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영화의상에 나타난 사치성에 관한 연구 - 할리우드 황금기 영화의상을 중심으로 -
Luxury Expressed in Movie Costumes - Focused on Hollywood Golden Age Movie Costumes - 원문보기

服飾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v.57 no.4 = no.113, 2007년, pp.81 - 94  

양숙희 (숙명여자대학교 의류학과) ,  한수연 (숙명여자대학교 의류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Luxury, an expression of richness and expensiveness which can be achieved after putting in extensive an elaborate handworks, has been expressed in Hollywood movie costumes.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explore the characteristics of movie costumes of Hollywood studio designers, and to contemplat...

주제어

참고문헌 (69)

  1. Richard Dyer (1985). Entertainment and Utopia, in Movies and Methods, 3, ed, Bill Nichols, Berkle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pp.220-32 

  2. Sarah Berry (2000) Screen style: Fashion and Femininity in 1930s Hollywood, Minneapolis, MN: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p.48에서 재인용 

  3. Joanne Finkelstein (2005). After a Fasion. 김대응, 김여경 역. 서울: 청년사, p.75 

  4. Anne Massey (2000). Hollywood Beyond the Screen. Oxford and NY: Berg 

  5. Gilles Lipovetsky & Elyette Roux (2004). 사치의 문화: 신성의 시대에서 상표 시대로, 유재명 역. 서울: 문예. pp. 13-18 

  6. Sarah Berry (2000) Screen style: Fashion and Femininity in 1930s Hollywood, Minneapolis, MN: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7. Stella Bruzzi (1997). Undressing Cinema: Clothing and Identity in the Movies, London: Routledge 

  8. 정세희 (2000). 영화의상에 나타난 젠더 정체성.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9. Elizabeth Leese (1991). Costume Design in the Movies, NY: Dover: 

  10. 김복희(2006), 영화 〈사랑보다 아름다운 유혹〉에 나타난 팜므파탈 의상의 미적 특성, 복식 56(9) 

  11. 김지선, 염혜정 (2004). SF영화에 나타난 가죽 의상의 사이버레지스탕스 미학 연구. 복식,54 (2) 

  12. 조윤영, 양숙희(2003). 영화의상에 나타난 엘리자베스 여왕 1세 로브의 표현효과. 복식,53(3) 

  13. 김현숙(2003). 영화의상 〈매트릭스2-리로디드〉에 나타난 포스트모던 패션 이미지 연구. 복식, 53(7) 

  14. 신경섭, 박혜원(2000). 영상산업과 패션산업 연계의 시각에서 본1990년대 영화의상의 이미지 연구. 복식, 50(3) 

  15. David Bond (1992). Glamour in Fashion. Middlesex, Great Britain: Guinness Publishing 

  16. 권현진(1994). 영화의상의 표현성에 관한 연구. 숙명 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p. 12 

  17. 김현숙(1995) 무대의상 디자인의 세계. 서울. 고려원, p. 31 

  18. Gaines and Herzog (1990). Fabrication: Costume and the Female Body. NY: Routledge, p. 181 

  19. 최경희, 김민자(2000). 1960년대 이후 한국영화에 나타난 복식의 변천. 복식, 50(8), p. 181 

  20. Regine & Peter W. Englemeier (1997). Fashion in Film, Munich: Prestel-Verlag, p.7 

  21. 신강호(1991). 할리우드 스튜디오 시대 황금기. 영화연구, 8(1), pp. 97 -118 

  22. David Bond (1992) 

  23. David Bond (1992). Glamour in Fashion. Middlesex, Great Britain: Guinness Publishing, p. 18 

  24. 박주희(2005). 1930년대 할리우드에 나타난 글래머 스타일에 관한 연구. 복식, 55(6),p. 127 

  25. Sarah Berry (2000). Screen style: Fashion and Femininity in 1930s Hollywood, Minneapolis, MN: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pp.47-93 

  26. Annette Tapert (1998). The Power of Glamour. NY: Crown Publishers. p. 10 

  27. Margaret F. Thorp (1939). America at the Movies. New Haven. CT: Yale University Press. pp. 68-75 

  28. 박주희(2006). 현대패션에 나타난 글래머 스타일의 미적 특성.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p.54에서 재인용 

  29. Englemeier and Elglemeier, op. cit, p. 19 

  30. http://alldic.daum.net/dic/search_result_total.do?typeall&qlukury 

  31. Gilles Lipovetsky & Elyette Roux (2004). 사치의 문화: 신성의 시대에서 상표 시대로, 유재명 역. 서울: 문예.; pp, 13, 22-45 

  32. James B. Twitchell (2003). 럭셔리 신드롬. 최기철 역, 서울 : 미래의 창, p.16 

  33. 고현진 (2003). 복식에 표현된 엘레강스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p. 37 

