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충청남도 가야산 산림식생의 군집구조
The Community Structure of Forest Vegetation in Mt. Gaya, Chungcheongnam-Do Province 원문보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v.21 no.5, 2007년, pp.379 - 389  

윤충원 (공주대학교 산림자원학과) ,  이찬호 (공주대학교 산림자원학과) ,  김혜진 (공주대학교 산림자원학과)

초록

본 충청남도 가야산의 산림식생을 대상으로 2006년 4월부터 2005년 10월까지 100개의 방형구를 설치하여 Z-M 식물사회학적 방법으로 식생구조의 유형분류를 실시하였던바 가야산의 산림식생은 소나무군락군 유형, 층층나무군락군 유형, 인공식재림 유형으로 대별되었다. 소나무군락군은 철쭉군락, 갯버들군락, 합다리나무군락, 소나무전형군락으로 분류되어졌으며, 철쭉군락은 돌양지꽃군(소사나무소군과 대나물소군으로 세분됨)과 철쭉전형군으로 세분되었다. 층층나무군락군은 헛개나무군락 갈참나무군락, 명자순군락, 층층나무전형군락으로 세분되었다. 인공식재림 유형은 일본잎갈나무군락, 리기다소나무군락, 밤나무군락으로 분류되었다. 따라서 본 조사지역의 식생유형은 3개 군락군, 11개 군락, 2개 군, 2개 소군으로 분류되었고, 총 13개의 식생단위로 나타났다. 이 중에서 소사나무소군과 합다리나무군락은 한반도 산림분포대 및 식생체계의 정립시 난대림 유형과 그 분포지에 대한 기초정보를 제공해 줄 수 있는 식생단위로 보이며. 헛개나무군락은 중요한 유전자원으로 보호 관리되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classify forest vegetation structure of Mt. Gaya from April to October in 2006 using phytosociological analysis methodology of Z-M schools. One hundred study sites(quadrat) were surveyed in the area. The forest vegetation was classified into 3 community groups such as P...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대한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저평(低平)한 서해안 지대 생태계 이해의 기본 골격임과 동시에 큰 산계 축을 형성하고 있는 가야산의 산림 식생을 대상으로 그 군집구조를 구명하여 조림학적 기초정보의 제공과 동시에 한반도 산림식생의 자료축적과 지역 산림의 생태적 관리를 위한 기초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고재기, 임양재(1987) 칠갑산의 식생, 한국생태학회지 10(1): 33-42 

  2. 김정둔, 임양재, 길봉섭 (1988) 대둔산 도립공원 삼림식생의 분류와 유형분석. 한국생태학회지 11(3): 109-122 

  3. 김윤식, 박소원(1983) 가야산(충남)의 식물상 조사 연구. 고려대교육대학원, 95-103 

  4. 김현숙, 김호준, 이규석, 송호경 (2004) 계룡산 동학사계곡 남사면과 북사면의 산림식생.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지 7(2):52-61 

  5. 김효정, 이미정, 지윤의, 안승만, 이규석, 송호경 (2002) 대전 도덕봉과 백운봉의 산림군락 분류. 한국환경생물학회지 20(3): 216-223 

  6. 김효정, 이미정, 이규석, 박관수, 송호경 (2004) 계룡산 상부 지역의 산림식생. 한국환경생물학회지 22(1): 127-132 

  7. 방광자, 이동근, 강현경, 김정연(1999) 안면도 식물상 조사를 통한 산림관리에 관한 기초연구.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지 2(4): 27-34 

  8. 서정호, 이우균, 선요한, 함보영(2001) 안면도 소나무 임분의 동적 생장모델. 한국임학회지 90(6): 725-733 

  9. 송무영, 신광수(2000) Landsat TM에 의한 안변도 산림자원 변화경향 분석. 한국지구과학회지 21(2): 188-200 

  10. 송호경, 이선, 허원무, 이미정(2000) 자연친화적인 산림경 영을 위한 안면도 산림자원 분석. 한국임학회지 89(2) : 185-197 

  11. 신준환(1995) 산림생태계 생물다양성 보전전략. 한국임학회지 84(3): 377-393 

  12. 신준환(2004) 백두대간 관리범위 및 관리방안.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8(2): 197-204 

  13. 鈴木兵二, 伊藤秀三, 農園源太良(1985) 植生凋謝法 II-植物社會學的?究法. 共立的版株式會社, 190쪽 

  14. 예산군(2005) '산림종합계획' 388쪽 

  15. 예산군(2006) '예산군 경제림 육성단지 기본관리계획' 명진사, 403쪽 

  16. 이병천, 윤충원, 신준환, 오정수(2001) 면산 일대 산림식생의 군락분류에 관한 연구. 한국임학회지 90(4): 548-557 

  17. 이병천, 윤충원(2002) 내연산 일대 삼림식생의 군락분류에 관한 연구. 한국생태학회지 25(3): 153-161 

  18. 이창복(2003) 원색 대한식물도감. 향문사, 서울, 910쪽 

  19. 이호준(1992) 안면도 소나무림의 종조성파 군락특성. 건국대학교 이학논집 17 

  20. 임경빈(2007) 신고 조림학원론. 향문사, 서울, 491쪽 

  21. 정용문, 방의석, 조용현, 김현숙, 송호경(2006) 아산시 영인산의 산림군락 구조.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지 9(4): 60-66 

  22. 홍성천, 변수현, 김삼식 (1987) 원색한국수목도감. 계명사, 서울, 310쪽 

  23. Braun-Blanquet, J. (1964) Pflanzesoziologie Grundzuge der Vegetation der Vegetation 3. Auf, Springer-Verlang, Wien, N. Y., 865pp 

  24. Ellenberg, H.(1956) Grundlagen der vegetationsgliedcrung. I. Aufgaben und Methoden der Vegetationskunde. In: Walter, H. (Hrsg,) Einfuhrung in die Phytologie IV. 136pp. Stuttgart 

  25. Muller-Dombois, D. and H. Ellenberg(1974) Aims and methods of vegetation ecology, Wiley, New York, 525pp 

  26. Spurr S. H. and B. V. Barnes(1980) Forest Ecology, 3rd ed, Wiley, New York, 603pp 

  27. Water, H. (1979) Vegetation of the Eatth and Ecological Systems of the Geo-biosphere, 2nded. Springer-Verlag, New York, 274pp 

  28. Westhoff V. and E. van der Maarel(1978) The Braun-Blanquer approach. In: Whittaker, R.H. (Ed.) Classification of plant communities. Boston: Junk, PP. 617-72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