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음주행태와 음주운전에 관한 관련성 분석
Relationship between Drinking Behavior and Drinking Drive among Koreans 원문보기

保健敎育健康增進學會誌 =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v.23 no.1, 2006년, pp.45 - 61  

박영미 (인제대학교 보건대학원) ,  김광기 (인제대학교 보건대학원) ,  김현숙 (신흥대학 간호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Drinking drive is a nationally recognized social problem. This research aimed to describe the relationship between drinking behavior and drinking drive based on the social demographic characteristics. Methods: This paper used secondary data for analyses which was derived from the national...

주제어

참고문헌 (31)

  1. 김광기. 알코올 소비양태 및 음주운전관련문제. 건전한 음주문화 조성을 위한 심포지엄 연제집. 인제대학교 보건대학원. 1997;1-44 

  2. 김광기, 김상덕, 김공현. 고등학생의 음주행동과 관련요인. 보건과 사회과학 2003;14:291-317 

  3. 김광기. 참여청부의 음주운전 단속. 한겨례신문, 2003.5.24 

  4. 김미혜. 농촌주민의 적정음주 습관형성을 위한 보건교육 전략에 관한 연구. 대한보건협회. 보건학 종합학술대회, 2002 

  5. 김성호. 음주운전과 그 대책. 동아법학.1997;175-192 

  6. 김통원. 도시직장인의 음주 및 음주운전에 관한 실태조사. 한국가족복지학 2001;7:35-57 

  7. 노인철, 서문희, 김영래. 음주경제사회적 비용과 정책과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정책보고서, 1997(5) 

  8. 박선영, 음주운전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적사회적요인에 관한 연구. 교통안전공단, 2002 

  9. 박은경. 음주운전 수강명령 대상자들의 변화 동기와 변화전략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2 

  10. 서문희. 음주운전 실태와 개선방안. 한국보건사회 연구원 보건복지포럼, 1998;17:57 

  11. 신명식. 문제음주형태 관련요인 분석 [석사학위논문].부산 :인제대학교 보건대학원, 2002 

  12. 이원영. 음주운전 추방을 위한 우려의 과제, 도로교통안전협회 주관, 음주운전 추방을 위한 세미나, 1998.9.3 

  13. 이원재. 대학생의 음주양태 보건과 사회과학 2001;10:79-95 

  14. 이원재. 음주감소를 위한 정책 방안. 한국보건사회교육학회지 1996;13(2) :97-114 

  15. 전준희, 임달오. 한국인의 알코올과 관련된 사망력 분석. 한국보건통계학회지 1998;23(1):109-123 

  16. 조성기. 미국의 음주문화와 음주문제 대책 한국음주문화 연구센타, www.kodcar.or.kr 

  17. 제갈정. 한국인의 음주실태. 한국음주문화연구센터 연구보고서, 2001 

  18. 채규만. 류명은. 성격, 인지, 사회적환경 및 음주행동과 음주운전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2002;21(4):763-789 

  19. 우리나라의 음주문화와 알코올 문제. 주류소비자 보호사업.www.kalia.or.kr 

  20. 도로교통안전관리공단. 2002년도 교통사고통계분석.2003 

  21. 통계청. 한국의 사회지표. 2003www.nos.go.kr 

  22. Chen LH, Baker SP, Braver ER, Li G. Carrying passengers as a risk factor for crashes fatal to 16- and 17-year-old drivers. JAMA 2000;283(12):1578 -1582 

  23. Holder HD et al. Effect of community-based interventions on high-risk drinking and alcohol-related injuries. JAMA 2000;284(18):2341-2347 

  24. Ruhm CJ. Alcohol policies md highway vehicle fatalities. J Health Econ, 1996;5(4):435-454 

  25. Vollrath M, Meilinger T, Kruger HP. How the presence of passengers influences the risk of a collision with another vehicle. Accid Anal Prev. 2000;34(5);649-654 

  26. Wagenaar AC et al. Communities mobilizing for change on alcohol: outcomes from a randomized community trial. J Stud Alcohol 2000;61(1);85-94 

  27. Wagenaar AC, Murray DM, Toomey TL. Communities mobilizing for change on alcohol( CMCA): effects of a randomized trial on arrests and traffic crashes. Addictiοn 2000;95(2);209-217 

  28. Wechsler H, Lee JE, Nelson TF, Lee H. Drinking and driving among college students: the influence of alcohol-control policies. Am J Prey Med 2003;25(3);212-218 

  29. Williams AF. Barriers and opportunities in reducing motor vehicle Injuries. Inj Prev 2001;7(2);83-84 

  30. Williams AF. Views of US drivers about driving safety. J Safety Res 2003;34(5);491-494 

  31. Williams AF. Paek NN. Lund AK. Factors that drivers say motivate safe driving practices. Journal of Safety Research 1995;26;19-12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