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애도 개념개발 - 배우자 사별과정을 중심으로 -
Concept Development of Grief-Focusing on the Process of Spousal Bereavement 원문보기

대한간호학회지=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37 no.7, 2007년, pp.1119 - 1130  

이미라 (대전보건대학 간호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develop the concept of grief focusing on the process of spousal bereavement in Korea. Methods: The Hybrid model was used for analysis according to the 3 phases. An extensive literature review was done for the Theoretical phase.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Hybrid model을 이용하여 사별 후 반응인 '애도' 개념을 배우자 사별 대상자를 중심으로 개발 . 분석하여 개념적 틀을 형성하고자 한다.
  • 첫 단계인 이론적 단계는 애도에 관한 문헌 조사 기간으로서 2003년 10월 이후 꾸준히 지속되었으며, 2004년 3월부터 2004년 9월 동안 집중적으로 이루어졌고, 현장작업 단계에서도 문헌고찰은 계속되었다. 문헌 조사의 범위는 애도에 관한 사전적 정의, 문학, 종교학, 사회학, 심리학, 의학, 간호학에서의 애도에 관한 연구 내용을 포함하고자 하였다. 국내외의 학위 논문과 Pub-Med 검색 뿐 아니라, 국내외 저널에 실린 논문에 대한 광범위한 문헌고찰을 통하여 애도의 속성과 결과를 분석하고 애도에 관한 작업적 정의를 제시하였다.
  • 배우자 죽음의 원인을 자신이 제공한 것은 아닌지에 대해 생각하며 자책한다. 특히, 암으로 배우자가 사망한 경우에는 자신으로 인해 암이 발생된 것은 아닌가 생각하기도 하고 조기에 발견하지 못한 것에 대해 죄책감을 갖기도 한다.
  • 본 연구는 간호현장에서 모호하게 인식되는 사별 후 반응에 관한 개념을 명확히 하고자 '애도, 개념을 개발 . 분석한 서술적 연구로서 배우자 사별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 배우자 애도는 사별 후 여생 동안 진행되며 혼돈과 고통 속에서 새로운 존재로 변화되는 과정이므로 간호사들은 긍정적인 애도 과정을 경험할 수 있도록 시기적절한 간호 중재를 적용할 수 있어야 한다. 연구는 애도에 대한 한국적 간호이론 개발. 측정도구 개발 연구, 및 각 시기에 맞는 간호중재 개발의 기본 방향을 제시하는데 기여하였다고 볼 수 있다.
  • 본 장은 Hybrid model의 최종분석 단계에 해당되며, 이 단계에서는 이론적 단계 결과와 현장작업 단계를 통해 파악된 결과를 연계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 분석하여 개념적 틀을 형성하고자 한다. 한국적 상황에서의 배우자 애도개념을 개발 .
  • 자신이 고통을 당해야 하는 이유가 무엇인지와 존재 의미에 대해 구체적인 답을 찾고자 노력한다.
  • 측정 . 중재를 제공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yers, T., Balk, D., Bolle, J., Bonanno, G. A., Conner, S. R., Cook, A. S. (2004). Report on bereavement and grief research. Death Studies, 28, 491-575 

  2. Balk, D. E. (1999). Bereavement and spiritual change. Death Studies, 23, 485-493 

  3. Bowlby, J. (1980). Loss: sadness and depression. New York: Basic Books 

  4. Chartlton, R., Sheahan, K., Smith, G., & Campbell, I. (2001). Spousal bereavement-implications for health. Family Practice, 18(6), 614-618 

  5. Deeken, A. (2002). How to face with death (Oh, J. T. Translate). Seoul: Googri 

  6. Dong-A English-Korean dictionary (2005). Seoul: Doosan Dong-A 

  7. Freud, S. (1957). Mourning and melancholia. Standard Edition (vol. 14). Lodon: Hogarth 

  8. Hogan, N., & Schmidt, L. (2002). Testing the grief to personal growth model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Death Studies, 26, 613-634 

