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급성 심근 경색 후 협심증 환자에서의 관상동맥 우회술 후 좌심실 수축 기능의 호전
Left Ventricular Systolic Function Improvement after Surgical Revascularization in Postinfarction Angina 원문보기

大韓胸部外科學會誌 = The Korean journal of thoracic and cardiovascular surgery, v.39 no.9 = no.266, 2006년, pp.674 - 680  

이기종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흉부외과학교실) ,  박성용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흉부외과학교실) ,  홍유선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흉부외과학교실) ,  유경종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흉부외과학교실) ,  장병철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흉부외과학교실) ,  임상현 (아주대학교 의과대학 흉부외과학교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배경: 급성 심근경색증은 치사율이 높은 질환으로 일부 환자들에 있어서 수술은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연구에서는 급성 심근 경색증 후 협심증으로 수술을 시행 받은 환자들에서 심근벽 운동지수와 좌심실 박출계수의 변화를 통하여 수술 후 좌심실 수축력 변화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1년 1월부터 2004년 12월까지 급성 심근 경색증을 진단 받고 2주 이내에 수술한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수술 전과 수술 후의 심근벽 운동지수와 좌심실 박출계수를 비교하였으며 이에 관련된 인자들을 조사하였다. 결과: 심근벽 운동지수는 $1.54{\pm}4.30$에서 수술 후 $1.43{\pm}0.40$ (p<0.001)으로 감소되었고, 좌심실 박출계수는 $48.1{\pm}12.2%$에서 $49.7{\pm}12.3%$ (p=0.009)로 호전되었다. 무심폐기하 관상동맥수술, 비 Q파 경색, 전벽(anterior) 경색과 경색 후 7일 이내 수술한 경우는 좌심실 박출계수 호전에 관계된 인자였다(p=0.046, p=0.006, p=0.003, p=0.005). 반면에 상기 인자들은 심근벽 운동지수의 호전과는 관계가 없었다. 삼혈관질환을 가진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였을 때, 완전 재관류는 심근벽 운동지수 향상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였다(p<0.001). 결론: 급성 심근경색증 환자들에 있어서 관상동맥 우회술은 심근벽 운동지수와 좌심실 박출계수의 호전을 가져오며 이는 좌심실 수축기능 호전의 근거로 설명될 수 있다. 특히 비 Q파 전벽성(anterior) 경색인 경우 7일 이내의 조기 수술은 좌심실 박출계수를 호전시키는 데 도움을 줄 것으로 생각되며, 완전 재관류는 심근벽 운동지수의 향상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ackground: Acute myocardial infarction (MI) is a life-threatening disease and surgical revascularization plays a major role in selected cas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left ventricular contractility improvement by examining the wall motion score index (WMSI) and left ventricula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심근벽 운동지수(wall motion score index)와 좌심실 빅출 계수(left ventricular ejection fraction, LVEF, %)는 급성 심 근 경색증 환자의 예후와 관련하여 중요한 인자로 보고된 바 있다 [5]. 본연구에서는 급성 심근경색증 환자에서 시행한 관상동맥우회술 후에 좌심실수축기 기능의 호전여 부를 심근벽 운동지수와 좌심실 박출계수의 변화를 통하여 알아보고 이에 관여하는 인자들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American Heart Association. 2005 Heart and stroke statistics. Available at: http://americanheart.org/statistics. Accessed March 10, 2006 

  2. Antman EM, Smith SC, Alpert JS, et al. ACC/AHA guidelines for the management of patients with ST-elevation myocardial infarction-executive summary. J Am Coll Cardiol 2004;44:671-719 

  3. Albes JM, Gross M, Franke U, Wippermann J, Vollandt R, Wahlers T. Revascularization during acute myocardial infarction: risks and benefits revisited. Ann Thorac Surg 2002; 74:102-8 

  4. Hochmann JS, Sleeper LA, White HD, et al. One-year survival following early revascularization for cardiogenic shock. JAMA 2001;285:190-2 

  5. Moller JE, Hillis GS, Oh JK, et al. Wall motion score index and ejection fraction for risk stratification after acute myocardial infarction. Am Heart J 2006;151:419-25 

  6. Segar D, Brown S, Sawada S, et al. Dobutamine stress echocardiography: correlation with coronary lesion severity as determined by quantitative angiography. J Am Coll Cardiol 1992;19:1197-20 

  7. Vander TJ, Kip KE, Jones RH, et al. What constitutes optimal surgical revascularization? Answers from the bypass angioplasty revascularization investigation (BARI). J Am Coll Cardiol 2002;39:565-72 

  8. Hirose H, Amano A, Yoshida S, Nagao T, Sunami H, Nagano N. Surgical management of unstable patients in the evolving phase of acute myocardial infarction. Ann Thorac Surg 2000;69:425-8 

  9. Locker C, Shapira I, Paz Y, Kramer A, Gurevitch J, Mohr PR. Emergency myocardial revascularization for acute myocardial infarction: survival benefits of avoiding cardiopulmonary bypass. Eur J Cardiothorac Surg 2000;17:234-8 

  10. Lee DC, Oz MC, Weinberg AD, et al. Appropriate timing of surgical intervention after transmural acute myocardial infarction. J Thorac Cardiovasc Surg 2003;125:115-20 

  11. Lee DC, Oz MC, Weinberg AD, et al. Optimal timing of revascularization: transmural versus nontransmural acute myocardial infarction. Ann Thorac Surg 2001;71:1198-204 

  12. Choi JB, Lee MK, Choi SH. Long-term survival after CABG in patients with abnormal LV wall motion after MI. Korean J Thorac Cardiovasc Surg 2005;38:685-92 

  13. Lucchettia V, Capassoa F, Caputob M, et al. Intracoronary shunt prevents left ventricular function impairment during beating heart coronary revascularization. Eur J Cardiothorac Surg 1999;15:255-9 

  14. Dawson JT, Hall RJ, Hallman GL, et al. Mortality in patients undergoing coronary artery bypass surgery after myocardial infarction. Am J Cardiol 1974;33:483-6 

  15. Locker C, Mohr R, Paz Y, Kramer A, Pevni D, Shapira I. Myocardial revascularization for acute myocardial infarction: benefits and drawbacks of avoiding cardiopulmonary bypass. Ann Thorac Surg 2003;76:771-7 

  16. Meharwal ZS, Mishra YK, Kohli V, Bapna R, Singh S, Trehan N. Off-pump multivessel coronary artery surgery in high-risk patients. Ann Thorac 2002;74:S1353-7 

  17. Kerendi F, Puskas JD, Craver JM, Cooper WA, Guyton RA. Emergency coronary artery bypass grafting can be performed safely without cardiopulmonary bypass in selected patients. Ann Thorac Surg 2005;79:801-6 

  18. Vlassov GP, Deyneka CS, Travine NO, Timerbaev VH, Ermolov AS. Acute myocardial infarction: OPCAB is an alternative approach for treatment. The Heart Surg Forum 2001;4:147-51 

  19. Stamou SC, Jablonski KA, Hill PC, Bafi AS, Boyce SW, Corso PJ. Coronary revascularization without cardiopulmonary bypass versus conventional approach in high-risk patients. Ann Thorac Surg 2005;79:552-7 

  20. Jasinski MJ, Wos S, Olszowka P, et al. Primary OPCAB as a strategy for acute coronary syndrome and acute myocardial infarction. Heart Surg Forum 2003;6:331-5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