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자연재해 분류 표준안에 관한 고찰
Investigation of Standardization for Natural Disaster Classification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7 no.11, 2007년, pp.309 - 319  

한승희 (공주대학교 공과대학 건설환경공학부) ,  양금철 (공주대학교 공과대학 건설환경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자연재해에 대한 올바른 인식은 발생한 재해에 대한 원인을 규명하여 방지하거나 저감하는 대책을 수립함으로써 인명 및 재산피해를 줄일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우선 명확한 자연재해의 범주를 정해야 하고 분류체계를 정비해야 한다. 또한 재해발생 시 신속한 현장조사와 함께 데이터가 구축되어 전문가 차원에서의 원인규명이 되어야 한다. 우리나라의 자연재해 분류체계는 자연재해대책법상에 정해져 있다. 그러나 이 분류는 재해의 관리적 차원에서 분류한 것이므로 기술정보의 구축을 위해 전문가적인 입장에서의 재조명이 필요하다고 본다. 따라서 선진 각국들의 분류사례를 수집분석하고 관련분야의 전문가 의견이 고려된 한국형 분류체계가 필요하다. 자연재해관련 정보의 체계적인 DB가 구축된다면 인터넷 가상공간에서 다양한 정보서비스가 가능하며 자연재해로 인한 방재대책을 수립하는데 큰 도움이 될 것으로 확신한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자연재해의 분류체계를 수집 분석하여 전문기술분야에 맞는 한국형 자연재해분류체계안과 온톨로지를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ight comprehension of the natural disaster could reduce the damage of human life and property by explaining the cause of the disaster and considering a counterplan to decrease or prevent it. To do this, it should precede to clarify the category of the natural disaster and classification. Also, whe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따라 재해항목들을 분류하여 1차적인 분류 안을 제시하고 다음 단계로 우리나라의 재해비중과 기존의 정서를 고려하여 2차 분류안을 도출한다. 2차 분류 안에 대해 관련분야 전문가를 중심으로 한 자문을 통해 수정하여 최종적인 자연재해 표준안을 제시하고 시소러스와 온톨로지를 완성하고자 한다[그림 1].
  • 그러나 자연재해를 다루는 목적은 사전에 예방하거나 예보체계를 갖추어 피해를 경감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볼 때 일반인이 이해할 수 있는 일반적인 것이라야 한다는 전제조건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각 재해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분류되고 있는 항목을 중심으로 조사하였다. 다음에 각각의 수문기상학적 재해의 분류 식별자를 제시하였으며 [그림 6]과 같이 세분류를 정리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분석한 결과 자연재해 중 우리나라에서도 빈번히 발생하고 있는 산사태와 산불을 추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이를 자연재해에 포함시킬 것을 제안하는 바이다. 또한 우리나라에서는 폭풍해일과 쓰나미를 혼동해서 사용 하고 있으나 폭풍해일은 기상이 원인이며 쓰나미는 지진, 산사태, 소행성 충돌이 원인이 된다.
  • 본 연구에서는 위에서 거론한 법적 분류체계를 바탕으로 외국의 사례를 분석하여 대분류, 중분류, 세분류, 그리고 필요에 따라서는 세세분류까지 표준 분류 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우선 국내외 분류를 조사하여 빈도수를 분석하고 우리나라 자연재해 피해 비중을 고려, 범위를 정하고자 한다.
  •  중 . 세분류로 정리하였으며, 이에 대한 시소러스(Thesaurus)와 온톨로지 (Ontology)를 구축하여 표준분류체계안을 구축하고자 한다.
  • 분석대상 재해의 종류는 21가지로 홍수해 (Flood), 지진재해(Earthquake), 산사태재해(Landslide), 태풍해 (Tropical cyclone), 한해 가뭄(Drought), 해일 재해 (Tsunami), 산불재해 (Wild land fire), 뇌해 (Thunder storm, Lightning), 회오리재해(Tomado), 강풍(Strong wind), 혹한해(Extreme cold), 폭서해(Extreme heat), 겨울폭풍, 설흐IRWinter storm, Heavy snow), 호우해 (Flash flood), 황사재해 (Yellow dust), 조수재해 (Tide sea level rise), 풍랑(Wave surges), 적조재해 (Red tide), 지반붕괴 (Landslide), 급격한 퇴적물이 동재해 (Rapid sediment movement), 해안침식재해(Goastal erosion) 등이다. 여기에 우리나라 자연재해대책법에서 정의하고 있는 재해에 표시를 해 보았다. 우리나라 11개의 재해가 17번째까지 분포되어 있다.
  • 이 그래프로 부터 현재 우리나라에서 기 분류하고 있는 체계를 평가를 하고 바람직한 중분류안을 도출하고자 한다. 분석대상 재해의 종류는 21가지로 홍수해 (Flood), 지진재해(Earthquake), 산사태재해(Landslide), 태풍해 (Tropical cyclone), 한해 가뭄(Drought), 해일 재해 (Tsunami), 산불재해 (Wild land fire), 뇌해 (Thunder storm, Lightning), 회오리재해(Tomado), 강풍(Strong wind), 혹한해(Extreme cold), 폭서해(Extreme heat), 겨울폭풍, 설흐IRWinter storm, Heavy snow), 호우해 (Flash flood), 황사재해 (Yellow dust), 조수재해 (Tide sea level rise), 풍랑(Wave surges), 적조재해 (Red tide), 지반붕괴 (Landslide), 급격한 퇴적물이 동재해 (Rapid sediment movement), 해안침식재해(Goastal erosion) 등이다.
  • 이러한 DB구축은 자연재해의 정의 및 분류표준을 기초로 이루어 지지 않으면 모든 정보는 일관성을 가질 수 없으며 나아가서는 법제화를 통해 제각기 동떨어진 지식의 조각에 불과할 것이다. 이러한 배경으로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우리나라 자연재해 분류체계를 고찰하고 각국의 관련기관 및 연구소에서 사용하고 있는 분류를 대 . 중 .
  • 이상으로 세계 각국의 기관과 전문가들의 분류를 살펴보았다. 80~90%가 원인 별 분류를 하고 있었고 드물게 시간적인 면과 원인, 결과에 따라 분류하고 있다.

가설 설정

  • 기타 역시 모호성이 있으므로 수문기상, 지질학적 재해 대분류에 포함시키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또한 적조, 녹조, 동식물 전염병 등의 생물학적 재해도 앞으로 고려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이상 대 분류자료를 분석한 결과 [그림 2]와 같은 대분류 안을 제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