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여성 성기능장애의 예측 모형
Construction of an Explanatory Model of Female Sexual Dysfunction 원문보기

대한간호학회지=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37 no.7, 2007년, pp.1080 - 1090  

배정이 (인제대 간호학과) ,  민권식 (인제대학교 의학과) ,  안숙희 (충남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Although concerns of female sexual dysfunction (FSD) are increasing in Korea, sexual dysfunction related factors are limited in research studie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 explanatory model that will further explain the continuously increasing female sexual dysfunction cases 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 여성 성기능 장애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의 인과관계 및 상대적 중요성을 확인한다.
  • 그러나 최근 3년에 걸쳐 여성 성기능 장애, 특히 여성 성 각성 장애의 원인이 기질적인 원인에 의하여 발생할 수 있다는 가능성이 실험적으로 보고되면서 성기능 장애에 연향을미치는 요인들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어 왔다. 그리하여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최초로 여성 성기능장애의 발현과 정도를 설명하고 성기능 장애의 예방과 조기발견 및 간호 중재 방법의 개발에 지침이 되는 예측 모형을 구축하고자 수행되었다. 본 연구의 가설적 모형에서는 여성 성기능장애를 중심으로 성 기능 장애에 영향을 주는 매개변수로서 성에 대한 개념과 성적 스트레스 및 부부의 결혼 적응도를 주요개념으로 다루었다.
  • 본 연구는 문헌고찰을 통하여 여성 성기능장애의 가설적 인과모형을 도출하고, 여성에게서 자료를 수집하여 모형의 부합 도와 가설들을 검정하는 공변량 구조분석 연구이다. 모형검증을 위한 자료는 횡단적 자가보고법으로 수집하였다.
  • 본 연구는 성기능 장애에 대한 지식의 확장과 고위험 요인을 가진 여성의 조기발견, 예방 및 중재를 위한 지침이 될 것이다. 이로써 성기능 장애로 음지에서 고통 받고 있는 여성들은 물론 건강한 가정을 통하여 모든 대상자들이 질적인 삶을 통하여 밝고 건전한 사회를 구현하게 될 것이다.
  • 본 연구는 여성의 성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요인들에 대한 이론적 모형을 구축하고, 이 변인들간의 인과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이론적 모형이 성기능 장애와 관련된 모든 요인들을 완전히 설명해 주는 것은 아니지만, 여성의 인구학적 특성과 정신 심리적 건강 상태 및 성개념과 성적 스트레스들간의 역동적인 관계를 동시에 보여줌으로써 여성 성기능 장애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해주었다.
  • 위하여 실시되었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이론적 모형이 성기능 장애와 관련된 모든 요인들을 완전히 설명해 주는 것은 아니지만, 여성의 인구학적 특성과 정신 심리적 건강 상태 및 성개념과 성적 스트레스들간의 역동적인 관계를 동시에 보여줌으로써 여성 성기능 장애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해주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여성 성기능장애에 영향을 주는 요인 및 경로를 설명하는 이론적 모형을 구축하고 이를 경험적으로 검증하기 위함으로 다음과 같은 구체적인 목적으로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여성들을 대상으로 여성 성기능장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지금까지 단편적으로 규명된 연령, 교육 및 경제적 수준 등의 사회 인구학적 변수와 우울, 결혼적응도와 같은 사회심리적 요인들과 더불어 이론적으로 성기능 장애에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되는 중년기 위기감, 스트레스 생활사건 등 관련 변수들을 모두 포함하여 관련 요인을 통합적으로 밝혀내고자 한다.

가설 설정

  • 구체적으로 보면 인구 사회학적 특성은 선행변수로서 성에 대한 지식과 태도를 부정적으로 변화시키고 이를 통하여 여성 성기능 장애가 초래되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또한 정신 심리적 건강 상태는 선행변수로서 여성으로 하여금 부부의 결혼 부적응과 성적 스트레스를 유발시켜 여성 성기능 장애를 초래하거나, 성기능 장애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 성기능 장애가 초래되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또한 정신 심리적 건강 상태는 선행변수로서 여성으로 하여금 부부의 결혼 부적응과 성적 스트레스를 유발시켜 여성 성기능 장애를 초래하거나, 성기능 장애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또한 결혼 적응도는 성기능 장애에 직접적인 영향을 줄 뿐 아니라, 성적 스트레스를 통하여 간접적으로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보았다<Figure 1>.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Abdo, C., Oliveira, W. M., Moreira, E. D., & Fittipaldi, J. (2004). Prevalence of sexual dysfunctions and correlated conditions in a sample of Brazilian women-results of the Brazilian study on sexual behavior (BSSB). Inter J Impotence Res, 16(2), 160-166 

  2. Bae, J. Y. (2002). Construction of a postpartum depression model. J Korean Acad Psychiatr Ment Health Nurs. 11(4), 572-587 

  3. Blumel, J. E., Castelo-Branco, C., Cancelo, M. J., Romero, H., Aprikian, D., & Sarra, S. (2004). Impairment of sexual activity in middle-aged women in Chile. The North American Menopause Society, 11(1), 78-81 

  4. Chang, S. B. (1989). An analytic study on influencing factor for sexual satisfaction in women who have had a hysterectomy. J Korean Acad Nurs, 19(2), 160-172 

  5. Chang, S. B. (1995). Pre-post changes of sexual satisfaction and spouse support of women who have had a hysterectomy. J Korean Acad Nurs, 25(1), 173-183 

