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울릉도 섬시호 자생지의 생태학적 특성 및 식물상
Ecological Characteristics and Distribution of Bupleurum latissimum in Ulleung Island 원문보기

한국환경과학회지 = Journal of the environmental sciences, v.16 no.6, 2007년, pp.751 - 761  

안영희 (중앙대학교 식물응용과학과) ,  이성제 (중앙대학교 식물응용과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s carried out through ecological situation of native Bupleurum latissimum habitats and the research of environmental conditions for conservation of native sites, restoration of alternative habitats and preliminary data for application of useful medicinal plant. Native Bupleurum latissim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확보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다. 그러므로 본연구는 우수한 자생식물자원으로 이용이 크게 기대되는 섬시호의 울릉도 자생지에서의 분포 실태와 생태적인 특성 연구를 통해 자생식물 유전자원의 개발은 물론 인공재배를 위한 과학적인 정보를 제공하고 자생지의 효과적인 보전을 위해 수행하였다.
  • 자생 시호 속 식물의 뿌리를 봄에서 가을에 걸쳐 캐어 햇볕에 말린 것을 시호(柴胡)라 하여 귀중한 생약재로 사용하고 있는 자원 식물이다. 그러므로 우수한 자생 식물자원으로 이용이 크게 기대되는 섬시호의 울릉도 자생지에서의 분포 실태와 생태적인 특성 연구를 통해 자생식물 유전자원의 개발은 물론 인공재배를 위한 과학적인 정보를 제공하고 자생지의 효과젘인 보전을 위해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이영노, 2002, 원색한국식물도감, 서울, 교학사, 549pp 

  2. 이우철, 1996, 원색한국기준식물도감, 서울, 아카데미서적, 255pp 

  3. 환경부, 2006, http://www.me.go.kr/ 

  4. 산림청, 2006, http://www.foa.go.kr/ 

  5. 임록재, 1999, 조선약용식물지-Vol 3., 한국문화사, 서울1, 29-30pp 

  6. 하혜경, 정대영, 박시원, 2004, 시호추출물의 ICR 발암생쥐 의 생존율 및 J774A.1 세포와 Ll210 세포의 증식에 미치는 영향, 생약학회지, 35(4), 293-299 

  7. 안영희, 2003, 제주도의 자생 황근 분포와 자생 지 생태적 특성, 원예과학기술지, 21 (4), 440-446 

  8. 임정남, 2000, 토양 및 식물체 분석법, 경기도, 농업과학기술원, pp102-104 

  9. 末松筬孝,三田村邦孝,?田安伸, 1987,やさしい 農學實?, Japan,農業?書, 127-128pp 

  10. Song J. S., Ahn Y. H., 2002, Phytosociological study on composition, distribution and habitat of Ussurian pear and Chinese pear, Korean wild species. Kor. J. Env. Eco. 16, 160-171 

  11. Ecology research group, 1967, Manual of ecological research, Asakura publishing Co., Tokyo, pp. 238-246 

  12. Peet R. K., 1974, The measurement of species diversity, Annual Review of Ecology and Systematics, 5, 285-307 

  13. Barbour M. G., Burk J. K., Pitts WD. 1980, Terrestrial plant ecology, The Benjamin Publishing company, pp.54-59 

  14. Walter H., Harnickell E., Mueller-Dombois D., 1975, Climate diagram maps. Springer, New York, pp.36 

  15. 신현탁, 황정환,2005, 울릉도 보전지역 설정 및 보전전략, 대구, 우신출판사,2pp 

  16. 기상청, 2006, http://www.kma.go.kr 

  17. 이우철, 임양재, 1978, 한반도 관속식물의 분포에 관한 연구, 한국식물분류학회지, 8(부록): 1-33 

  18. 국립수목원, 2000, http://www.kna.go.kr/ 

  19. 노재현, 1998, 공원녹지내 귀화식물 출현실태 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26(3), 66-77 

  20. 이창복, 1982, 대식물도감, 서울, 향문사 

  21. 국립환경과학원, 2005, http://:www.ienplnat.nier.go. kr 

  22. 윤해순, 1996, 진양호 유역에서의 식생, 동아대학교 기초과학연구 논문집, 제 13권 제 2호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