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하악과성장형과 상악열성장형 골격성 Ⅲ급 부정교합군간의 두개저 형태 비교
COMPARISON OF CRANIAL BASE MORPHOLOGY BETWEEN THE MANDIBULAR PROGNATHISM AND MAXILLARY RETROGNATHISM IN SKELETAL CLASS III PATIENTS 원문보기

大韓口腔顎顔面外科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v.33 no.3, 2007년, pp.204 - 210  

강동화 (경북대학교 치과대학 구강악안면외과학교실) ,  권대근 (경북대학교 치과대학 구강악안면외과학교실) ,  이상한 (경북대학교 치과대학 구강악안면외과학교실) ,  김현수 (포천중문의과대학 치과 구강외과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intended to compare the cranial base morphology between the mandibular prognathism and maxillary retrognathism in skeletal class III patients. The subject of the present study was composed of 88 patients divided into two groups; Group 1 (Skeletal Class III with mandibular prognathis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상악의 후퇴나 하악의 돌출로 인하여 초래되는 골격성 3급 부정교합자의 안면골격과 두개저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두부계측 방사선 사진으로 분석하였다. 하악이 전돌되었으면서 상악위치는 정상인 환자군(Group 1, n=54), 하악 위치는 정상이나 상악이 후퇴되어 상대적으로 골격성 3급 부정교합을 지니는 환자군(Group 2, n=34)을 상호 비교, 분석하여 아래의 결과를 얻었다.
  • 본 연구에서는 골격성 Ⅲ급 부정교합자를 대상으로 두개저의 형태와 상하악의 위치 및 크기에 관하여 연구를 시행하였고, 더불어 골격성 Ⅲ급 부정교합자 중 상악골의 발육부전으로 발생한 상악열성장형 골격성 Ⅲ급 부정교합군과 하악의 원인으로 발생한 하악과성장형 골격성 Ⅲ급 부정교합군으로 나누어 두개저의 형태, 상악과 하악의 위치 및 크기에 대한 상호 간의 연관성에 대한 연구를 시행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 환자에 있어 상하악의 위치에 따라 상기의 두가지 군으로 나누어 두개저의 형태학적 특성을 조사하고, 중안면 함몰과 더불어 하안면 돌출의 안면외형을 형성하는 데에 안면골격과 두개저가 어떠한 상관성을 가지는지를 알아보고자 두 군간의 형태적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골격성 3급 부정교합자에서 나타나는 하악 전돌증을 하악자체가 전돌되어 있는 환자군과 하악의 위치는 정상이지만 상악이 상대적으로 후퇴되어 하악이 전돌되어 보이는 군으로 나누어 이 두 군을 비교함으로써 두개기저부가 과연 어느정도의 관련성을 미치고 있는지 분석하고자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Jacobson A, Evans WG, Preston CB, Sadowsky PL: Mandibular prognathism. Am J Orthod 1974;66:140-171 

  2. Ellis III E, McNamara FA: Components of adults Class III open-bite malocclusion. Am J Orthod 1984;86:277-290 

  3. Kerr WJ, Adams CP: Cranial base and jaw relationship. Am J Phts Anthropol 1988;77:213-220 

  4. Rak D, Muretic Z, Slaj M: Relation between cranial base flexure and position of jaws. Collegium Antropologicum 1997;21:539-547 

  5. Sato S: Case report: development characterization of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Angle Orthod 1994;64:105-111 

  6. Hopkin GB, Houston WJ, James GA: The cranial base as an aetiological factor in malocclusion. Angle Orthod 1968;38:250-255 

  7. Kasai K, Moro T, Kanazawa E, Iwasawa T: Relationship between cranial base and maxillofacial morphology. Eur J orthod 1995; 17:403-410 

  8. Kerr WJ, Hirst D: Craniofaci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 with normal and post normal occlusions-a longitudinal study. Am J Orthod Dentofac Orthop 1987;92:207-212 

  9. Dhopatkar A, Bhatia S, Rock P: An investigation int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ranial base angle and malocclusion. Angle Orthod 2002;72:456-463 

