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형 기억 및 행동문제 개정점검표(Korean Version of the Revised Memory and Behavioral Problems Checklist: K-RMBPC)"의 타당화를 위한 탐색적 연구
A Cross-Valid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Revised Memory and Behavioral Problems Checklist(K-RMBPC): Exploratory and Confirmatory Analyses 원문보기

韓國社會福祉學 =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v.59 no.2, 2007년, pp.65 - 88  

이민홍 (동의대학교) ,  윤은경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표는 서양에서 가족수발자가 돌보는 노인의 인지적 기능을 평가하기 위해 개발된 기억 및 행동문제 개정점검표를 우리나라 요보호노인의 가족수발자에게 맞게 수정하여 한국형 기억 및 행동 문제 개정점검표를 제시하는 것이다. 연구에 참여한 가족수발자 387명을 무작위로 두 집단으로 나눠서, 연구 1에서는 기억 및 행동문제 개정점검표의 신뢰도, 탐색적 요인, 수렴 및 기준 타당도 분석을 실시하였고, 연구 2는 연구 1에서 제시한 한국형 기억 및 행동문제 개정점검표의 신뢰도 분석, 확증적 요인분석, 수렴 및 기준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수정된 척도(K-RMBPC)가 노인의 기억 및 행동문제를 측정하기 위한 도구로서 적절함을 통계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이는 사회복지 연구와 실천현장에서 노인의 인지적 기능을 더욱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틀로 사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valuates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Revised Memory and Behavioral Problems Checklist(RMBPC) in Korean version. The sample includes 387 South Korean family caregivers who provide the majority of day to day tasks and emotional care for their older family members with physical and/or c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무작위로 선별된 집단 1과 집단 2가 실제로 동질성을 갖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Chi-square 분석을 하였다. 가족수발자와 수발을 받고 있는 노인의 성별 및 연령이 편향성(sample-selection bias) 없이 두 집단으로 분리되었는지를 검증하는 것이다. 그 결과는 <표 1>과 같이 두 집단이 α= .
  • 이를 통해 사회복지실천현장과 사회복지연구에서 보다 정확하게 장애가 있는 노인의 인지적 기능정도를 측정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나아가 타당화 과정을 거치지 않고 사용되고는 측정도구들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를 위한 초석을 마련하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억 및 행동문제 개정점검표(R-MBPC)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여 우리나라 가족수발자에게 알맞은 노인의 인지적 기능정도를 측정하는 척도를 제시하고자 한다. 즉 이 연구의 목적은 기억 및 행동문제 개정점검표(R-MBPC)의 내적신뢰도와 함께, 구조적 차원성을 탐색해보고, 탐색된 구조적 차원성의 모델이 적합한지 여부를 검증하는 것이다.
  • 본 연구는 서양에서 가족수발자가 보호하고 있는 장애 노인의 인지적 기능을 평가하기 위해 개발된 기억 및 행동문제 개정점검표(R-MBPC)를 우리나라 요보호노인의 가족수발자에게 적절하게 수정하여 한국형 기억 및 행동문제 개정점검표(K-RMBPC)를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원래 기억 및 행동문제 개정점검표(R-MBPC)의 문항들을 적절하게 수정하기 위한 작업으로서 신뢰도 분석과, 탐색적 요인분석, 확증적 요인분석, 수렴 및 기준 타당도를 실시하였다.
  • 본 연구는 한국형 기억 및 행동문제 개정점검표(K-RMBPC)의 개발 및 타당화 검증을 위하여 두 가지 연구로 구성되었다. 연구 1에서는 원래 척도인 기억 및 행동문제 개정점검표(R-MBPC)를 한국가족수발자를 통해 조사하였을 경우의 신뢰도와 내재된 구조적 차원성을 탐색적 요인분석(EFA)으로 분석하였다.
  • 본 연구에서 노인학대를 측정하기 위해 노인학대충동을 조작화하였다. 가족수발자에 의한 노인학대 정도를 측정할 경우에는 응답자의 비밀을 지켜줘야 하는 원칙과 학대하는 가족을 신고해야 하는 의무사이에 가치충돌이 발생하기 때문이다(Lee, 2006b).
