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섬시호(Bupleurum latissimum Nakai) 개체군의 생태
Ecology of Bupleurum latissimum Population 원문보기

環境復元綠化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v.9 no.6, 2006년, pp.78 - 85  

김무열 (전북대학교 생물과학부) ,  소순구 (전북대학교 생물과학부) ,  박혜림 (국립공원관리공단 월출산사무소) ,  서은경 (국립공원관리공단 덕유산사무소) ,  권혜진 (충남대학교 환경임산자원학부) ,  송호경 (충남대학교 환경임산자원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to analyze vegetation and soil characteristic, and ordination of Bupleurum latissimum community located in Seo-Myun, Isl. Ulleungdo. The Bupleurum latissimum community was classified into Physocarpus insularis subcommunity and Artemisia stolonifera subcommunity, and there was Artemis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최근 필자들은 울릉도 서면에서 섬시호 자생지를 새로 발견하고, 섬시호 자생지의 식생과 토양 환경을 조사하여 장기적인 보전전략 및 복원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하려고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섬시호란? 1. A)는 높이가 70~130cm이고 광난형인 근생엽과 이저인 경생엽을 가진 상록성의 다년초로 세계적으로 울릉도에 한정 분포하는 한국특산식물이며(김무열, 2004), 환경부가 지정한 멸종위기식물 II급에 속하는 식물이다. 섬시호에 관한 연구는 Nakai(1917)가 신종으로 발표한 이후 섬시호 재료를 확보하지 못해 그동안 이루어지지 못하다가, 최근 안진갑(2004)이 섬시호에 대한 화분 및 세포학적인 연구를 실시한 바 있다.
시호속의 특징은? )은 산형과(Umbelliferae) 중에서 가장 큰 속 중에 하나이며 주로 유라시아에 150여종 이상이 분포한다(Neves and Watson, 2004). 시호속은 단엽이고 거치가 없으며 엽맥이 평행맥인 특징에 의해 다른 속들과 구별된다. 한국에는 시호, 개시호, 등대시호, 섬시호, 참시호 5분류군이 분포한다(이창복, 1980; 2003).
울릉도 서면지역에 분포하는 섬시호군락에 대한 식생과 토양 및 ordination을 분석한 결과는? 울릉도 서면지역에 분포하는 섬시호군락에 대한 식생과 토양 및 ordination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섬시호군락은 섬국수나무 하위군락과 넓은잎외잎쑥 하위군락으로 분류되었으며, 섬시호군락 중 파괴된 입지에 넓은잎외잎쑥 하위군락이 출현하고 있다. 섬시호군락의 입지는 유기물함량 19.0~25.6%, 전질소함량 0.67~0.96%, 유효인산함량 47.8~103.0ppm, 치환성 K 2.4~2.8(me/100g), 치환성 Ca 13.8~15.0(me/100g), 치환성 Mg 8.4~9.0(me/100g), 양이온치환용량 34.0~38.4(me/100g)로 높게 나타났으며, 토양 pH는 5.9~6.0으로 약산성 토양의 특징을 나타내고 있다. 섬시호군락은 등대시호군락이나 개시호군락에 비하여 전질소, Mg, 유효인산이 많은 입지에 분포하고 있다. 섬시호와 수반종이라고 할 수 있는 왕매발톱나무와 넓은잎쥐오줌풀은 섬시호보다 전질소와 유기물함량이 다소 많은 입지에 분포하고 있으며, 섬시호와 비슷한 입지에 분포하는 섬쥐똥나무는 주로 관목층에 분포하고 있어, 섬시호와 경쟁을 완화시킨 것으로 판단된다. 섬시호군락은 환경부가 지정한 멸종위기식물 II급에 속하는 식물로 주위 환경이 파괴되어가고 있어 보호대책이 요망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