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뒷채움재로 이용한 고로 수쇄슬래그의 토압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A Study on Earth Pressure Properties of Granulated Blast Furnace Slag Used as Back-fill Material 원문보기

韓國地盤工學會論文集 = Journal of the Korean geotechnical society, v.22 no.8, 2006년, pp.119 - 127  

백원진 (일본 야마구치대학 공학부 사회건설공학과) ,  이강일 (대진대학교 공과대학 건설시스템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고로 수쇄슬래그는 선철의 제철과정에서 생산되는 부산물로서 자연 해성모래와 유사한 입자형상을 가지고 경량이며 큰 전단강도와 투수성을 나타낸다. 특히, 고로 수쇄슬래그는 시간경과와 더불어 경화하는 잠재수경성을 가진다. 따라서 고로 수쇄슬래그가 안벽이나 옹벽의 뒷채움 재료로 사용 되어졌을 때, 경화에 의한 전단강도의 증가로 토압감소가 기대되며, 결과적으로 항만구조물의 건설비용이 감소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모형토조를 이용하여 고로 수쇄슬래그와 Toyoura sand에 대해 토압, 벽 마찰력, 가동벽체 표면에서의 토압분포를 측정하는 모형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에서 상대밀도는 25%, 55% 및 70%로 설정하였으며 벽체는 저점을 중심으로 주동 및 수동토압측으로 회전시켰다. 벽체 상부에서의 최대 수평변위는 ${\pm}2mm$로 설정하였다. 모형실험 결과, 고로 수쇄슬래그에서 얻어진 주동토압이 Toyoura sand보다 작음을 알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Granulated Blast Furnace Slag (GBFS) is produced in the manufacture process of pig-iron and shows a similar particle formation to that of natural sea sand and also shows light weight, high shear strength, well permeability, and especially has a latent hydraulic property by which GBFS is solidified w...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고로 수 쇄 슬래그를 옹벽이나 안벽의 뒷 채움재로 사용하였을 때의 토압 경감효과를 명확히 하기 위하여 모형토조를 이용한 정적.지진 시 및 습윤상태에 대한 토압 모형실험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일본의 표준 사인 Toyoura sand와 비교.
  • 본 연구에서는 미 경화 상태의 고로 수 쇄 슬래그와 일본의 표준모래인 Toyoura sand에 대해 정적 및 지진 시 의 토압 및 습윤상태에서의 정적토압과 벽체 변위의 관계를 명확히 밝히고자 한다. 이를 위해 실험으로 정적 및 지진 시의 주동토압을 측정하기 위해 저점을 힌지로 한 벽체의 상부를 주동 및 수동 측으로 ±2mm 변위 시의 토압 및 벽면 마찰력의 변화를 4회 반복하여 측정하였다(-부호가 주동, +부호가 수동 측).
  • 또한, 수동 측의 토압은 변위 사이클의 증가와 더불어 증가함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토압 계 용량의 제한으로 극한 상태에 도달한 후의 수동토압은 계측이 불가능하였으나 수동 측으로 변위를 증가 시 키면 일정한 값의 수동토압이 얻어지리라 판단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반봉찬 (1996), '제철.제강 슬래그의 발생과 그 이용', 폐기물, 중앙환경신문사, 39권(96. 4), pp.36-41 

  2. 이광찬, 이문수 (1999), '재활용을 위한 전로슬래그의 투수성 고찰(1)', 한국지반공학회 논문집, 제15권, 제4호, pp.65-84 

  3. 유남재, 박병수, 정길수, 고경환, 김지성 (2005), '슬래그 다짐말뚝으로 개량된 복합지반의 지지력 및 파괴메카니즘에 관한 원심 모형실험', 한국지반공학회 논문집, 제21권, 제1호, pp.59-67 

  4. 천병식, 정헌철 (2002), '모래다짐말뚝의 모래대체재로서 동슬래그의 활용', 한국지반공학회 논문집, 제18권, 제5호, pp.195-207 

  5. 大原資生, 松田博 (1985), '岸壁に作用する地震時土の計算', 日本上木??論文集, 第358?, III-3, pp.103-111 

  6. 白元珍, 松田博, 篠崎晴彦, 近藤政彦, 小島磨 (2005), '未硬化高?水スラグの的および地震時土?', 日本上木??第60回年次 ?術講?論文集, pp.141-142 

  7. 白元珍, 松田博, 篠崎晴彦, 近藤政彦, 橋口大輔, 濱田ゆから, 小島磨 (2006), '震め村料として用いた高?水スラグの土特性について', 第41回地盤工??究癸表?講槪要集, pp.573-574 

  8. 佐藤勝久, 神手勉, 佐藤峰未 (1978), '?在水硬性材料の空港?路盤としての評?', 第13回 土算工??究癸表?講槪要集, pp.1341-1344 

  9. 松田博, ?山尙義, 安藤義樹 中野恭夫 (2000), '地盤工?において用いられる水?スラグの特性', 土と基礎, Vol.48, No.6, pp.22-24 

  10. 日本銖鋼スラグ協? (2004), '銖鋼スラグ統計年報', http://www.slg/statistics-e.htm 

  11. (財)沿岸開癸技術センタ-, 銖鋼スラグ協?. (1989), '港灣工事用水?スラグ'利用手引書' 

  12. Matsuda, H., Kitayama, N., Shinozaki, H. and Takamiya, K. (2003a), 'Application of granulated blast furnace slag in the sand compaction pile method', Proceedings of the international conference organized by British Geotechnical Association and held in Dundee, pp.593-601 

  13. Matsuda, H., Ohira, N., Takamiya, K., Shinozaki, H., Kitayama, N. and Murakami, M. (2003b), 'Application of granulated blast furnace slag to light weight embankment', Proceedings of the international conference organized by British Geotechnical Association and held in Dundee, pp.603-611 

  14. Mononobe, O. (1952), 'Earthquake resistant design of civil engineering structures', Riko, Reserved Edition 

  15. Okabe, S. (1924), 'General theory on earthquake and seismic stability of retaining walls and dams', Journal of the Jap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Vo1.10, pp.1277-1327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