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불균질 매질에서 탄성파 모델링
Seismic Modeling for Inhomogeneous Medium 원문보기

자원환경지질 =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v.40 no.6, 2007년, pp.739 - 749  

김영완 (한국지질자원연구원) ,  장성형 (한국지질자원연구원) ,  윤왕중 (전남대학교 지구시스템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탄성파 속도는 지층 물성에 따라 다양하게 분포한다. 탄성파 음원 모음도 상에 나타나는 이러한 특성은 균질 매질을 고려한 수치 모델링에서는 정상적으로 모사할 수 없으므로 무작위 불균질 매질을 고려한 수치 모델링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불균질 매질 모델을 설정하고, 가우스 자기상관 함수, 지수 자기상관 함수, 폰 카르만 자기상관 함수를 이용하여 단순 지층 구조에 적용하고 각각의 특성을 살펴보았으며, 이 가운데 폰 카르만 자기상관 함수가 단파장 불균질 속도매질을 잘 표현함을 알 수 있었다. 가스 하이드레이트 수치모델링은 동해 현장자료를 바탕으로 해저면과 모델크기를 결정하였으며, 수치모델링 결과 폰 카르만 자기 상관함수가 불균질 지층구조를 포함하는 가스 하이드레이트 속도모델에서 산란현상을 가장 적절하게 구현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동해 탄성파 탐사자료의 탄성파 음원 모음도에서 나타나는 해저면 기인 강진폭 위상역전 반사파(BSR: bottom simulated reflector)와 산란파들이 불균질 수치 모형실험에서 적절하게 구현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seismic velocity at the formation varies widely with physical properties in the layers. These features on seismic shot gathers are not capable of reproducing normally by numerical modeling of homogeneous medium, so that we need that of random inhomogeneous medium instead. In this study, we cond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가스층을 가정한 속도 역전층에 의한 위상 역전과 균질 매질을 가정한 수치 모델링에서 볼 수 없는 불균질 매질에 의한 파동장의 산란의 영향을 살펴보고자 불균질 매질 가스 하이드레이트 수치 모델링 결과를 동해에서 획득된 탄성파 자료와 비교하고자 하였다. Fig.
  • 다양한 변화를 설명하기 어렵다. 따라서 불균질 매질 지층 모델을 구현하는 방법이 필요하며 본 연구에서는 확률분포를 나타내는 가우스, 지수, 폰 카르만 자기 상관 함수에 의한 불균질 모델을 설정하고, 각각에 해당하는 음원 모음도를 작성하여 산란파 거동 특성을 파악하고자 한다.
  • 이러한 원인에 의한 산란의 영향은 신호 왜곡과 진폭 손실을 초래하여 반사의 일관성 또는 반사계수에 영향을 미치며, 암염 돔 하부, 현무암 하부, 단층, 습곡 등과 같은 복잡한 지역의 해석을 매우 어렵게 만든다(Wu and Aki, 1985; Martini, 2001). 따라서 이러한 산란현상을 발생시키는 불균질 매질 지층모델을 구축하고, 이러한 불균질 지층 모델을 이용한 수치 모형실험을 통하여 실제 음원 모음도 상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현상에 매질의 불균질성도 큰 영향을 미침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탄성파 산란에 관한 연구는 주로 지진 연구 분야에서 활발히 이루어져 왔다.
  • 1은 k· a에 의한 산란 정도를 그림으로 나타낸 것이다. 본 논문에서 수행한 수치 모형실험은 상관 길이를 다양하게 변화시켜각각의 산란 현상을 살펴볼 수 있도록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확률분포에 따른 불균질 매질을 생성하는 방법과 산란 현상에 대하여 살펴보고, 균질 매질과 불균질 매질로 이루어진 수평 2층과 가스 하이드레이트 모델에 대해 유한차분 음향 파동방정식을 이용하여 파동장을 구하고 그 특성을 살펴보았다. 불균질 속도 모델에서 파동장 변화를 살펴보기 위해 상부층은 균질 속도모델, 하부층은 불균질 속도모델로 이루어진 수평 2층 구조에 대해, 가우스, 지수, 폰 카르만 자기 상관 함수 모델로부터 음원 모음도를 작성하였으며, 세 가지 자기 상관 함수에 의한 불균질 속도모델이 각각의 자기 상관 함수 특성에 맞는 산란현상을 볼 수 있었다.