  • 위와 같이 기억 및 행동문제 개정점검표(R-MBPC)는 우울증상(Depression), 공격증상(Disruption), 기억관련 문제(Memory-Related Problems) 등의 세 가지 하위차원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가족수발자는 물론 사회복지실천가, 연구가 등이 쉽고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개발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기억 및 행동문제 개정점검표(R-MBPC)를 기초로 하여, 한국형 기억 및 행동문제 개정점검표(K-RMBPC)의 제시를 위한 타당화 검증을 하는 것이다. 국외적으로 이 척도에 대한 탐색적 요인분석(EFA) 및 확증적 요인분석(CFA)을 통해 구조적 차원성에 대한 검증을 실시하였으나, 우리나라에서 번역되어 사용되는 척도는 최근연구에서 탐색적 요인분석(EFA)만을 통해 구조적 차원성을 찾는데 멈추어 있다(이형석 외, 2004).
  • 연구 1에서와 마찬가지로 한국형 기억 및 행동문제 개정점검표(K-RMBPC)의 수렴타당도를 알아보기 위해, 이 척도와 가족수발자의 수발부담, 우울증, 노인학대충동 정도 등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표 9>에서 보듯이 한국형 기억 및 행동문제 개정점검표(K-RMBPC)는 수발부담, 우울증, 노인학대충동과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 연구 1의 주된 목적은 우리나라 가족수발자가 경험하게 되는 장애노인의 기억 및 행동문제 개정점 검표(R-MBPC)에 대한 하위 요인들을 파악하기 위해서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한국형 기억 및 행동문제 개정점검표(K-RMBPC)의 탐색적 모형을 추출하는 것이다. 주요인분석(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CA)에 기반한 탐색적 요인분석(EFA)은 내재된 하위 차원을 밝히기 위한 과정이다.
  • 90 이상인 경우 적합하다고 해석하는데(Davis, Flett, and Besser, 2002), 아래와 같이 본 연구의 결과는 이를 충족하고 있다. 종합하여 세 가지 구조적 차원성을 가진 한국형 기억 및 행동문제 개정점검표(K-RMBPC)의 모델 적합도가 좋음을 반영하는 것이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억 및 행동문제 개정점검표(R-MBPC)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여 우리나라 가족수발자에게 알맞은 노인의 인지적 기능정도를 측정하는 척도를 제시하고자 한다. 즉 이 연구의 목적은 기억 및 행동문제 개정점검표(R-MBPC)의 내적신뢰도와 함께, 구조적 차원성을 탐색해보고, 탐색된 구조적 차원성의 모델이 적합한지 여부를 검증하는 것이다. 여기에 더하여 노인의 인지적 기능에 유의미한 관계를 갖고 있는 변수들과의 관계에 기초한 수렴타당도(Convergent validity)와 수정된 척도가 기존의 척도(R-MBPC)를 상호 교환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기준타당도(Criterion-related validity)를 조사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행동문제 개정점검표의 세 가지 하위차원은? 위와 같이 기억 및 행동문제 개정점검표(R-MBPC)는 우울증상(Depression), 공격증상(Disruption), 기억관련 문제(Memory-Related Problems) 등의 세 가지 하위차원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가족수발자는 물론 사회복지실천가, 연구가 등이 쉽고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개발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기억 및 행동문제 개정점검표(R-MBPC)를 기초로 하여, 한국형 기억 및 행동문제 개정점검표(K-RMBPC)의 제시를 위한 타당화 검증을 하는 것이다.
R-MBPC의 한계점은? 기억 및 행동문제 개정점검표(R-MBPC)는 서양의 가족수발자가 수발받는 노인의 인지적 기능을 측정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문화적인 상황이 전혀 다른 우리나라의 가족수발자에게 이 척도를 번역하여, 내적 신뢰도만을 검증한 후 그대로 적용한다는 것은 정확한 측정도구로서 그 한계를 갖는다. 예를 들어, 국내연구에서는 김윤정(1993), 정현숙(1998), 조소연(2000) 등이 노인의 기억 및 행동문제를 측정하기 위하여 기억 및 행동문제 개정점검표(R-MBPC)를 사용하였지만 척도의 타당성 측면을 고려하지 못했다.
R-MBPC는 몇 개의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는가? 기억 및 행동문제 개정점검표(R-MBPC)는 24개의 문항으로 구성되어있으며, 대부분의 문항들은 원래의 기억 및 행동문제 점검표(MBPC)에서 신뢰도 및 타당성 검증을 통해 도출되었다. 추가적으로 인지적 기능저하를 가져오는 노인이 보일 수 있는 기억, 우울, 공격관련 문항들(e.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