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생식조성이 정상성인의 혈당반응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aengshik on Blood Glucose Response in Healthy Subject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6 no.12, 2007년, pp.1553 - 1559  

김화영 ((주)이롬 생명과학연구원) ,  홍성길 ((주)이롬 생명과학연구원) ,  황성주 ((주)이롬 생명과학연구원) ,  목철균 (경원대학교 식품생물공학과) ,  박미현 ((주)이롬 생명과학연구원) ,  이주연 ((주)이롬 생명과학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생식을 정상성인에게 섭취시켰을 때 혈당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고, 생식의 혈당지수를 구하여 당뇨병 환자의 혈당 조절식으로 이용가능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시판중인 생식 4(ES, HS, BS, SS)종을 섭취 전, 섭취 후 120분 동안 15분 간격으로 채혈하여 혈당을 측정하였다. 생식 섭취 후 혈당수치는 포도당 섭취시보다 전반적으로 낮게 나타났으며, ES는 $15{\sim}75$분, SS는 $15{\sim}75$분, HS는 $15{\sim}45$분, BS는 15분 후의 혈당이 포도당보다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식이 섭취 후 측정한 시간에 따른 혈당값을 이용하여 혈당반응 곡선의 면적을 구한 결과, 생식 섭취군은 포도당 섭취군보다 면적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상기 면적을 이용하여 GI를 산출한 결과, ES는 $43.1{\pm}12.6$으로 Low GI(55이하) 범위에 속하였으며, 그 외 생식은 Medium GI($56{\sim}69$) 범위에 속하였다. 생식의 소화, 흡수 형태를 알아보기 위하여 상기에서 구한 혈당반응곡선 면적을 일반적인 최고 혈당값 나타내는 시간인 30분을 전후로 하여 LAR(혈당상승기)과 RAR(혈당감소기)을 구한 결과, 생식은 혈당 상승과 감소를 완만하게 해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생식섭취 후 최고 혈당값을 포도당을 섭취했을 때보다 유의적으로 감소시켰으며, 최고 혈당값을 나타내는 시간은 생식 ES에서 연장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위의 결과들을 종합해 볼 때, 생식의 섭취는 체내 당의 소화와 흡수 과정을 천천히 진행시키며, 식후 최고 혈당수치를 감소시켜 전반적인 혈당반응을 원만하게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GL은 ES(14.1)이 가장 낮았으며 HS, BS, SS($19.2{\sim}19.5$) 수준으로 GL 역시 낮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위의 연구결과 생식은 당뇨병 환자의 식후 혈당상승을 조절하여 유익한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며, 생식의 조성에 따라 그 효과는 차이를 보이며, 사용하는 당의 특징과 곡류군의 조성, 식이섬유의 종류, 과일소재의 첨가 등에 따라 달라지므로 추후 심화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aengshik on blood glucose level of normal subject and to explore the marketing possibility of four kinds of Saengshik (ES, HS, BS, SS) as alternative diabetic meals. Blood glucose levels of healthy volunteers was measured at 15, 30, 45, 6...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생식을 정상성인에게 섭취시켰을 때 혈당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고, 생식의 혈당지수를 구하여 당뇨병 환자의 혈당 조절식으로 이용가능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시판중인 생식 4(ES, HS, BS, SS)종을 섭취 전, 섭취 후 120분 동안 15분 간격으로 채혈하여 혈당을 측정하였다. 생식 섭취 후 혈당수치는 포도당 섭취시보다 전반적으로 낮게 나타났으며, ES는 15~75분, SS는 15~75분, HS는 15~45분, BS는 15분 후의 혈당이 포도당보다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 본 연구에서는 건강개선과 체질개선에 이용되고 있는 생식이 당뇨병 환자의 혈당 조절식으로 이용가능 여부를 조사하기 위하여 정상성인에게 생식을 섭취시켰을 때 혈당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하고 생식의 혈당지수를 구하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1)Values with different letter superscripts are significantly different each other at p<0.05.