  • 여기에서 각각의 특성을 살펴보고 탄성파 산란현상을 가장 잘 나타낼 수 있는 불균질 속도모델에 적합한 함수를 결정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동해가스 하이드레이트 탄성파 자료로부터 지층 모델을 구하고, 가스 하이드레이트를 포함하는 지층을 무작위 불균질 매질로 가정하여 수치 모형실험을 수행하였다. 이러한 방법으로 작성한 합성 탄성파 단면도를 동해 가스 하이드레이트 현장 탄성파 자료와 비교하여 균질매질을 가정한 수치 모델링에서 확인할 수 없었던 산란에 의한 음원 모음도의 변화를 보고, 이를 통하여 보다 현실적인 수치모델링 수행에 불균질 매질을 포함하여야 함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Fig. 10의 수치 모델링 시 음원은 Fig. 8의 모델에서 옵셋 3, 040 m에 존재하며, 수진기는 지표면에서 10 m 간격으로 241 채널이 존재하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Fig.
  • 가스 하이드레이트 지층모델은 현장 자료로부터 가로, 세로 격자 크기는 10 m, 격자 수는 100b401 개, 기록 시간은 5초, 최초 음원은 2, 500 m에서 시작하여 매 100 m 마다 증가시키며 총 76개, 수진기는 240 채널을 가정하였으며, 음원의 주 주파수는 20 Hz, 최대주파수는 40 Hz인 리커 (ricker) 파형을 사용하였다. Fig.
  • 7은 수치 모형실험에 사용된 속도 모델이다. 균질모델의 경우 제 1층은 해수층을 가정하였으며, 제 2층은 2, 300 m/s, 제 3층은 가스층을 가정하여 약 1, 400 nVs, 제 4층은 기반암 층으로 3, 000 m/s로 가정하였다. 불균질 모델의 경우 제 2층을 배경 매질의 평균 속도가 2, 300 m/s, 표준 편차를 5%로 가정하여 매질의 속도 변화가 약 1, 700〜2, 800m/s의 범위에서 무작위로 변하는 불균질 속도 모델을 생성하였다(Fig.
  • 음원은 지표면 4 km에 위치하였고, 수진기는 매 10 m마다 위치하였다. 모델 상부층의 P파 속도와 밀도는 각각 2, 000 m/s, 1.5/㎤이며, 하부층은 2, 500 m/s와 aOg/cm3으로 가정하였다. 하부층 불균질 속도 모델(Fig.
  • 본 논문에서 불균질 매질은 평균이 0이며, 표준 편차는 1, 그리고 상관길이 a를 갖는 균질, 등방 무작위 장이라 가정하였다. 그러므로 매질의 무작위 속도변화는 배경 매질에 대한 미소 변화로 나타나며, 무작위 장의 상관함수는 지연거리 # 에만 의존하며, 이 때 속도 변화의 크기는 미소 변화의 평균 제곱근으로
  • 본 논문에서 수행되는 수치 모형실험은 소규모 불균질성을 가정하였다. 여기에서 소규모 불균질성은 평균값의 변화에 의한 변화를 의미하며, 상관길이의 크기가 주 파장보다 작은 것을 의미하고, 이 불균질성은 균질매질 내에 무작위로 분포한다.
  • 또한 가스 하이드레이트는 이를 포함하는 퇴적층의 구간속도를 증가시키며 그 증가하는 정도는 하이드레이트의 양에 비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Stoll and Bryan, 1979). 본 연구는 동해가스 하이드레이트 탄성파 자료로부터 지층 모델을 구하고, 가스 하이드레이트를 포함하는 지층을 무작위 불균질 매질로 가정하여 수치 모형실험을 수행하였다. 이러한 방법으로 작성한 합성 탄성파 단면도를 동해 가스 하이드레이트 현장 탄성파 자료와 비교하여 균질매질을 가정한 수치 모델링에서 확인할 수 없었던 산란에 의한 음원 모음도의 변화를 보고, 이를 통하여 보다 현실적인 수치모델링 수행에 불균질 매질을 포함하여야 함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 3)에 대한 수치 모형실험에서 모델의 크기는 8x4 km 축의 격자 간격은 각각 10 m, 격자수는 801x401개이다. 음원의 중심 주파수는 10 Hz인 리커 (ricker) 파형을 가정하였으며 최대 주파수는 20 Hz로 하였다. 경계조건은 상부는 자유면 (free surfoce), 좌우와 하부는 흡수 경계조건(absorbing boundary condition)을 적용하였고 2 ms 간격으로 2.
  • 3(a))에 대한 음원 모음도이며, (b), (c), (d)는 각각 가우스 자기상관 함수, 지수 자기 상관함수, 폰 카르만 자기상관 함수를 이용하여 만든 불균질 속도 모델에서의 음원 모음도이다. 때 음원의 위치는 4, 000 m, 수진기는 지표면에 위치한 것으로 가정하였다. Fig.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Alford, R. M., Kelly, K. R., and Boor, D. M. (1974) Accu­racy of finite difference modeling of the acoustic wave equation, Geophysics, 39, p. 834-842 

