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제주도의 전 지역에 걸쳐 넓게 분포하고 있는 하성 퇴적층인 탐라층은 역암, 사암, 이암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대부분의 탐라층 이암 내에 다양한 크기의 석영이 다량 함유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XRD 분석의 결과, 탐라층에는 석영, 사장석, 칼륨장석, 운모, 자철석, 적철석, 감람석, 휘석, 깁사이트, 방해석, 아날심, 그리고 점토광물로서 일라이트, 카올린나이트, 버미큘라이트, 스멕타이트, 녹니석, $10{\AA}$-할로이사이트 등의 다양한 광물들이 산출되었다. 석영이 많은 곳일수록 카올린나이트, 버미큘라이트, 녹니석의 함량이 많아지는 경향이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들로 보아 탐라층의 근원암은 제주도의 화산암에서 기원된 것만이 아니며, 석영을 다량 함유한 기반암이 포함된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탐라층은 이전에 존재했던 기반암과 함께 제주도 화산암류의 물질들이 첨가되어 퇴적된 후, 속성작용, 열수작용, 풍화작용 등의 변질작용을 받아 형성된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fluvial Tamna Formation, consisting of conglomerate, sandstone and mudstone layers, is widely distributed in Jeiu Island. Various sizes of quartz crystals were identified from most of the Tamna Formation, including the mudstone layer. XRD analysis also shows that the mudstone layer is composed 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5에 나타냈다. 이러한 광물조합별 구성광물과 산출특성 등에 대해여 알아본다.
  • 이러한 해석을 뒷받침하기 위하여 제주도 전역에 널리 분포하는 탐라층을 대상으로 전체적인 구성광물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그 중에서도 모든 탐라층에서 산출되는 이암이나 세립질인 이질암 부분을 대상으로 연구하였다.
  • 이와 함께 제주도 전역의 탐라층에 대하여 퇴적상과 산출상태를 조사하고, 구성광물의 성분, 특성, 조합, 분포 등을 검토하여, 그 구성광물들의 기원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토대로 탐라층의 특성을 파악하고 근원암을 규명하는데 유용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이번 연구에서 도출된 X-선회절분석 결과를 통하여 시료별 구성광물의 광물조합을 검토하였다. 전암시료의 분석에 따른 주 구성광물 조합과, 시료를 점토입자로 분리 후 분석한 점토광물 조합으로 나누어 검토하였다.
  • 제주도의 라하르 퇴적물에는 이 4종류의 퇴적물이 모두 분포하고 있는데, 이들 중 암설사태 퇴적물을 제외한 퇴적물을 총괄하여 탐라층으로 명명하였다. 이에 기초하여 탐라층의 퇴적상을 검토한다.
  • 이전의 육안 관찰만으로 수행하였던 탐라층의 연구와는 달리 미립물질의 광물성분을 분석할 수 있는 X-선회절분석과 전자현미경 등의 방법을 사용하여, 이질암 부분에 대한 구성광물을 상세히 분석하였다. 이와 함께 제주도 전역의 탐라층에 대하여 퇴적상과 산출상태를 조사하고, 구성광물의 성분, 특성, 조합, 분포 등을 검토하여, 그 구성광물들의 기원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토대로 탐라층의 특성을 파악하고 근원암을 규명하는데 유용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라하르란 무엇인가? 화산지대에서는 고농도수류와 암설류 등에 의하여 방대한 양의 쇄설성 퇴적물이 하천에 의하여 운반 퇴적되는데, 이러한 퇴적물을 라하르라고 널리 불리어져 왔다. Smith and Lowe (1991)는 라하르의 운반과 퇴적작용을 (1) 저농도수류, (2) 고농도수류, (3)암설류, (4) 암설사태로 구분하였다.
라하르의 운반과 퇴적작용은 어떻게 구분되는가? 화산지대에서는 고농도수류와 암설류 등에 의하여 방대한 양의 쇄설성 퇴적물이 하천에 의하여 운반 퇴적되는데, 이러한 퇴적물을 라하르라고 널리 불리어져 왔다. Smith and Lowe (1991)는 라하르의 운반과 퇴적작용을 (1) 저농도수류, (2) 고농도수류, (3)암설류, (4) 암설사태로 구분하였다. 제주도의 라하르 퇴적물에는 이 4 종류의 퇴적물이 모두 분포하고 있는데, 이들 중 암설사태 퇴적물을 제외한 퇴적물을 총괄하여 탐라층으로 명명하였다.
제주도의 화산활동 3단계는 어떻게 구분되는가? Haraguchi (1931)는 제주도의 화산활동은 아래와 같이 3단계로 구분하였다. (1) 제주도의 최초 화산활동은 제3기 후기에 조면암질 마그마의 분출로 시작하여, 많은 돔상의 화산체가 형성되었다. 그 후의 휴식기에 서귀포층이 천해에서 퇴적되었다. (2) 플라이스토세 초에 화산활동이 점차로 증가하여 조면-안산암질 용암들이 분출하였고, 그 후에 화산활동은 크게 쇠퇴하였다. (3) 그 이후에 다시 화산활동이 격렬해져서 제주도 전역에 분포하는 많은 분석구들을 형성하였으며, 이 화산활동으로 다량의 현무암질 마그마가 분출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Agriculture Development Corporation (ADC), 1971, Report of the Ground water Resources, Jeju Island. 381 p, 1 map (1:100,000), 4 plates (in Korean, title translated). 

