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갈근(葛根) 추출물이 항산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uerariae Radix extract on the activity of antioxidant 원문보기

大韓藥鍼學會誌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herbal-acupuncture, v.10 no.3 = no.24, 2007년, pp.53 - 62  

은영준 (경원대학교 한의과대학 한방재활의학과교실) ,  권기록 (상지대학교 한의과대학 침구과) ,  임태진 (상지대학교 동물자원학부 생명공학과) ,  송윤경 (경원대학교 한의과대학 한방재활의학과교실) ,  임형호 (상지대학교 동물자원학부 생명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ntioxidative effects of Puerariae Radix extract. Method Total antioxidant capacity (TAC), Total antioxidant response (TAR), Total phenolic content, Reactive oxygen species (ROS),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free radical scavengin...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갈근 추출물의 항산화작용을 규명하기 위해 free radical의 소거능력을 검증하는 방법 중에서 다용되고 있는 총 항산화능(TAC), 총 항산화 반응 (TAR), DPPH 자유유리기 소거작용에 대한 실험 및 직접적 인 항산화능력 측정방법으로 TBARS 분석을 통한 갈근의 지질과산화 억제효과 및 활성산소종 억제효과를 살펴보고, 그 외 천연물 항산화물질인 페놀성 화합물의 함량을측정하여 유의한 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 미토콘드리아는 과산화 연구에 주요한 모델로 사용되고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랫드 간 미토콘드리아(0.5 mg 단백질/M)를 이용하여 추출물의 지질과산화에 미치는 영향을조사하였다. 지질과산화는 hydroxyl radical을 생성하는 FeSO4/ascorbic acid로 유발시켰으며, TBARS 농도를측정함으로써 결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5)

  1. Fang YZ, Yang S, Wu G. Free radical antioxidant and nutrition. Nutrition. 2002;18:872-9 

  2. Morrissey PA, O'Brien NM. Dietary antioxidant in health and disease. Int Dairy Journal. 1998;8:463-72 

  3. Halliwell B. Hoult RJ, Blake DR. Oxidants, inglammation and anti-inflammatory drugs. FASEB J. 1988;2:2867-70 

  4. Ito N, Fukushima S, Hagiwara A, Shibata M, Ogiso T. Carcinogenicity of butylated hydroxyanisole in F344 rats. J Natl Cancer Inst. 1983;70(2):343-52 

  5. Larson RA. The antioxidant of higher plants. Phytochemistry. 1988;27:969-78 

  6. 丹野與三太. 葛根の解熱作用に就きて. 日藥物誌. 1941;33:263-8 

  7. 홍자혜, 박평심, 이명렬. 갈근 추출물이 Alloxan으로 유발된 가토의 고혈당에 미치는 영향. 자연과학연구. 1992;15(1):123-9 

  8. 엄기전, 정명현. 갈근 에탄올 엑기스의 실험적 위궤양에 미치는 영향. 약학연구. 1982;4(1):33-42 

  9. 남궁순영. 갈근으로부터 분리한 isoflavone 유도체 및 합성 biochanin A 유도체들의 항염증작용과 in vitro 림프구증식능 억제작용. 약학연구. 1993;6:71 

  10. 손화영, 이가순, 오만진. 갈근 추출물의 항산화효과. 농업과학연구. 1990;17(2):130-41 

  11. 김영철, 이장훈, 우홍정. 인진과 갈근이 dgalactosamine, 급성 alcohol중독 및 CCl₄중독 백서의 간손상에 미치는 영향. 동서의학연구소 논문집. 1997:233-51 

  12. 부일권, 김연섭. 갈근이 뇌허혈 손상 흰쥐의 해마신경세포 손상에 미치는 영향. 대한본초학회지. 2004;19(1):77-82 

  13. 정영희, 한성희, 신미경. 카드뮴을 급여한 흰쥐에서 갈근 열수 추출액의 해독작용효과.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2002;17(4):456-64 

  14. 한성희. 갈근 추출물이 납을 투여한 흰쥐의 혈청 효소활성도 및 조직의 납 축적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품과학회지. 2000;32(4):914-9 

  15. 이정숙, 정재홍. 한국산 족차와 갈근차가 흰쥐의 지방대사와 지질과산화에 미치는 영향. 보건과학연구소보. 1996;6:105-12 

  16. 김정숙, 하혜경, 김혜진, 이제현, 송계용. 칡의 부위별 골다공증 치료효과. 한국식품과학회지. 2002;34(4):710-8 

  17. Wang X, Wu J, Chiba H, Umegaki K, Yamada K, Ishimi Y. Puerariae radix prevents bone loss in ovariectomized mice. J Bone Miner Metab. 2003;21(5):268-75 

  18. S Shibata, M Harada, T Murakami. Studies on the constituents of Japnanese and Chinese crude drugs. II. Antispasmodic action of the constituent of Pueraria root. Yakugaku Zasshi. 1959;79:863 

  19. Yan B, Wang DY, Xing DM, Ding Y, Wang RF, Lei F, Du LJ. The antidepressant effect of ethanol extract of Radix Puerariae in mice exposed to cerebral ischemia reperfusion. Pharmacol Biochem Behav. 2004;78(2):319-25 

  20. 김상현, 김연섭. 갈근의 뇌해마 신경세포 손상보호와 항산화 효능에 대한 연구.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005;19(2):416-25 