  • 2)Values with different letter superscripts are significantly different each row column at p<0.05.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생식은 무슨 목적으로 소비되고 있는가? 식품공전(3)에서 생식은 “동․식물성 원료를 주원료로 하여 건조 등 가공 처리하여 분말, 과립, 바, 페이스트, 겔상, 액상 등으로 제조한 것으로 이를 그대로 또는 물 등과 혼합하여 섭취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정의되어 있다. 통상 생식은 과일, 야채, 해조류, 곡류 등 식물성식품에 열을 가하지 않고 최소한의 가공만을 시행함으로써 식품 자체가 함유하고 있는 각종 미네랄, 비타민, 효소, 엽록소, 단백질 등 영양소의 파괴 또는 변형을 최소화하도록 제조한 식품으로 식이 요법, 건강식 및 다이어트 등의 목적으로 소비되고 있다. 웰빙 트렌드와 함께 건강식으로 자리 잡은 생식의 국내 시장은 연간 약 2000억원 규모이고, 수출은 2005년도 기준, 약 1000만 달러 정도로 단일품목으로는 김치와 인삼 다음으로 주요한 품목이다(4).
생식은 무엇인가? 식품공전(3)에서 생식은 “동․식물성 원료를 주원료로 하여 건조 등 가공 처리하여 분말, 과립, 바, 페이스트, 겔상, 액상 등으로 제조한 것으로 이를 그대로 또는 물 등과 혼합하여 섭취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정의되어 있다. 통상 생식은 과일, 야채, 해조류, 곡류 등 식물성식품에 열을 가하지 않고 최소한의 가공만을 시행함으로써 식품 자체가 함유하고 있는 각종 미네랄, 비타민, 효소, 엽록소, 단백질 등 영양소의 파괴 또는 변형을 최소화하도록 제조한 식품으로 식이 요법, 건강식 및 다이어트 등의 목적으로 소비되고 있다.
생식을 정상성인에게 섭취시켰을 때 혈당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고 시판중인 생식 4(ES, HS, BS, SS)종을 섭취 전, 섭취 후 120분 동안 15분 간격으로 채혈하여 혈당을 측정한 연구 결과는 어떻게 되는가? 본 연구는 생식을 정상성인에게 섭취시켰을 때 혈당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고, 생식의 혈당지수를 구하여 당뇨병 환자의 혈당 조절식으로 이용가능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시판중인 생식 4(ES, HS, BS, SS)종을 섭취 전, 섭취 후 120분 동안 15분 간격으로 채혈하여 혈당을 측정하였다. 생식 섭취 후 혈당수치는 포도당 섭취시보다 전반적으로 낮게 나타났으며, ES는 15~75분, SS는 15~75분, HS는 15~45분, BS는 15분 후의 혈당이 포도당보다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식이 섭취 후 측정한 시간에 따른 혈당값을 이용하여 혈당반응 곡선의 면적을 구한 결과, 생식 섭취군은 포도당 섭취군보다 면적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상기 면적을 이용하여 GI를 산출한 결과, ES는 43.1±12.6으로 Low GI(55이하) 범위에 속하였으며, 그 외 생식은 Medium GI(56~69) 범위에 속하였다. 생식의 소화, 흡수 형태를 알아보기 위하여 상기에서 구한 혈당반응곡선 면적을 일반적인 최고 혈당값 나타내는 시간인 30분을 전후로 하여 LAR(혈당상승 기)과 RAR(혈당감소기)을 구한 결과, 생식은 혈당 상승과 감소를 완만하게 해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생식섭취 후최고 혈당값을 포도당을 섭취했을 때보다 유의적으로 감소시켰으며, 최고 혈당값을 나타내는 시간은 생식 ES에서 연장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위의 결과들을 종합해 볼 때, 생식의 섭취는 체내 당의 소화와 흡수 과정을 천천히 진행시키며, 식후 최고 혈당수치를 감소시켜 전반적인 혈당반응을 원만하게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GL은 ES(14.1)이 가장 낮았으며 HS, BS, SS(19.2~19.5) 수준으로 GL 역시 낮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위의 연구결과 생식은 당뇨병 환자의식후 혈당상승을 조절하여 유익한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며, 생식의 조성에 따라 그 효과는 차이를 보이며, 사용하는 당의 특징과 곡류군의 조성, 식이섬유의 종류, 과일소재의 첨가 등에 따라 달라지므로 추후 심화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김정한. 2002. 내당능장애란 무엇일까요. 월간당뇨 151: 54-55 