  2. Ahn, K.S., Lee, H.K. and Lim, H.C., 1995, A petrological and geochemical study of granites in the Cheju Island.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28, 513-51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 Brenna, M., Cronin, S.J., Smith, I.E.M., Sohn, Y.K. and Maas, R., 2012, Spatio-temporal evolution of a dispersed magmatic system and its implications for volcanic growth, Jeju Island Volcanic Field, Korea. Lithos, 148, 337-352. 

  4. Haraguchi, K., 1931, Saishu Volcano. Bulletin of the Geological Survey of Chosen (Korea), 10, 1-34, 10 pls. (in Japanese); 1-12, 1 pl. (in English). 

  5. Hyun, W.H., Hwang, J.Y. and Yoon, S., 2005, On the occurrence of the fragments of quartz vein in the Tamna Formation, Jeju Island and their source area. Annual Conference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Abstracts), Jinju, October 28-29, 68 p (in Korean, title translated). 

  6. Hwang, J.Y., Jang, M.I., Kim, J.S., Cho, W.M., Ahn, B.S. and Kang, S.W., 2000, Mineralogy and chemical composition of the residual soils (Hwangto) from south Korea. Journal of the Mineralogical Society of Korea. 13, 147-16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7. Kim, K.H., Tanaka, T., Suzuki, K., Nagao, K. and Park, E.J., 2002, Evidences of the presence of old continental basement in Cheju Volcanic Island, South Korea. Geochemical Journal, 36, 421-441. 

  8. Koh, G.W., Park, J.B., Kang, B.R., Kim, G.P. and Moon, D.C., 2013, Volcanism in Jeju Island.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49, 209-23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9. Park, K.H., Cho, D.L. and Kim, J.C., 2000a, Geologic Report of the Moseulpo-Hanlim sheet (1:50,000), Korea Institute of Geology, Mining and Materials, 56 p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0. Park, K.H., Lee, B.J., Cho, D.L., Kim, J.C., Lee, S.R., Choi, H.I., Hwang, J.H., Song, K.Y., Choi, P.Y., Cho, B.W. and Kim, Y.B., 1998, Geologic report of the Cheju-Aewol sheet (1:50,000). Cheju Provincial Government, 237 p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1. Park, K.H., Lee, B.J., Cho, D.L., Kim, J.C., Lee, S.R., Kim, Y.B., Lee, H.Y., Cho, B.W., Jang, Y.N., Son, B.K., Cheon, H.Y. and Kim, Y.U., 2000b, Geologic Report of the Seogwipo-Hahyori sheet (1:50,000). Jeju Provincial Government, 139 p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2. Sand, L.B. and Mumpton, F.A., 1978, Natural zeolites; occurrence, properties, uses. Pergamon press, 135-197. 

  13. Smith, G.A. and Lowe, D.R., 1991, Lahars: Volcano-hydrologic events and deposition in the debris flow-hyperconcentrated flow continuum. In Fisher, R.V. and Smith, G.A. (eds.), Sedimentation in Volcanic Settings. Society of Economic Paleontologists and Mineralogists Special Publication 45, 59-70. 

  14. Sudo, T. and Shimoda, S., 1978, Clays and clay minerals of Japan. Development of sedimentology, Vol. 26, Elsevier science publishing company, 189-219. 

  15. Tamanyu, S., 1990, The K-Ar ages and their stratigraphic interpretation of the Cheju Volcanics, Korea. Bulletin of the Geological Survey of Japan, 41, 527-537 (in Japanese with English abstract). 

  16. Won, J.K., Lee, M.W., Lee, D.Y. and Sohn, Y.K., 1993, Geologic report of the Seongsan sheet (1:50,000). Ministry of Construction, Jeju Provincial Government and Korea Water Resources Corporation, 104 p (in Korean). 

  17. Won, J.K., Lee, M.W., Lee, D.Y. and Yun, S.H., 1995, Geologic report of the Pyoseon sheet (1:50,000). Ministry of Construction and Transportation and Korea Water Resources Corporation, 59 p (in Korean). 

  18. Yoon, S., Jung, C.J., Hyun, W.H. and Song, S.T., 2014, Tectonic history of Jeju Island.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v. 50, no. 4, p. 457-474. 

  19. Yoon, S., Jung, C.J., Song, S.T. and Yang, K.H., 2001, Volcanic debris-avalanche and epiclastic deposits in the Seongeup area, Jeju Island, Korea. Geosciences Journal, 5, 47-55. 

  20. Yoon, S., Jung, C.J., Song, S.T. and Hyun, W.H., 2002, Mt. Halla, the main body of Jeju Island, Korea: an uplifted edifice. Proceedings of International Symposium on New Concepts in Global Tectonics (NCGT), La Junta, Colorado, 165-170. 

  21. Yoon, S., Koh, G. and Kim, I.T., 1995, Development history of Cheju Island. Bulletin of Cheju-do Provincial Government, 98, 148-164 (in Korean, title translated). 

  22. Yun, S.G., Han, D.S. and Lee, D.Y., 1987, Quaternary geology in the southern part of Jeju Island. Research Report KR-86-2-(B)-2, Korea Institute of Energy and Resources, 64 p (in Korean with English summery).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