  34. Werner Sombart (1977). 사치와 자본주의, 이상률(역), 서울:문예, p. 101 

  35. 김유로 (1999). 1990년대 패션에 나타난 쾌락주의.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 44 

  36. Leah Feldon (1982) Dressing Rich: A Guide to Classic Chic for Women with More Taste than Money, NY: Universe.com Inc., pp. 32-36 

  37. 고현진, 복식에 표현된 엘레강스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p. 38에서 재인용 

  38. Werner Sombart, 사치와 자본주의, 이상률(역), 서울:문예, PP. 157-159 

  39. Gilles Lipovetsky & Elyette Roux (2004).사치의 문화: 신성의 시대에서 상표 시대로, 유재명 역. 서울: 문예; pp. 49-52 

  40. 박주희 (2006). 1930년대 할리우드에 나타난 글래머 스타일에 관한 연구. 복식, 55(6) 

  41. Pierre Bourdieu (1997). 구별짓기: 문화와 취향의 사화학 上. 서울: 새물결, 최종혁 역, p. 291, pp, 52-53 

  42. Thornstein Veblen (2005). 유한계급론, 서울 : 우물이 있는 집, 김성균 역 

  43. Englemeier and Elglemeier, op. cit, p. 19 

  44. Howard Gutner (2001). Gowns by Adrian. NY: Harry N. Abrams 

  45. Anne Tapert (1998). The Power of Glamour. NY: Crown Publishers.. pp. 53-54 

  46. Gaines & Herzog, Fabrication: Costume and the Female Body. NY: Routledge, pp, 125-128 

  47. Englemeier and Elglemeier, op. cit, p. 238 

  48. Englemeier and Elglemeier, op. cit, p. 240 

  49. 이정희 (1996). Edith Head의 작품을 통해본 영화의상에 관한 연구. 복식문화연구, 4(2), pp. 236-237 

  50. 이정희 (1996). Edith Head의 작품을 통해본 영화의상에 관한 연구. 복식문화연구, 4(2).. pp. 242-243 

  51. Sandy Schreier (1998). Hollywood Dressed and Undressed: A Century of Cinema Style. NY: Rizzoli, p. 27 

  52. Anne Massey (2000), Hollywood Beyond the Screen. Oxford and NY: Berg. pp. 21-42 

  53. Dale McConathy & Diana Vreeland (1976). Hollywood Costume: Glamour. Glitter. Romantic. NY: Harry N. Abrams. pp, 22-23 

  54. Joseph Rosa (2004). Glamour: Fashion+Architeeture+Industrial Design. San Francisco: San Francisco Museum of Modern Art. p. 41에서 재인용 

  55. Thomas Harris (1999). 대중적 이미지 만들기: Grace Kelly와 Marilyn Monroe, in Christine Gledhill. 스타덤: 욕망의 산업 I. 서울: 시각과 언어. 조혜정, 박현미 역, pp. 77-80 

  56. 박진배(2001). 영화, 디자인으로 보기 2. 서울 : 디자인하우스. .pp 53-55 

  57. Joseph Rosa (2004), Glamour: Fashion+Architeeture+Industrial Design. San Francisco: San Francisco Museum of Modern Art, p. 124 

  58. Gilles Lipovetsky & Elyette Roux (2004). 사치의 문화: 신성의 시대에서 상표 시대로, 유재명 역. 서울: 문예;. pp. 49-51 

  59. Anne Massey (2000), Hollywood Beyond the Screen. Oxford and NY: Berg 

  60. Sarah Berry (2000) Screen style: Fashion and Femininity in 1930s Hollywood, Minneapolis, MN: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61. Joseph Rosa (2004). Glamour: Fashion+Architeeture+Industrial Design. San Francisco: San Francisco Museum of Modern Art 

  62. 박주희(2006), 현대패션에 나타난 글래머 스타일의 미적 특성.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63. 한수연(2006). 현대패션에 표현된 글래머 룩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64. Charles Eckert (1999). The Carol Lombard in Macy's Window in Glendhill Christine . p. 67 

  65. Joseph Rosa. (2004) Glamour : Fashion+Architeeture+Industrial Design. San Francisco: San Francisco Museum of Modern Art. pp. 16-17 

  66. Elglemeier and Elglemeier, Fashion in Film, Munich: Prestel-Verlag.. p. 229 

  67. Gilles Lipovetsky & Elyette Roux (2004). 사치의 문화: 신성의 시대에서 상표 시대로, 유재명 역. 서울: 문예;. pp. 56-62 

  68. David Bond (1992). Glamour in Fashion. Middlesex, Great Britain: Guinness Publishing, p. 25 

  69. Stella Bruzzi (1997). Undressing Cinema: Clothing and Identity in the Movies, London: Routledge pp. 73-74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