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영재교육 교사 전문성의 구성요소 탐색 연구
Exploration on the Elements of Teacher's Professionalism in Gifted Education 원문보기

英才敎育硏究 =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v.17 no.1, 2007년, pp.77 - 98  

박경희 (경남대학교) ,  서혜애 (경상대학교 과학영재교육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교사 전문성의 수준은 곧 교육의 질을 좌우하며, 영재교육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따라서 영재교육 교사 전문성에 대한 논의는 곧 영재교육의 질을 제고하는 방향 모색의 기반을 이룬다. 본 연구에서는 먼저 국내외 교사 전문성 관련 국내외 문헌을 고찰하여 영재교육 교사 전문성의 구성요소를 추출하였으며, 다음으로 요인분석을 통하여 교사 전문성의 구성요소를 지식기반, 능력기반, 상황기반 전문성으로 구분하였다. 마지막으로 2005년 한국교육개발원 영재교육 교사연수에 참여한 교사들을 대상으로 영재교육 교사의 전문성에 대한 학교급별 및 교과별 교사 인식의 차이를 다변량 분석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중등 교사들이 초등 교사에 비해 전공 교과 전문지식 획득과 첨단지식 및 정보 습득 측면에서 또한, 과학 교사들이 수학 교사에 비해 영재교육 프로그램 개발 능력과 영재교육 평가방법의 전문성에 대한 중요성을 높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t has been said that the level of teacher professionalism determines the quality of education. The same notion allies for gifted education. Therefore, exploration of teacher professionalism in gifted education may provide fundamental bases for raising the quality of gifted education. In this study,...

주제어

참고문헌 (31)

  1. 강호감, 최선영 (2004). 과학영재교육 담당교원의 전문성 계발에 관한 연구. 과학교육논총. 16. 137-160 

  2. 김이경, 유균상, 이태상, 박상완, 정금현 (2004). 교사 평가 시스템 연구. 기초연구 RR2004-6. 서울 : 한국교육개발원 

  3. 김혜숙 (2003). 교원 전문성과 질의 개념 및 개선전략 탐색. 교육학연구. 41(2). 93-114 

  4. 김홍원, 조석희, 이윤식, 박주상 (2000). 영재교육 담당 교원 양성 및 임용 방안 연구. 수탁연구 CR2000-16.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5. 노명완 (2001). 중등교육과 교사의 수업 전문성. 한국교사교육. 18(1). 45-68 

  6. 문용린 (2002). 교직 경쟁력의 의미와 방향. 한국교육개발원 교육정책포럼: 한국교육의 경쟁력. 2002-4, 1-26. 서울 : 한국교육개발원 

  7. 서혜애, 손연아 (2003). 영재교육기관 교수?학습 실태 분석. 수탁연구 CR2003-26.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8. 소경희 (2003). '교사 전문성'의 재개념화 방향 탐색을 위한 기초연구. 교육과정연구. 21(4). 77-96 

  9. 신극범 (1997). 21세기 정보화 사회와 교원 정책. 국제심포지움 자료 17-25 

  10. 윤종건 (2000). 포스터모더니즘, 구성주의 그리고 바람직한 교사상. 한국교사교육.17(3). 213-229 

  11. 이돈희, 강인애 (1999). 지식기반사회와 교육. 서울: 교육부 

  12. 이명숙 (2003). 교사의 전문적 지식. 대구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초등교육연구논총. 19(1). 395-424 

  13. 이윤식 (2004). 교사평가제도의 쟁점 및 발전적 대안 탐색. 한국교원교육연구. 21(3). 329-361 

  14. 이종재 (2004). 교원평가의 방향과 과제. 교사평가 어떻게 할 것인가. 2004년도 한국교육학회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서울: 한국교육학회 

  15. 이주한 (2003). Dewey의 지성 개념에 입각한 교사상 탐색. 초등교육연구. 16(1). 79-97 

  16. 장영숙, 강경석 (1999). 영재교육 담당교사의 자질 향상 및 전문성 개발에 관한 연구. 영재교육연구. 9(2). 1-22 

  17. 정혜영 (2002). 전문성 향상을 위한 초등교사 양성교육 프로그램 개선방안. 초등교육 연구. 15(2). 425-457 

  18. 조동섭 (2005). 교사의 전문성 제고를 위한 정책 방향과 과제. 정책포럼 교육선진화를 위한 교원의 전문성 제고 방안. 2005년 5월13일 정책포럼. 한국교원교육학 회?좋은국회교육연구회: 서울 

  19. 조영남 (2001). 초등교사의 교사 효과성 평가 준거 개발에 관한 연구. 초등교육연구. 14(3). 243-268 

  20. 탁진국 (2003). 심리검사: 개발과 평가방법의 이해. 서울: 학지사 

  21. 한명희 (1997). 중등교원 양성교육과정의 전문성 확보: 교육과정 구조와 논거를 중심으로. 교육학연구. 34(5). 171-195 

  22. Barnett, J., & Hodson, D. (2001). Pedagogical context knowledge: Toward a fuller understanding of what good science teachers know. Science Education, 85(4). 426-453 

  23. Castetter, W. B. (1986). The personal function in educational administration. New York:Macmillan Publishing Co 

  24. Driel, J., Beijaard, D., & Verloop, N. (2001).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Reform in Science Education: The Role of Teachers' Practical Knowledg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8(2). 137-158 

  25. Hultgren, H. (1982). Competencies for teachers of the gift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Denver. Dissertation Abstracts International 

  26. Landrum, M. S. (2001). Professional development. In M. S. Landrum, C. M. Callahan, & B. D. Shaklee(Eds.), Aiming for excellence: Annotations to the NAGC pre-Kgrade 12 gifted program standards. New York: Prufrock Press Inc 

  27. Maker, C. J. (1975). Training teachers for the gifted and talented: A comparison of models. Reston, VA: Council for Exceptional Children 

  28. Maker, C. J. (1982). Curriculum development for the gifted. Rockville, MD: Aspen Systems Corporation 

  29. Shulman, L. S. (1986). Those who understand: Knowledge growth in teaching. Educational Researcher, 15(2). 4-14 

  30. Shulman, L. S. (1987). Knowledge and teaching: Foundations of the new reform. Harvard Educational Review, 57(1). 1-22 

  31. Wallace, J., Nesbit, C., & Miller, A. (1999). Six Leadership Models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in Science and Mathematics. Journal of Science Teacher Education, 10(4). 247-268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