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진해시 남동부 화성쇄설암 내 화강암편의 특징과 층서적 의미
Characteristics and Stratigraphic Implications of Granitic Rock Fragments in the Pyroclastic Rocks, SE Jinhae, Korea 원문보기

암석학회지 = The journal of the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v.16 no.3 = no.49, 2007년, pp.116 - 128  

조형성 (부산대학교 지구환경시스템학부) ,  김종선 (부산대학교 지구환경시스템학부) ,  이정환 (부산대학교 지구환경시스템학부) ,  정종옥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석유해저자원연구부) ,  손문 (부산대학교 지구환경시스템학부) ,  김인수 (부산대학교 지구환경시스템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경상분지 남부 진해시 남동부 일원에 분포하는 화성쇄설암 내 화강암편의 기원암과 퇴적시기 그리고 층서적 의미를 밝히기 위하여 지질도 작성, 암석기재, 지화학 및 대자율 분석 그리고 K-Ar 절대연대 측정이 수행되었다. 그 결과, 연구지역의 지질은 하위로부터 유천층군의 화산암류와 응회질 퇴적암, 불국사화강암류, 화강암편을 포함한 화성쇄설암, 현무암 내지 현무암질 안산암류 그리고 최후기의 유문암질암으로 구성되어 있음이 새로이 밝혀졌다. 화성쇄설암 내 화강암편들은 화강섬록암과 흑운모화강암으로 구분되며, 이들 각각은 불국사화강암류에 속하는 연구지역 일원의 화강섬록암 및 흑운모화강암과 색깔, 입자크기와 광물조성, 조직(퍼사이트 조직과 미문상 조직), 대자율(자철석 계열) 그리고 지화학적 특징(칼크-알칼리 계열, 희토류원소의 함량 분포)에서 매우 유사함이 밝혀졌다. 따라서 이들 화강암편은 경상분지 기반암인 영남육괴나 쥬라기 화강암으로부터가 아니라 연구지역 일원의 불국사화강암류로부터 기원된 것이다. 또한 야외 암석의 선후관계와 화강암편, 화강암류, 안산암질 암맥 그리고 현무암질 화산암류의 연대측정 결과들을 종합하면, 화강암편을 포함하는 화성쇄설암을 생성시킨 화산활동의 시기는 $52{\sim}16Ma$제3기 에오세${\sim}$마이오세 초에 해당되는 것으로 결론지어진다. 이는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경상분지의 층서와는 달리 불국사화강암류의 관입 이후에도 연구지역에 염기성에서 산성까지 다양한 화산활동이 발생하였음을 의미한다. 이상의 결과는 경상분지 동남부의 다른 지역에 분포하는 유천층군 화산암류의 층서 수립에 있어서 선후관계를 고려한 매우 세심하고 주의 깊은 암상분대와 연령측정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Detailed geological mapping, petrographic study, analyses of geochemistry and magnetic susceptibility, and K-Ar dating were carried out in order to determine the origin, age, and stratigraphic implications of granitic rock fragments in the pyroclastic rocks, SE Jinhae city, southern part of the Gyeo...

주제어

참고문헌 (42)

  1. 고정선, 김은희, 윤성효, 2004, 부산 가덕도 지역 백악기 화성암류에 대한 암석학적 연구. 암석학회지, 13, 47-63 

  2. 김규한, 1992, 남한의 일부 중생대 화강암류의 지화학적 연구. 광산지질, 25, 435-446 

  3. 김규한, 이화정, 1996, 경상퇴적분지내에 분포하는 소위 마산암에 대한 암석성인연구. 자원환경지질, 29, 529-541 

  4. 김동학, 황재하, 박기화, 송교영, 1998, 한국지질도(1:250,000) 부산도폭 및 설명서. 한국지질자원연구원, 62p 

  5. 김종선, 김건기, 좌용주, 이준동, 2004, 경상분지 화강암류에서 발견되는 엔클레이브(포유암)에 대한 암석기재적 연구. 암석학회지, 13, 1-15 

  6. 김종환, 김정택, 1963, 한국지질도(1:50,000) 마산도폭 및 설명서. 국립지질조사소, 26p 

  7. 류삼형, 2005, 진해 천자봉-시루봉 일원에 분포하는 마이오세 화산암에 관한 암석학적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이학석사 학위논문, 89p 

  8. 류충렬, 이상원, 2003, 김해-마산-진해-창원 지역의 지형과 지질구조: 환상구조와 단열계를 중심으로. 대한민국 구조지질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1, 21-45 

  9. 박태호, 좌용주, 2000, 경상분지에 분포하는 백악기-제3기 화강암류의 대자율의 지역적 변화 -자철석계열 및 티탄철석계열에 대한 재고찰-. 지질학회지, 36, 487-498 

  10. 이상만, 김상욱, 진명식, 1987, 남한의 백악기-제3기 화성활동과 지구조적 의의. 지질학회지, 23, 338-359 

  11. 이윤종, 1980, 언양 및 울산지역 화강암질암류의 암석화학적 연구. 광산지질, 13, 69-79 

  12. 이하영, 김상욱, 1964, 한국지질도(1:50,000), 김해도폭 및 설명서. 국립지질조사소, 28p 

  13. 장태우, 강필종, 박석환, 황상구, 이동우, 1983, 한국지질도(1:50,000), 부산.가덕도폭 및 설명서. 한국동력자원연구소, 22p 

  14. 정창식, 권성태, 김정민, 장병욱, 1998, 경상분지 북부에 분포하는 온정리 화강암에 대한 암석화학적, 동위원소 지화학적 연구: 경상분지 다른 지역과 서남 일본 내대에 분포하는 백악기-제 3기 화강암류와의 비교 고찰. 암석학회지, 7, 77-97 

