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1930년대 할리우드 영화의상의 패션이미지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the Hollywood Film Costume of Fashion image in 1930s 원문보기

服飾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v.57 no.9, 2007년, pp.110 - 123  

송영경 (세종대학교 패션디자인학과) ,  임영자 (세종대학교 패션디자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s purposed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different images of Hollywood movie costumes centering on the costumes of actresses who are the fashion leaders creating fashions especially focusing on those in 1930s. The scope of this study covers the movie costumes selected from the movies...

주제어

참고문헌 (58)

  1. 권현진 (1994). 영화의상의 표현성에 관한 연구-아마데우스를 중심으로-.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1 

  2. 이혜성 (2005). 영화에 나타난 20세가 서양여성의 화장과 헤어스타일에 관한 연구 -1920년대부터 1960년대를 중심으로-. 원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78 

  3. 권현진 (1994). 영화의상의 표현성에 관한 연구-아마데우스를 중심으로-.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5 

  4. 이정희 (1997). 영화예술에 나타난 의상이 유행에 미친 영향. 복식, 31(2) 

  5. 조은영 (1996). 영화의상을 중심으로 대중패션의 분석. 대구카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정세희 (2000). 영화의상에 나타난 젠더(Gender)정체성: 1930년대부터 1990년대 까지를 중심으로.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America's Greatest Legends: the American Film Institute's list of the 50 greatest American screen Legends. 자료검색일: 2007, 2. 3, 자료출처: http://afi.com 

  8. Eberle Hannelore, Herman Hermeling, Marianne Hornberger, Dieter Menzer, Werner Ring. (1998). Clothing Technology, Verlag Europa-Lehrmittel: Berlm. P. 244 

  9. Menes Valerie & Amy de la Haye. 김정은(역) (2003). 20세기 패션. 서울: 시공사, p. 94 

  10. 백영자, 유효순 (1991). 서양의 복식문화. 경춘사, p. 328 

  11. 정흥숙 (1997). 서양복식문화사. 교문사, p. 373 

  12. Giannetti Louis, 김학용 (역) (1992). 영화: 형식과 이해. 서울: 새물결, p. 7 

  13. 이정자 (1985). 영화의상의 의미와 역할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21 

  14. 유태순, 조은영 (1988). 영화의상이 대중패션에 미친 영향. 대구카톨릭대학교 사회과학 연구소. 사회과학연구, p. 174 

  15. Elizabeth hurlock (1976). The psychology of Dress: An Analysis of Fashion and its Motive. NY: Arno Press, p. 142 

  16. 강현두 외 (1997). 현대 대중문화의 형성-1920-30년대 헐리우드. 서울대학교 언론정보연구소, 34호, p. 80 

  17. 성수광 (1997). 의류학개론. 교문사, p. 46 

  18. Regine & Peter W. Engelmeier(eds) (1997), p. 19 

  19. 양숙희, 한수연 (2007). 영화의상에 나타난 사치성에 관한 연구-할리우드 황금기 영화의상을 중심으로-. 복식, 57(4), p. 83 

  20. Christine Gledhill 박현미 (역) (1999). 스타덤: 욕망의 산업 1. 서울: 시각과 언어, p. 144 

  21. 이상률 (1993). 스타. 서울: 문예출판사, p, 176 

  22. 월간 멋 (1991). 멋(6), p. 147 

  23. 조영아 외 3인 (2007). 샵마스터. 시대고시기획, p. 98 

  24. 한성지, 김이영 (2007). 패션디자인. 교학연구사, p. 220 

  25. 장애란 외 2인 (2003). 패션코디네이션. 예학사, p. 32 

  26. David Bond. op. cit, p. 48 

  27. Haye. A. (1988). Fashion Book. London: A Macdonald Orbis Book, p. 45 

  28. 자료검색일 2007. 8. 1, 자료출처 www.allposter.com 

  29. 자료검색일 2007. 8. 1, 자료출처 www.allposter.com 

  30. 자료검색일 2007. 8. 1, 자료출처 www.seeing-star.com 

  31. 자료검색일 2007. 8. 1, 자료출처 www.mdle.dom/Classic Films 

  32. 자료검색일 2007. 8. 1, 자료출처 www.mptv.com 

  33. Berry Sarah (2000). Screen Style: Fashion and Feminity in 1930s Hollywood, Minneapolis: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p. 134 