  2. Aki, K., and B. Chouet (1975) Origin of coda waves: Source, attenuation and scattering effects, J. Geophys. Res., 80, p. 3322-3342 

  3. Andreassen, K., Hart, E. H. and MacKay, M. (1997) Amplitude versus offset modeling of the bottom sim­ulation reflection associated with submarine gas hydrate, Marine Geology, 137, p. 25-40 

  4. Frankel, A., and Clayton, R. W. (1986) Finite difference simulations of seismic scattering: Implications for the propagation of short-period seismic waves in the crust and models of crustal heterogeneity, J. Geophys. Res., Vol. 91, p. 6465-6489 

  5. Gibson, B. and Levander, A. (1990) Apparent layering in common-midpoint stacked images of two-dimension­ally heterogeneous targets, Geophysics, 55, p. 1466-­1477 

  6. Holbrook, W. S., Hoskins, H., Wood, W. T., Stephen, R. A., Lizarralde, D., and the Leg 164 Scientific Party (1996) Methane hydrate and free gas on the Blake Ridge from vertical seismic profiling, Science, 273, p. 1840-1843 

  7. Jang, S. H., Suh, S. Y., and Go, J. S. (2006) Prestack depth migration for gas hydrate seismic data of the East sea, Korea Society of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Vol. 39, No. 6, p. 711-717 

  8. Jo, C.-H., Shin, C., and Suh, J. H. (1996) An optimal 9-­point, finite-difference, frequency-space, 2-D scalar wave extrapolator, Geophysics, Vol. 61, p. 529-537 

  9. Kamei R., Hato M., and Matsuoka T. (2005) Random het­erogeneous model with bimodal velocity distribution for Methane Hydrate exploration, Mulli-Tamsa, Vol. 8, No.1, p. 41-49 

  10. Kelly K. R., Ward, R. W., Treitel Sven, and Alford, R. M. (1974) Synthetic seismograms: A finite difference approach, Geophysics, 41, p. 2-27 

  11. Klimes, L. (2002) Correlation functions of random media, Pure and Applied Geophysics, Vol. 159, p. 1811-1831 

  12. Korn, M. (1993) Seismic waves in random media, Journal of Applied Geophysics, Vol. 29, p. 247-269 

  13. Kvenvolden (1993) Gas hydrate - geological perspective and global change, Reviews of Geophysics, 31, p. 173-­187 

  14. Loewenthal, D., Wang, C. J., and Johnson, O. G. (1991) High order finite difference modeling and reverse time migration, Exploration Geophysics, Vol. 22, p. 533-545 

  15. Martini E. (2001) Seismic imaging below basalt, Ph. D. thesis, National University of Ireland 

  16. Powell, J. A. (1984) On the effect of random timing errors on velocity estimates derived from normal moveout estimates, Geophysics, Vol. 49, p. 1361-1364 

  17. Pyrak-Nolte, L. (2002) Seismic imaging of fractured media, 5th International Workshop on the Application of Geophysics in Rock Engineering, Toronto, Canada 

  18. Rowe, M. M., and Gettrust, J. F. (1993) Fine structure of methane hydrate-bearing sediments on the Blake Outer Ridge ad determined from deep-tow multi­channel seismic data, J. Geophys. Research, 98, p. 463-473 

  19. Sato, H. and Fehler, M. (1998) Seismic Wave Propagation and Scattering in the Heterogeneous Earth, Springer-­Verlag, New York 

  20. Shipley, T. H., Houston, M. H., Buffler, R. T., Shaub, F. J., McMilen K. J., Ladd, J. W., and Worzel, J. L. (1979) Seismic evidence for widespread possible gas hydrate horizons continental slopes and rises, AAPG Bull., 63, p. 2204-2213 

  21. Shin C. S., and Sohn, H. J. (1998) A frequency space 2-­D scalar wave extrapolator using extended 25 points finite difference operators, Geophysics, Vol. 63, p. 289-296 

  22. Stoll, E. D. and Bryan, G. M. (1979) Physical properties of sediments containing gas hydrates, J. Geophys. Res., 84, p. 1629-1634 

  23. Yao, Y., and Xi, X. (2004) Reflected wavefield in random media: a review, J. Geophys. Eng., Vol. 1, p. 147-152 

  24. Whalley, E. (1980) Speed of longitudinal sound in clath­rate hydrates, J. Geophys. Res., 85, p. 2539-2542 

  25. Wu R. S., and Aki, K. (1985) Elastic wave scattering by a random medium and the small-scale inhomogene­ities in the lithosphere, J. Geophys. Res., Vol. 90, p. 10261-10273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