 모노크롬 회화에서 나타나는 미적 특성을 알아보고 이를 현대 패션과 접목시키는데 의의를 두고자 한다.
  • 모노크롬 회화는 서구의 미니멀리즘과 모더니즘에서 영향을 받아 현대 패션의 많은 개념적인 부분에 영향을 주고 있으며 특히 1970년대 한국 모노크롬 회화는 서구의 모노크롬 회화에서 그 뿌리를 가지고 있으면서도 한국적인 정체성을 개념적으로 새롭게 받아들임으로써 변화를 받아들임에 있어서의 모범적인 재해석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모노크롬 회화를 패션에 투영시키는 작업으로 모노크롬 회화의 특성을 현대 패션에서 새롭게 재해석하고자 했으며 이러한 시도가 이후 모노크롬 회화의 예술성을 확장시키고 현대 패션이 발전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모노크롬 회화의 미술사적 배경과 특징에 대한 일반적인 고찰을 통하여 모노크롬 회화의 개념을 파악하고 나아가 서구의 모더니즘이나 미니멀리즘적 속성을 지니면서도 한국적 정체성을 뚜렷이 나타내는 1970년대 한국 모노크롬회화를 살펴보면서 이에 나타난 특성들을 연구하여 현대패션 에 응용함으로써 시대사조와 인간내면의 욕구를 반영하는 예술의 한가지인 패션디자인에 모노크롬 회화의 미적 특성을 투영시키고자 하는 것이 본 논문의 목적이다.
  • 본 작품들은 1970년대 한국 모노크롬회화의 미적 특성들을 연구하여 현대패션에 응용함으로써 시대사조와 인간내면의 욕구를 반영하는 예술의 한가지인 패션디자인에 모노크롬 회화의 미적 특성을 투영시 키고자 하는 것이 본 작품들의 목적이다. 1970년대 한국 모노크롬회화의 미적 특성을 살리기 위하여 그 시대 회화작품들의 미적 아름다움과 단순하고 자연 적인 형태나 색채의 미를 최대한 응용하고자 한다.
  • 1970년대 한국 모노크롬회화의 미적 특성을 살리기 위하여 그 시대 회화작품들의 미적 아름다움과 단순하고 자연 적인 형태나 색채의 미를 최대한 응용하고자 한다. 신체미, 자연미, 단순미, 전통미, 전체미 등의 5가지 미적 특성들을 중심으로 다양한 소재와 기법들을 의상에 표현하고자 하였다.
  • 우리나라 작가들의 환원과정에서 보이는 특징은 '지움과 반복'으로 환원을 통해 평면으로 의 회귀를 시도하면서 회화의 순수성을 비롯한 초월적이고 무한한 범자연의 세계를 얻고자 했다.
  • 여기서는 지금까지의 탐색과정을 바탕으로 1970년대 모노크롬 회화를 현대 패션으로 표현함에 있어 나타나는 특성을 형식미학적 관점에서 시각적인 표현요소들을 기준으로 신체미, 단순미, 자연미, 전통미, 전체미 등의 5가지 미적 특성으로 분류하였다. 위의 미적 특성이 현대 패션에서는 어떠한 형태로 응용되어 표현되는지 분석하고자 한다.
  • 이상 전체적인 작품의 표현방법을 살펴보았고 작품별 다양한 기법 및 전개는 개별 설명에서 하고자 한다
  • 지금까지 모노크롬 회화의 정의, 구조적 개념 및 미술사적 배경과 그리고 1970년대 한국 모노크롬 회화만이 가지고 있는 고유의 특성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여기서는 지금까지의 탐색과정을 바탕으로 1970년대 모노크롬 회화를 현대 패션으로 표현함에 있어 나타나는 특성을 형식미학적 관점에서 시각적인 표현요소들을 기준으로 신체미, 단순미, 자연미, 전통미, 전체미 등의 5가지 미적 특성으로 분류하였다.

가설 설정

  • 한국 모노크롬회화가 모더니즘과 직접 연관을 가지며 현대미술과 유사한 부분이 있다면 그것은 미 적인 자율성, 순수화의 의지. 평면성의 확대 등일 것이다. 그러나 한국 모노크롬회화가 갖는 독자성과 방법적 특성을 보면, 평면성, 탈이미지, 단색조라는 모노크롬회화의 일반적 특성<그림 3>이면에 앵포르 멜이 가졌던 물적 체험, 기하학적 또는 개념적 작업에서 얻은 미술을 사유의 대상으로 바라보는 태도, 그리고 새로운 방법적 모색에 의한 이미지의 추구라고 할 수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두산세계대백과사전 En Cyber. 2003. 6. 28. www.naver.com 

  2. 클레멘트 그런버그(Klement Greenberg), 김광명(1979). Modernist painting. 現代美術批評30선. 중앙일보사, p.67 

  3. 임영방(1979). 현대미술의 이해. 서울대출판부. p.32 

  4. 서성록(1994). 한국의 현대미술. 서울: 문예출판사. p.186 

  5. 윤진섭(2000). 한국 모더니즘 미술 연구. 서울: 도서출판 재원. pp.13-15 

  6. 윤진섭 (2000). 한국 모더니즘 미술 연구. 서울: 도서출판 재원. p.132 

  7. 장원양(1997). 70년대 한국 모노크롬 회화의 특성과 표현방법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p.36 

  8. 서성록(2000). 앵포르멜에서 단색화까지 박서보. 서울: 도서출판 재원. pp.80-81 

  9. 장원양(1997). 70년대 한국 모노크롬 회화의 특성과 표현방법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36-38 

  10. 이일(1975). 백색은 생각한다. 한국 5인의 작가-다섯가지 흰색전 카달로그 서문, 동경화랑 

  11. 장원양(1997). 70년대 한국 모노크롬 회화의 특성과 표현방법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pp.40-42 

  12. 자료출처: http://www.firstview.com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