  34. Epstein Beryl (1970). Fashion is Our Business. New York: Book for Liberaries Press, p. 146 

  35. Webster's 3rd New International dictionary of English Language (1981). Springfield, Mass.: G&G Merriam, p. 962 

  36. Rubinstein, Ruth P.(1995). Dress codes: Meaning and massages in American culture. Boulder: Westview Press, pp. 115-7 

  37. Buckley, Reka C. V. and Gundle, Stephen (2001). Flash Trash: Gianni Versace and the theory and Practice of Glmour. in Bruzzi, Stella and Gibson, Pamela. C. Fashion Cultures: Theories, Experimentations, and Analysis. New York, NY : Routlege, p, 331 

  38. Buckley, Reka C. V. and Gundle, Stephen (2001). Flash Trash: Gianni Versace and the theory and Practice of Glmour. in Bruzzi, Stella and Gibson, Pamela. C. Fashion Cultures: Theories, Experimentations, and Analysis. New York, NY : Routlege, p, 39 

  39. Rosa, joseph(2004). Fabricating affluence. in Rosa (Ed). Glamour: Fashion+industrial design+architecture. San Francisco Museum of Modern Art in association with New Haven, CT: Yale University Press, p. 16 

  40. 채금석, 이화정 (2002). 밀리터리 패션에 나타난 성적 이미지 연구. 복식, 52(1), p. 112 

  41. Baudot, Francous (1999). Fashion: The Twentieth Century. NY: University Press, p. 104 

  42. 박주희, 김민자 (2005). 1930년대 할리우드에 나타난 글래머스타일에 관한 연구. 복식. 55(6), p. 129 

  43. 자료검색일 2007. 8. 1, 자료출처 www.mdle.dom/Classic Films 

  44. 자료검색일 2007. 8. 1, 자료출처 www.seeing-star.com 

  45. 자료검색일 2007. 8. 1, 자료출처 www.seeing-star.com 

  46. 자료검색일 2007. 8. 1, 자료출처 www.mdle.com 

  47. David Bond. op. cit, p. 44 

  48. 한성지, 김이영 (2007). 패션디자인. 교학연구사, p. 221 

  49. 조영아 외 3인 (2007). 샵마스터. 시대고시기획, p. 112 

  50. 정칠선 (1999). 현대패션에 반영된 듀얼리즘에 관한 연구. 세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3-4 

  51. Mulvey, Kate & Richard, Melissa (1998). Decades of Beauty: the Changing Image of Women. 1980s-1990s. London: Octopus publishing Group Ltd., p. 84 

  52. Haskell, Molly (1987). From Reverence to Rape: The Treatment of women on the Movies (2nd ed), Chicago & London: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p, 112 

  53. 정소영 (2005). 헐리우드 스타의 패션 아이콘 -1930년대-1950년대 여성 스타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70 

  54. Maeder, Edward. op, cit, p. 82 

  55. Losck Ingrid. 이재원 (역) (2002). 여성들은 다시 가슴을 높이기 시작했다. 서울: 한길아트, p. 193 

  56. 정소영 (2005). 헐리우드 스타의 패션 아이콘 -1930년대-1950년대 여성 스타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93 

  57. 자료검색일 2007. 8. 1, 자료출처 www.stanford.edu/~brooksie/Marlene/Dietrich.HTML 

  58. 자료검색일 2007. 8. 1, 자료출처 www.stanford.edu/~brooksie/Marlene/Dietrich.HTML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