  21. 이옥희. 갈근 추출물이 흰쥐 혈액의 항산화계에 미치는 영향. 자연과학연구소 논문지. 2004;9(1):73-9 

  22. 임규, 박용기, 강병수. 칡의 부위별 항산화 작용에 관한 연구. 대한본초학회지. 2001;16(2):101-11 

  23. Kang KA, Chae S, Koh YS, Kim JS, Lee JH, You HJ, Hyun JW. Protective effect of 

  24. Lee MK, Cho SY, Jang JY, Cho MS, Jeon SM, Jang MK, Kim MJ, Park YB. Effects of Puerariae Flos and Puerariae Radix extracts on antioxidant enzymes in ethanol-treated rats. Am J Chin Med. 2001;29(2):343-54 

  25. Alessio HM. Exercise induced oxidatives stress. Med Sci Sports Exerc. 1993;25(2):218-224 

  26. Kehrer JP. Free radicals as medicators of tissue injury and disease. CRC Critical 

  27. Halliwell B. Antioxidants in human health and disease. Annual Review of Nutrition. 1996;16:33-50 

  28. Ames BN, Shigenaga MK, Hagen TM. Oxidants, antioxidants, and the degenarative disease of aging. Proc. Natl. Acad. Sci. 1993;90:7915-22 

  29. David R. Mechanistic toxicology: A radical perspective. J Pharm. Pharmacol. 1989;41:505-11 

  30. Kono Y, Fridovich I. Superoxide radical inhibits catalase. J Biol Chem. 1982;257(10):5751-4 

  31. Sies H. Oxidative stress, Oxidants and antioxidants. Exp Physiol. 1997;82(2):291-5 

  32. Bonakdar RA, Guarneri E. Coenzyme Q10. Am Fam Physician. 2005;72(6):1065-70 

  33. El-Khawaga OA. Role of selenium on antioxidant capacity in methomyl-treated mice. J Physiol Biochem. 2005;61(4):501-6 

  34. Branen AL. Toxicological and biochemistry of butylated hydrotoluene, butylated 

  35. Giese J. Antioxidants, Tools for preventing lipid oxidation. Food Tech. 1996;50:73 

  36. Hatano T. Constituents of natural medicines with scavenging effects on active oxygen species-tannins and related polyphenols. Natural Medicines. 1995;49:357 

  37. Hahm TS, King DL, Min DB. Food antioxidants. Foods and Biotechnology. 1993;2:1-8 

  38. Kim WG, Kim JP, Yoo ID. Benzastatins A, B, C, and D: new free radical scavengers from Streptomyces nitrosporeus 30643. II. Structural determination. J Antibiot. 1996;49(1):26-30 

  39. Betulinans A and B, two benzoquinone compounds from Lenzites betulina. J Nat Prod. 1996;59(11):1090-2 

  40. 이윤형, 강규찬, 백상봉, 이규순, 박재한. 식용 해조류에서 항산화 물질의 분리. 한국식품과학회지. 1991;23(3):256-61 

  41. 김영균, 양기호, 조수인. 석곡의 항산화효과. 대한본초학회지. 2005;20(4):53-60 

  42. 여생규, 안철우, 이요우, 이태기, 박영호, 김선봉. 녹차, 오룡차 및 홍차 추출물의 항산화효과.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1995;24:299-304 

  43. 정광희, 이영종, 성낙술. 박하의 항산화효능에 대한 연구. 대한본초학회지. 2005;20(4):103-12 

  44. 오명숙, 김도림, 강지웅, 김산웅, 유태원, 박정열, 김동민, 박완수, 박성규, 장문석, 박수연. DPPH 방법을 통한 토사자, 보골지, 사상자, 음양곽의 항산화 활성에 대한 연구. 방제학회지. 2005;13(2):101-10 

  45. 조수인, 오원우. 황금의 항산화효과. 대한본초학회지. 2005;20(3):67-74 

  46. 명성화, 김연섭. 대황의 항산화와 신경세포손상 보호효능에 대한 연구. 동의생리병리학회지.2005;19(3):647-65 

  47. 김경호, 이송실, 백진웅, 이상재, 김광호. 산사가 노화유발 흰쥐의 항산화능에 미치는 영향. 대한예방한의학회지. 2004;8(2):65-80 

  48. 박선영, 서정민, 백정한. 가미소건중탕이 Dgalactose로 노화를 유발시킨 백서의 항산화능에 미치는 영향 . 대한한방소아과학회지.2005;19(1):153-71 

  49. 김기홍, 정국훈, 김광호, 고성규. 오자연종환이 노화유발 흰쥐의 항산화능에 미치는 영향. 대한예방한의학회지. 2005;9(1):49-63 

  50. 최영아, 강석봉. 반룡환이 D-galactose로 유발된 노화 흰쥐의 항산화능에 미치는영향. 대한한방내과학회지. 2004;25(4):129-39 

  51. 한병삼, 배영춘, 송승연, 박혜선, 이재흥, 김경요. 청심연자탕의 항산화효과와 기전에 대한 연구. 사상체질의학회지. 2004;16(1):130-47 

  52. 박성민, 임명현, 이준희, 박재현. 보중익기탕과 육미지황탕이 노화촉진생쥐(SAM)의 간장내 항산화 작용에 미치는 영향. 대한본초학회지. 2003;18(4):175-91 

  53. 임창수, 김갑성. 작약 약침액의 항산화 효능에 관한 연구. 대한침구학회지. 1997;14(2):191-8 

  54. 전국한의과대학 본초학교수 공편저. 본초학. 영림사. 1995:148 

  55. 김호철, 한약약리학. 집문당. 2001:92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