  9. Jordan, J. R., Baker, J., Matteis, M., Rosenthal, S., & Ware, E. S. (2005). The grief evaluation measure (GEM): An initial validation study. Death Studies, 29, 301-332 

  10. Lee, W. H., Lee, M. R., Kim, S., & Kang, K. A. (2005). Characteristics of the grieving process: A study of 10 Korean spouses of patients who passed away from cancer. Int J Nurs Stud, 42, 399-408 

  11. Lee, Y. B. (2000). The study of death and salvation- In literature, philosophy, and religional dimensions. Korean Literature, 126, 305-329 

  12. Lepore, S. J., Silver, R. C., Wortman, C. B., & Wayrnent, H. A. (1996). Social constraints, intrusive thoughts, and depressive symptoms among bereaved mothers. J Pers Social Psychology, 70(2), 271-82 

  13. Lewis, C. S. (2004). A grief observed (Kang, Y. N. Translate). Seoul: Hongsoungsa 

  14. Li, G. (1995). The interaction effect of bereavement and sex on the risk of suicide in the elderly: An historical cohort study. Social Science & Med, 40(6), 825-828 

  15. Maltikainen, P., & Valkanen, T. (1996). Mortality after the death of a spouse: rates and causes of death in a large Finnish cohort. Am J public Health, 86(8), 1087-1093 

  16. Martin, T. L., & Doka, K. J. (2000). Men don't Cly ... women do transcending gender stereotypes of grief Philadelphia, PA.: Brunner/Mazel 

  17. Moss, M. S., Moss, S. Z., & Hansson, R. O. (2001). Bereavement and old age. In Strobe, M., Hansson, R., & Strobe, W., & Schut, H. (Eds.), Handbook of bereavement research: Consequences, coping, and care(pp.241-260). Washington, DC: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18. Nahm, Y. S. (2001). Readjustment process of widow's bereavement and social labeling of widowhood in Korea. Korean Women's Study, 16(2), 175-204 

  19. Parkes, C. M. (1998). Bereavement in adult life. BMJ, 14(316), 856-9 

  20. Rando, T. A. (1991). How to go on living when someone you love dies. New York: Bantam Books 

  21. Robert, J. K. (2001). Death, society, & human experience. Boston: Allyn and Bacon 

  22. Sanders, C. M. (1989). Grief The mourning after dealing with adult bereavement. New York: A Wiley-Interscience Pub 

  23. Sanders, C. M. (1993). Risk factors in bereavement outcomes. In M. Stroebe, W. Stroebe, & R. O. Hansson. (1993). (Eds.), Handbook of bereavement (pp. 255-267). New York: Combridge University Press 

  24. Schatzman, L., & Strauss, A. L. (1973). Field research: Strategies for a natural sociology.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25. Schwartz-Barcott, D., & Kim, H. S. (1986). A hybrid model for concept development. In P. L. Chinn (Ed.), Nursing research methodology: Issues and implementations. Rockville. MD: Aspen 

  26. Shin, J. Y. (1996). The report of 30s' widow in Korea. Monthly Mal, Jan(115), 194-201 

  27. Sittser, G. L. (2003). A grace disguised (Lee, H. Y. Translate). Seoul: Good seed 

  28. Stroebe M., Hansson, R., Stroebe, W., & Schut, H. (2002). Handbook of bereavement research: Consequences, coping. and care. Washington: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29. Stroebe, M., Stroebe, W., & Hansson, R. O. (1993). Handbook of bereavement. New York: Combridge University Press 

  30. Stroebe, W., & Schut, H. (1999). The dual process model of coping with bereavement: Rational and description. Death Studies, 23, 197-224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REEN

저자가 공개 리포지터리에 출판본, post-print, 또는 pre-print를 셀프 아카이빙 하여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