  6. Chang, S. B., Kang, H. S., & Kim, S. N. (1998), The sexual satisfaction in married women. J Korean Acad Nurs, 28(1), 201-209 

  7. Carmines, E., & Mclver, J. (1981). Analyzing models with unobserved models: Analysis of covariance structures. Beverly Hills, CA: Sage 

  8. Derogatis, L. R., Rosen, R., Leiblum, S., Burnett, A., & Heiman, J. (2002). The female sexual distress scale(FSDS); Initial validation of a standardized scale for assessment of sexually related personal distress in woman. J Sex Marital Ther, 28, 317-330 

  9. Hales, R. E., Yudofsky, S. C., & Talbott, J. A. (1994). Textbook of psychiatry. 2nd ed. Washington DC: Psychiatric Press 

  10. Han, C. S., Kim, H. C., Kang, S. H., Mun, D. G., Kim, J. J., & Choi J. Y. (2004). Validity and reliability of Korean version of the female sexual distress scale (FSDS). Kor J Androl, 22(2), 68-74 

  11. Hong, S. S. (2001). The effects of sociotropy-autonomy and sexual satisfaction on female marital satisfac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Seoul 

  12. Kim, A. S., & Yoon, J. (1991). Developoment of middle age crisis scale. J Psychiatr, 4(1), 73-88 

  13. Kim, C. S., & So, H. S. (2000). A study on sexual function of women with coronary artery disease. J Korean Acad Adult Nurs, 12(1), 99-111 

  14. Kim, H. Y., Park, K. S., & So, H. S. (2001). Effect of diabetes mellitus on sexual function in women. J Jeonnam Medical College, 37(3), 231-236 

  15. Kim, H. Y., So, H. S., Park, K. S., Jeong, S. J., Lee, J. Y., & Ryu, S. B. (2002). Development of the Korean-version of female sexual function index(FSFI). Kor J Androl, 20(1), 50-56 

  16. Kim, J. H., & Moon, H. S. (2006). Health perception, body image, sexual function and depression in menopausal women according to menopausal stages. J Korean Acad Nurs, 3(36), 449-456 

  17. Kim, J. K., Koh, H. J., & Lim, K. H. (2002). A study on sexual knowledge, attitude and activity according to sexual satisfaction of wife and husband after hysterectomy. J Korean Soc Matern Child Health, 6(1), 71-82 

  18. Kim, K. S. (2006). AMOS. Seoul: Hannarae 

  19. Kim, S. N. (1997). Development sexual satisfaction measurement tool. J Korean Acad Nurs, 27(4), 753-764 

  20. Kweon, H. J., Chung, H. K., Rye, E. J., & Chung, Y. K. (1998). A study of sexual attitudes in university students. Q-methodological approach-. J Korean Soc School Health, 11(2), 229-241 

  21. Laumann, E. O., Paik, A., & Rosen, R. C. (1999). Sexual dysfunction in the United States: Prevalence and predictors. JAMA, 281(6), 537-544 

  22. Lee, I. S., & Moon, J. S. (2000). Knowledge of sex, attitude toward aex, and aexual satisfaction in married women. J Korean Comm Nurs, 14(2), 396-414 

  23. Lee, M. S. (1998). Psychology aspect of sexual dysfunction. J Korean Acad Fam, 19(7), 508-514 

  24. Lee, P. S. (1984). Korean stressful life event.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Seoul 

  25. Lee, S. W., Bae, J. Y., Yoon, S. H., & An, K. E. (2003).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Korean depression scale. J Korean Acad Psych Mental Health Nurs, 12(4), 433-443 

  26. Lee, Y. P., Kim, S J., & Jeong, K, H, (2000). Pregnant women's attitude and satisfaction for sexuality. J Korean Acad Nurs, 30(5), 1292-1302 

  27. Min, K. S. (2004), Update of female sexual dysfunction, Women Health, 5(1), 81-90 

  28. Park, H. S., Koo, H. Y., & Won, S. H. (2004), Sexual function and satisfaction with life in women and their predictors, J Korean Acad Psych Mental Health Nurs, 13(4), 505-513 

  29. Rosen, R., Brown, D., Heiman, S., Leiblum, S., Meston, C., & Shabsigh, R. (2000), The female sexual function index (FSFI): A multidemension self-report instrument for the assessment of female sexual function, J Sex Marital Ther, 26, 191-208 

  30. Schrener, E. P., & Schiavi, R. (1986), Lifetime psychopathology in individuals with low sexual desire, J Nervous & Mental Disease, 174, 646-651 

  31. Spanier, G. B. (1979). The measurement of marital quality. J Sex Marital Ther, 5(3), 288-300 

  32. Yang, H. R, (1993). Pregnant women's satisfaction for sexuality,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Gwangju 

  33. Yeoum, S. G., & Park, C. S. (2005). Adjustment after a hysterectomy, J Korean Acad Nurs, 35(6), 1174-1182 

  34. Yoon, H. N., Chung, W. S., Hong, J. Y., Park, Y. Y., You, E. H., & Kim, J. H. (2001), Questionnaire based evaluation of sexual activity and sexual dysfunction in Korean women, J Urol, 42, 102-114 

  35. Yu, H. S. (2003), Predictor of female sexual dysfunc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36. WHO (2007), http://www,who.int/reproductive-health/gender/sexual_health.html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