  2. 김정배. 2006. 숨겨진 가공식품 당지수 '세상밖으로'. 식품저널 1: 40-41 

  3. 식품공전. 2005. 한국식품공업협회. p 510 

  4. 박미현. 2006. 전통식품 세계화 전략 생식, 생식, 한국을 대표하는 새로운 식품으로 육성해야. 식품저널 4(105): 60-61 

  5. Lee E, Kim WJ, Lee YJ, Lee MK, Kim PG, Park YJ, Kim SK. 2003. Effects of natural complex food on specific enzymes of serum and liver and liver microstructure of rats fed a high fat diet. J Korean Soc Food Sci Nutr 32: 256- 262 

  6. Park JS, Park JG, Kim JH, Yu YK, Pyo YH, Lee MG, Sin JH, Hwang SJ, Park MH. 2003. The effect of natural food uptake for 6 months on physical fitness and lipids in blood of athletic player. Korean J Phys Educ 42: 883-893 

  7. Kim ES, Park MH, Hwang SJ, Jeong YH. 2004. Saengshik, a formulated health food, decreases blood glucose and increase survival rate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J Med Food 7: 162-167 

  8. Lee YJ, Lee HM, Park TS. 2003. Effects of uncooked powdered food on antioxidative system and serum mineral concentrations in rats fed unbalanced diet. Korean J Nutr 346: 898-907 

  9. Park JY, Yang M, Jung HS, Lee JH, Bae HK, Park TS. 2003. Effect of raw brown rice and Job's tear supplemented diet on serum and hepatic lipid concentration, antioxidative system, and immune function of ra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2: 197-206 

  10. Park SH, Han JH. 2003. The effects of uncooked powdered food on nutrient intake, serum lipid level, dietary behavior and health index in healthy women. Korean J Nutr 36: 49-63 

  11. Song MK, Hong SG, Hwang SJ. 2003. Improve effects of Saengshik on patient with fatty liver and hyperlipidemia in murine. Korean J Nutr 36: 834-840 

  12. Kang SM, Shim JY, Hwang SJ, Hong SG, Jang HE, Park MH. 2003. Effects of Saengshik supplementation on health improvement in diet-induced hypercholesterolemic ra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2: 906-912 

  13. Han JH, Park SH. 2003. The effects of uncooked powdered food on nutrient intake, body fat and serum lipid composition in hyperlipidemic patients. Korean J Nutr 36: 589-602 

  14. Jang YS, Lee JH, Kim OY, Park HY, Lee SY. 2001. Consumption of whole grain and legume power reduces insulin demand, lipid peroxidation, and plasma homocysteine concentration in patients with coronary artery disease: randomized controlled clinical trial. Arterioscler Thromb Vasc Biol 21: 2065-2071 

  15. Jenkins DJ, Wolever TM, Taylor RH, Baker H, Fielden H, Baldwin JM, Bowling AC, Newman HC, Jenkins AL, Goff DV. 1981. Glycemic index of foods: a physiological basis for carbohydrate exchange. Am J Clin Nutr 34: 362-366 

  16. Wolever TM, Jenkins DJ, Jenkins AL, Josse RG. 1991. The glycemic index: methodology and implication. Am J Clin Nutr 54: 846-854 

  17. Lee JS, Shin HK. 1997. Effects of addition of chicory extract on starch hydrolysis in vitro and glucose response in healthy subjects. Korean J Food Sci Technol 29: 1295- 1303 

  18. Yoon SK, Kim MA. 1998. Glycemic responses of Korean domestic meals and diabetic meals in normal subjects. Korean J Food & Nutr 11: 303-311 

  19. Koichi K, Yukichi O, Kamejiro Y. 1985. Changes in blood glucose and insulin after an oral palatinose administration in normal subjects. Endocrinol Japan 32: 933-936 

  20. Yamashita K, Kawai K, Itakura M. 1984. Effects of fructo-oligosaccharides on blood glucose and serum lipids in diabetic subjects. Nutr Res 4: 961-966 

  21. Foster-Powell K, Holt SH, Brand-Miller JC. 2002. International table of glycemic index and glycemic load values. Am J Clin Nutr 76: 5-56 

  22. Jenkins DJ, Jenkins MJ, Wolever TM, Taylor RH, Ghafari H. 1986. Slow release carbohydrate: mechanism of action of viscous fibers. J Clin Nutr Gastroenterol 1: 237-241 

  23. Wolever TM. 1990. Relationship between dietary fiber content and composition in foods and the glycemic index. Am J Clin Nutr 51: 72-75 

  24. Nishimune T, Yakushiji T, Sumimoto T, Taguchi S, Konishi Y, Nakahara S, Ichikawa T, Kunita N. 1991. Glycemic response and fiber content of some foods. Am J Clin Nutr 54: 414-419 

  25. American Diabetes Association. 1987. Nutritional recommendations and principles for individuals with diabetes mellitus. Diabetes Care 10: 126-132 

  26. Jenkins DJA, Wolever TMS, Jenkins AL. 1988. Starchy foods and glycemic index. Diabetes Care 11: 149-159 

  27. 이지숙. 1996. 곡류와 두류혼합식의 전분가수분해율 및 혈당지수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