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호남 지방의 국지적 강설 분포와 그 차이의 원인에 관한 연구
The Spatial Distribution of Snowfall and its Development Mechanism over the Honam Area 원문보기

대한지리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v.41 no.4 = no.115, 2006년, pp.457 - 469  

이승호 (건국대학교 지리학과) ,  이경미 (건국대학교 지리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호남 지방의 15개 기상 관측소의 일강설량을 분석하여 강설의 분포 특성과 지역별 강설 분포 차이의 원인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호남 지방의 강설 분포와 강설 발생 패턴은 지역별로 다양하다. 강설의 발생 패턴에 따라 호남 지방의 강설 지역을 내륙 북부 다설 지역(전주, 임실, 남원), 내륙 남부 다설 지역(광주. 순천), 산간 다설 지역(장수), 남해안 과설 지역(고흥, 여수), 서해안 다설 지역(군산, 부안, 정읍), 남서해안 다설 지역(목포, 해남), 남서해안 소설 지역(장흥, 완도)으로 구분할 수 있다. 서해안 다설 지역과 남서해안 다설 지역은 시베리아 고기압 확장 시 해양의 영향으로 강설이 발생한다. 반면 내륙 북부 다설 지역과 내륙 남부다설 지역은 시베리아 고기압의 세력이 강하여 그 영향력이 내륙까지 미쳤을 때 강설이 발생한다. 이때 내륙 북부 다설 지역의 남원, 임실 등은 노령산맥 줄기의 북사면에 위치하여 지형에 의한 공기의 강제 상승으로 인하여 강설이 많다. 산간 다설 지역은 해발 고도가 가장 높은 산지 지역으로 지형성 강설이 발생하며, 남해안 과설 지역은 주로 남해안에 저기압이 통과할 경우 강설이 발생하나 그 빈도가 매우 낮다. 남서해안 소설 지역은 남서해안 다설 지역에 비해 서해로부터 떨어져 있어 시베리아 고기압에 의한 강설이 상대적으로 적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spatial distribution of snowfall and to analyze its development mechanism in Honam province in Korea. The areas of snowfall in Honan area can be divided into the seven sub-area by snowfall pattern. In the west coastal area of heavy snowfall and t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천재 호, 2003)는 주로 강설 지역 구분 시 여러 대설 지역 중의 하나로써 연구되거나 강설의 분포에 초점을 두고 있기 때문에 호남 지방 강설 발생 기구에 대한 정량적인 연구는 부진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호남 지방 강설의 분포 패턴에 대하여 파악하고, 호남 지방 내의 강설 발생 차이를 가져오는 원인을 밝히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호남 지방의 15개 기상 관측소의 일 신적설량을 분석하여 강설의 국지적인 분포 특성과 그 차이의 원인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강설일수 및 강설량의 분포와 해수면 온도와 상층 기온의 차, 상층 및 지상 풍속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 상층 평균 풍속은 광주의 850hPa 고도 면의 09시와 21시의 풍속을 평균한 값을 사용하였다. 호남 지방의 강설 발생 차이에 대한 지상 바람의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서 지상풍 속에 따른 강설량 분포 특성을 파악하였다. 관측 지점별 지상의 평균 풍속 이상일 때의 강설량과 평균 풍속 이하일 때의 강설량의 평균을 구하여 그 차이를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곽병철.윤일희, 2000, '1997년 1월 5-7일에 발생한 동해안 대설에 관한 지역별 종관 특성,' 한국지구과학회지, 21(3), 258-275 

  2. 문길태.김홍진, 1982, '1981년 1월 14일-16일 사이의 저기압에 동반된 대설의 특성연구,' 한국기상학회지, 18(1), 22-32 

  3. 문영수, 1990, '클러스터분석에 의한 한국의 강수지역 구분,' 한국기상학회지, 26(4), 203-215 

  4. 박병익.윤석은, 1997, '한국의 동계 강수 분포에 관한 종관기후학적 연구,' 대한지리학회, 32(1), 31-46 

  5. 박용대.성학중.박종탁, 1979, '영동고속도로 기상특성,' 기상연구소, MR-79-7, 79-88 

  6. 서은경.전종갑, 1991, '1990년 1월 29일-2월 1일 한반도에서 발생한 대설에 관한 연구,' 한국기상학회지, 27(2), 165-179 

  7. 송병헌, 1993, 우리나라 동해안 지역과 서해안 지역의 강설 특성 비교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이병설, 1979, '남한의 강설분포에 관한 연구,' 지리학과 지리교육, 9, 224-235 

  9. 이승호, 1995, '한반도 주변의 기압배치형에 의한 한국의 자연계절 구분,' 지리학연구, 26, 65-78 

  10. 이승호.천재호, 2003, '시배리아 고기압 확장시 호남 지방의 강설 분포 -노령산맥 서사면 지역을 중심으로-,' 대한지리학회지, 38(2), 173-183 

  11. 이재규, 1999, '대관령과 강릉 지역의 강설량 차이를 일으키는 종관 구조: 사례 연구,' 한국기상학회지, 35(3), 320-334 

  12. 이재규, 2001, '영동해안 대설사례의 수치모의 연구, 한국기상학회지,' 37(1), 1-12 

  13. 이훈.이태영, 1994, '영동 지역의 폭설 요인,' 한국기상학회지, 30(2), 197-218 

  14. 정관영.정영선.황병준, 1999, '주성분 분석을 이용한 한반도 강설 지역 구분,' 한국기상학회지, 35(3), 466-473 

  15. 정영근, 1999, '호남지방 대설 발생의 종관환경,' 한국지구과학회지, 20(4), 398-410 

  16. 최진식, 1985, '동해와 그 연해안 대설의 기후학적 연구,' 지리학, 31, 68-85 

  17. 최진식, 1990, '남한의 강설지역구분과 강설의 지역적 특성,' 지리학, 41, 35-48 

  18. 허진석, 1994, 겨울철 한반도 서해안 지역 강설의 분석과 수치 시뮬레이션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Anderson, T. and S. Nilson, 1990, Topographically induced convective snowbands over the Baltic Sea and their precipitation distribution, Weather and Forecasting, 5, 299-312 

  20. Braham, R. R. and M. J. Dungey, 1984, Quantitative estimates of the effect of Lake Michigan on snowfall, J. Clim. Appl. Meteor., 23(6), 940-949 

  21. Changnon, S. A., 1979, How a severe winter impacts on individuals, Bull. Amer. Meteor. Soc., 50, 110-114 

  22. Hartley, S. and M. J. Keables, 1998, Synoptic associations of winter climate and snowfall variability in New England, USA, 1950-1992, Int. J. Climatol., 18, 281-298 

  23. Schmidlin, T. W., 1993, Impacts of severe winter weather during December 1989 in the Lake Erie snowbelt, J. Climate, 6, 759-767 

  24. Strommen, N, D. and J. R. Harman, 1978, Seasonally changing prtterns of Lake-Effect snowfall in western lower Michigan, Mon. Wea. Rev., 106, 503-50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