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죽초액의 항균활성 및 대두유에 대한 산패 억제 효과
Antimicrobial Activity and Oxidative Stability of Bamboo Smoke Distillate on Soybean Oil during Storage 원문보기

한국식품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38 no.6 = no.190, 2006년, pp.816 - 822  

이범수 (연변대학교 농학원 식품공학계) ,  이병두 (전남대학교 식품공학과 농업과학기술연구소) ,  은종방 (전남대학교 식품공학과 농업과학기술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신선한 왕대(Phyllostachys bambuoides sieb. et zucc.)를 이용하여 기계식 죽초액과 재래식 죽초액을 제조하고 이들의 농도에 따른 항균활성을 조사하였으며 정체 기계식 죽초액이 대두유 저장 과정 중 산패억제 효과를 조사하였다. 각각의 죽초액은 10-50 ${\mu}L/8$ mm paper disc 농도범위에서 공시 모든 공시균주에 대하여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재래식 죽초액의 편이 기계식 죽초액에 비하여 항균활성이 더 크게 나타났다. 동일한 조건하에서 죽초액의 항균활성은 그람양성균 > 그람음성균 > 젖산균 > 효모의 순이었다. 그리고 모든 공시균주에 대하여 3.0%의 acetic acid 50 ${\mu}L/8$ mm paper disc에 상당한 죽초액의 항균활성 농도는 10-50 ${\mu}L/8$ mm paper disc 범위이며, 각각의 균주에 대한 활성농도는 서로 차이를 나타내었다. MIC는 대체로 1.0-7.3 ${\mu}L/mL$ 범위였으며 최대치사농도(MLC)는 26.7-116.7 ${\mu}L/mL$ 범위였다. 대두유 저장기간 동안 죽초액 첨가 농도 0.1-1.0% 범위에서 농도가 증가할수록 산패억제 효과도 컸으며, 죽초액 0.1% 첨가하였을 때 효과가 BHT 0.02% 첨가하였을 때와 유사하였으며 ${\alpha}-tocopherol$ 0.02% 첨가한 것보다 높은 산화억제 효과를 보였다. 죽초액 0.1, 0.5 및 1.0% 첨가 대두유의 유도기간은 각각 3.75, 4.57 및 12.06일 이었으며, 무첨가구의 2.86일에 비하여 모두 길었고, 상대적 항산화 효과는 각각 130.85, 159.60 및 421.30%로 죽초액 0.5%를 첨가할 때가 BHT 0.02% 첨가하였을 때의 168.45%와 비슷하게 나타났다. 죽초액은 일부 식중독균 및 식품부패균에 대한 억제효과와 유지 산패억제 효과가 인정되므로 이를 이용한 식품첨가제의 개발이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ntimicrobial and antioxidative effect of mechanical bamboo smoke distillate (MBSD) and traditional bamboo smoke distillate (TBSD) were investigated. Antimicrobial activity was demonstrated against all the microorganisms used in this experiment and was the higher in TBSD than in MBSD, with an a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현재 담양, 진주 등 남부 임산지역에서 주로 생산되는 두 가지 형태의 죽초액, 즉 기계식과 재래식 방빕에 의히여 생산된 죽초액을 소재로 제조공법을 달리한 죽초액의항미생물 스펙트럼, 농도에 따르는 항균활성 및 최소저해농도(minimum inhibition concentration, MIC)와 최대치 사농도(maxi­ mum lethal concentration, MLC)등을 조사하여 이것들을 식품 저장성이나 식품안전성을 향상하기 위한 보존제로의 활용을 가능성을 탐색하고 죽초액의 새로운 용도와 부가가치 창출을 위해 항산화 활성을 조사하기 위해 대두유의 저장 기간 중 항산화 효과를 알아보았다.

가설 설정

  • 2)Concentration of 3.0% acetic acid loaded on paper disc was 50 ug/8 mm paper disc. 3)No growth inhibition
  • /8 mmpaper disc. 2)Concentration of 3.0% acetic acid loaded on paper disc was 50 ㎕/8 mm paper disc.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Ikesima Y. Manufacturing Process and Application of Bamboo Charcoal and Bamboo Vinegar. Hanlim Journal Co., Seoul, Korea. pp. 121-158 (1987) 

  2. Kim GE, Park SB, Ahn KM. Charcoal and Wood Vinegar Function and Manufacturing Process. Hanlim Journal Co., Seoul, Korea. pp. 36-50 (1999) 

  3. Ahn KM, Pak SB. Production and Application of Forest Products. The Forest and Forestry Technology. Forest Service, Korea (2000) 

  4. Hwang BH, Koo JO, Kim YS, Kim YS, Mun SP, Moon CK, Paik KH, Ahn WY, Lee BG, Lee JY, Lee HJ. Cho NS. Wood Biomass. Shinjinmoonhwa Co., Seoul, Korea. pp. 31-87 (1998) 