  10. Menezes DM: Comparison of craniofacial features of English children with Angle class II division 1 and Angle class I occlusions. J Dent 1974;2:250-254 

  11. Anderson D, Popovich F: Relation of cranial base flexure to cranial form and mandibular position. Am F Phys Anthropol 1983;61:181-187 

  12. 우순섭, 최용수, 박원희, 유임학, 이영수, 심광섭: 진성 골격성 III 급 부정교합에서 두개저, 상악, 하악의 위치 및 크기에 관한 연구. 대한구강악안면외과학회지 2002;28:24-30 

  13. 부정교합백서 발간위원회: 한국 성인 정상교합자의 측모 두부규 격방사선사진 계측연구 결과보고서. 대한치과교정학회 1997 

  14. Singh GD: Morphologic determinants in the etiology of class III malocclusions: a review. Clin Anat 1999;12:382-405 

  15. Enlow DH, Kuroda T, Lewis AB: The morphological and morphogenetic basis for craniofacial form and pattern. Angle Orthod 1971;41:161-188 

  16. Scott JH: Dento-facial development and growth. Oxford:Pergamon Press, 1967 

  17. Scott JH: The analysis of facial growth. I. The anteroposterior and vertical dimensions. Am J Orthod 1958;44:507-512 

  18. Moss ML: Correlation of cranial base angulation with cephalic malformations and growth disharmonies of dental interest New York State. Dent J 1955;24:452-454 

  19. Isaacson JR, Isaacson RJ, Speidel TM, Worms FW: Extreme variation in vertical facial growth and associated variation in skeletal and dental relations. Angle Orthod 1971;41:219-229 

  20. Droel R, Isaacson RJ: Some relationships between the glenoid fossa position and various skeletal discrepancies. Am J Orthod 1972;61:64-78 

  21. Mackay F, Jones JA, Thompson R, Simpson W: Craniofacial form in class III cases. Br J Orthod 1992;28:15-20 

  22. Andria LM, Leite LP, Prevatte TM, King LB: Correlation of the cranial base angle and its components with other dental/skeletal variables and treatment time. Angle Orthod 2004;74:361-366 

  23. 홍순재, 이충국: 병인론에 근거한 성인 골격성 3급 부정교합자의 분류와 그 prototype 제시를 위한 연구. 대한악안면성형재건외과학회지 2000;22:397-411 

  24. Bjork A: Cranial base development. Am J Orthod 1955;41:198-225 

  25. Nie X: Cranial base in craniofacial development: developmental features, influence on facial growth, anomaly, and molecular basis. Acta odontol Scand 2005;63:127-135 

  26. Hoyte DAN: A critical analysis of the growth in length of the cranial base. In: Bergsma D, editor. Morphogenesis and malformations of the face and brain. New York: Alan R. Liss. Birth Defects Original Article Series 1975;11:255-282 

  27. Melsen B: Time and mode of closure of the spheno-occipital synchondrosis determined on human autopsy material. Acta Anat 1972;83:112-112 

  28. Singh GD, McNamara JA Jr, Lozanoff S: Allometry of the cranial base in prepubertal Korean subjects with class III malocclusions: finite element morphometry. Angle Orthod 1999;69:507-514 

  29. Enlow DH: Th prenatal and postnatal growth of the human basicranium.In:Bosma JF, eds.Symposium on development of basicranium. DHEW publication no. NIH 76-989. Bethesda: DHEW 1976. p192-205 

  30. van Erum R, Mulier M, Carels C, Verbeke G, de Zegher F: Craniofacial growth in short children born small for gestational age: effect of growth hormone treatment. J Dent Res 1997;76:1579-86 

  31. Adab K, Sayne JR, Carlson DS, Opperman LA: Tgf-beta1, Tgf-beta2, Tgf-beta3 and Msx2 expression is elevated during frontonasal suture morphogenesis and during active postnatal facial growth. Orthod Craniofac Res 2002;5:227-37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