  15. 조등룡, 1993, 남한에 분포하는 현생 화강암류의 기원에 대한 광물 및 암석화학적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50p 

  16. 조형성, 김종선, 이정환, 김인수, 2006, 진해시 남동부에 분포하는 화산쇄설암과 그 내에 포함된 화강암질역의 특징과 의의. 2006년 대한지질학회 추계학술대발표회 초록집, 15 

  17. 조형성, 김종선, 이정환, 손 문, 김인수, 2007, 진해시 남동부 화강암질암 암편을 함유하는 화성쇄설암의 특징. 2007년 춘계 지질과학기술 공동학술대회 초록집, 149-151 

  18. 한국자원연구소(KIGAM), 1995a, 한국지질도(1:1,000,000). 성지문화사 

  19. 한국자원연구소(KIGAM), 1995b, 한국 심성암 동위원소 연대지도(1:1,000,000). 성지문화사 

  20. Chang, K.H., 1975, Cretaceous stratigraphy of southeast Korea. J. Geol. Soc. Korea, 11, 1-23 

  21. Chang, K.H., 2002, A review on the stratigraphy and recent researches of the Cretaceous Gyeongsang Basin, Korea. The 1st and 2nd Symposiums on the Geology of Korea, Special Publication No.1, 1-9 

  22. Choi, H,I., 1986, Sedimentation and evolution of the Cretaceous Gyeongsang Basin. J. Geol. Soc. of London, 143, 29-40 

  23. Choi, H.I., 2002, Stratigraphy and sedimentatology of the Cretaceous Gyeongsang Supergroup in the southern Gyeongsang Basin: a synthetic review. The 1st and 2nd Symposiums on the Geology of Korea, Special Publication No.1, 10-20 

  24. Choi, P.Y., Kwon, S.K., Lee, S.R., Hwang, J.H., Angelier, J. and An, K.O., 2002, Late Mesozoic-Cenozoic tectonic sequence of Southeast Korea. The 1st and 2nd Symposiums on the Geology of Korea, Special Publication No. 1, 52-88 

  25. Cas, R.A.F. and Wright, J.V., 1987, Volcanic Successions: Modem and Ancient. Allen and Unwin, London, 528p 

  26. Choi, S.G., 2002, The genetic implications of Mesozoic gold-silver mineralization, South Korea. The 1st and 2nd Symposiums on the Geology of Korea, Special Publication No.1, 216-226 

  27. Cole, P.D. and Scarpati, C., 1993, A facies interpretation of the eruption and emplacement mechanisms of upper part of the Neopolitan Yellow Tuff, Campi Flegrei, Southern Italy. Bull. Volcanology, 55, 311-326 

  28. Fisher, R.V., 1966, Rocks composed of volcanic fragments. Earth-Science, Review 1, 287-298 

  29. Fisher, R.V. and Schmincke, H.U., 1984, Pyroclastic Rocks. Berlin: Springer-Verlag. 472p 

  30. Hong, Y.K., 1985, Geochemistry of the Cretaceous Eonyang and Yoocheon Granites in the southern Korea. J. Geol. Soc. Korea, 21, 90-108 

  31. Irvine, T.N. and Baragar, W.R.A., 1971, A guide to the common volcanic rocks. Canadian J. Earth Science, 8, 532-548 

  32. Jin, M.S., 2002, The study of Mesozoic igneous activity in the south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 History, problems and perspectives -. The 1st and 2nd Symposiums on the Geology of Korea, Special Publication No.1, 111-126 

  33. Jwa, Y.J., 2002, Geochemistry of Cretaceous granites in South Korea: the implications for tectonically controlled granitic magmatism. The 1st and 2nd Symposiums on the Geology of Korea, Special Publication No.1, 157-166 

  34. Koh, S.M., 2002, Geological, mineralogical and geochemical characteristics of the hydrothermal clay deposits in South Korea. The 1st and 2nd Symposiums on the Geology of Korea, Special Publication No. 1, 227-243 

  35. Lee, D.S., 1977, Chemical composition of petrographic assemblages of igneous and related rocks in south Korea. J. Kor. Int. Mining Geol. 10, 75-92 

  36. Lee, J.I., 1991, Petrology, mineralogy and isotopic study of the shallow-depth emplaced granitic rocks, southern part of the Kyeongsang Basin, Korea: Origin of Micrographic granite. Ph.D. thesis, Tokyo Univ., 197p 

  37. Lee, J.I., Kagami, H. and Nagao, K., 1995, Rb-Sr and K-Ar age determinations of the granitic rocks in the southern part of the Kyeongsang basin, Korea: Implications for cooling history of granitic magmatism during late Cretaceous. Geochem. J., 29, 363-376 

  38. Naylor. M.A., 1980, The origin of inverse grading in muddy debris flow deposits - a review. J. Sed. Petrol., 50, 1,111-1,116 

  39. Sparks, R.S.J., 1976, Grain size variations in ignimbrites and implications for the transport of pyroclastic flows. Sedimentology, 23, 147-188 

  40. Steiger, R.H. and J?ger, E., 1977, Subcommission on geochronology convension on the use of dacay constants in geo- and cosmo-chronology. Earth Planet. Sci. Lett., 36, 359-362 

  41. Sun, S.S. and McDonough, W.F., 1989, Chemical and isotopic systematics of oceanic basalts: implication for mantle compositions and processes. In Magmatism in ocean basins (ed. A.D. Saunders and M.J. Norry), Geol. Soc. London. Special Publication No. 42, 313-345 

  42. Yun, S.H., 2002, Cretaceous volcanic activity in the Korean Peninsula. The 1st and 2nd Symposiums on the Geology of Korea, Special Publication No.1, 167-18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