  5. Lee FZ, Eun JB. Physical and chemical characteristics of bamboo smoke distillates made by mechanical steel kiln and traditional earth kiln. J. Korean Soc. Food Sci. Nutr. 31: 251-256 (2002) 

  6. Lee FZ, Choi SH, Eun JB. The nitrite scavenging and electron donating ability of bamboo smoke distillates made by steel kiln and erth kiln. Korean J. Food Sci. Technol. 34: 719-724 (2002) 

  7. Kook K. Kim KH. The effects of supplemental levels of bamboo vineger on growth performance, serum profile and meat quality in fattening hanwoo cow. Korean J. Anim. Sci. & Technol. 45: 57-68 (2003) 

  8. Kook K, Kim KH. Changes in meat characteristics on refrigerated pork loin fed with supplemental bamboo vinegar. Korean J. Anim. Sci. & Technol. 45: 265-272 (2003) 

  9. Kook K, Kim KH. Changes of pH, TBA, meat color and sensory evaluation on duck meat fed supplemental bamboo vinegar during storage period at $4^{\circ}C$ . Korean J. Poult Sci. 29: 287-292 (2002) 

  10. Kook K, Kim KH. Effect of supplemental bamboo vinegar on production and meat quality of meat-type ducks. Korean J. Poult Sci. 29: 293-300 (2002) 

  11. Sadakichi K, Koichi H, Konosuke K. Studies on the smoke oder. I. Smoke oder components of wood vinegar liquor and smoke liquid. Mokuzai Gakkaishi. 16: 382-387 (1970) 

  12. Hotozyuetsu. Edible oil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Japan Patent. 10-140177 (1998) 

  13. Seo KI, Ha KJ, Bae Yl, Jang JK, Shim KH. Antimicrobial activities of oak smoke flavoring. Korean J. Postharvest Sci. Technol. 7: 337-341 (2000) 

  14. Woo N, Ahn MS, Lee KY. Antioxidative effect of aloe (aloe arborescences) extracts on linoleic acid and soybean oil. Korean J. Soc. Food Sci. 11: 536-541 (1995) 

  15. Zaika LL. Spices and herbs. Their antimicrobial activity and it's determination. J. Food Safety. 9: 97-118 (1988) 

  16. Harrigan WF, Margaret E, McCance. Laboratory Methods in Food and Dairy Microbiology. Academic Press, pp. 25-29 (1976) 

  17. Piddock LJV. Techniques used for the determination of antimicrobial resistance and sensitivity in bacteria. J. Appl. Bacteriol. 68: 307-318 (1990) 

  18. Barry AL, Lasner RA. In-vitro methods for determining minimal lethal concentrations of antimicrobial agents. Am. J. Clin. Pathol. 71: 88-92 (1979) 

  19. AOCS. Sampling and Analysis of Commercial Fats and Oils. 3rd ed. Am. Oil Chem. Soc. Chanpaign, IL, Cd 8-53 (1978) 

  20. Maillard MN, Berset C. Evolution of antioxidation activity during kilning: role of insoluble bound phenolic acids of barely and malt. J. Agric Food Chem. 43: 1789-1793 (1995) 

  21. Kirschenbauer R. Fats and oil-An outline of their chemistry and technology, 2nd ed., Reinhold Publishing Crop., New York, USA. p. 5 (1960) 

  22. Maeng YS, Park HY. Antioxidant activity of ethanol extract from Dodok (Codonopsis lanceolata). Korean.J. Food Sci. Technol. 23: 311-316(1991) 

  23. Kim NK, Cho SH, Lee SD, Ryu JS, Shim KH. Chemical properties of hot water extracts from bamboos (phyllostachys sp.). Korean J. Postharvest Sci. Technol. 8: 469-474 (2001) 

  24. Ouattara. The study on grow1h inhibition of the common meat spoilage organisms. J. Food Sci. 52: 314-318 (1994) 

  25. Ahn YS, Shin DH. Antimicrobial effects of organic acids and ethanol on several foodborne microorganisms. Korean J. Food Sci. Technol. 31: 1315-1323 (1999) 

  26. Beak SY. The Oxidation stability of soybean, palm, fish oil and lard affected by crude gingerol. Korean J. Soc. Food Sci. 9: 33-36 (1993) 

  27. Haumann BF. Antioxidants firms seeking products they can label an 'natural'. INFORM. 1: 1002-1005 (1990) 

  28. Kwak HJ, Kwon YJ, Jeong PH, Kwon JH, Kim HK. Physiological activity and antioxidative effect of methanol extract from onion (Allium cepa L.). J. Korean Sco. Food Sci. Nutr. 29: 349-355 (2000) 

  29. Park BH, Choi HK, Cho HS. Antioxidant effect of aqueous green tea on soybean oil. J. Korean Soc. Food Sci. Nutr. 30: 552-556 (200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