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의 장애인자립생활센터 시범사업 평가와 향후 과제
The Evaluation of the Demonstration Program of Centers for Independent Living and the Future Direction in Korea 원문보기

韓國社會福祉學 =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v.59 no.2, 2007년, pp.197 - 222  

이익섭 (연세대학교) ,  김경미 (숭실대학교) ,  윤재영 (성균관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2005년에 실시된 장애인 자립생활센터 시범사업의 성과를 점검하고 향후 개선과제를 제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자립생활센터 프로그램의 평가는 결과 중심의 성과평가 방식에 따라 이루어졌으며 성과평가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하여 논리모델의 준거틀을 활용하였다. 논리모델의 구성요소에 따라 자원(투입), 활동(과정), 산출, 성과 등 4개 범주로 분석틀을 구성하고, 자립생활센터 소장 10명과 센터 이용자 231명을 대상으로 면접 및 전화 인터뷰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분석 결과, 68.8%의 이용자가 자립생활센터 서비스를 통해 지식(기술)을 습득하였으며, 87.0%가 삶의 변화를 경험한 것으로 응답하였고, 82.9%가 서비스에 만족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센터 서비스 이용 후 자신감 및 일상생활에서 유의미한 변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고용상태 및 자립생활실천 사례에 있어서도 상당한 성과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이 연구는 전 장애영역 및 읍 면지역으로 자립생활서비스 확대의 필요성, 자립생활센터의 제도화, 자립생활서비스의 질 향상을 위한 자립생활센터 연합체의 역량강화, 서비스 질을 높이기 위한 핵심서비스의 매뉴얼 개발 등을 제안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study aims to evaluate the outcomes of the Centers for Independent Living(CILs) demonstration program and to recommend future directions for CILs in 2006. The framework for the evaluation is a logic model, which facilitates outcome-based performance measurement. The measures associated with the ...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논리모델은 무엇인가? 논리모델은 “특정한 상황 속에서 주어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프로그램이 어떻게 작동하는지를 설득력 있게 그리고 쉽게 보여주는 모델”(McLaughlin and Jordan, 2004: 8)을 말하며, McLaughlin과 Jordan(1999: 66)은 이를 다시 프로그램의 예상되는 성과(performance)에 관한 '설득력 있는 이야기 '(convincing story)로 표현하였다. 논리모델은 학자에 따라 'Chains of Reason', 'Theory of Action', 'Performance Framework', 'Outcome Sequence Chart' 등으로 달리 불리기도 하며, 프로그램의 개발, 수정, 수행, 보급 등의 모든 단계에서 활용이 가능한 것으로서 프로그램의 개발과 평가를 하나로 묶어줄 수 있는 도구이다(Savaya and Waysman, 2005).
자립생활운동는 어떻게 출발하게 되었는가? 자립생활운동은 1960년대에 지역사회에서 생활하고자 하는 미국의 중증장애인들이 자신들의 네트워크를 만들고자 하는 생각에서 출발하였다. 1962년 버클리 대학에서 이 운동을 시작하여 자립생활의 아버지로 불리는 미국의 Edward Roberts(193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