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소변 미생물 균주 양성인 중환자실 유치도뇨관 환자의 병원성 요로감염 발생과 관련요인
Risk Factors for Nosocomial Urinary Tract Infection in the Intensive Care Unit with a Positive Urine Culture and Foley Catheterization 원문보기

대한간호학회지=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37 no.7, 2007년, pp.1149 - 1158  

류성미 (광주보건대학 간호과) ,  박경연 (신라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isk factors for a nosocomial urinary tract infection in intensive care units with a foley catheterization which showed a positive urine culture. Method: Three-hundred eighty-seven patients were included in the study. A retrospective review of 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 소변 미생물 균주 양성인 중환자실 도뇨관 유치환자 중 병원성 요로감염 발생군을 대상으로 요로감염 발생 관련 특성을 파악한다.
  • . 소변 미생물 균주 양성인 중환자실 도뇨관 유치환자의 일반적 특성 및 임상특성을 파악한다.
  • 본 연구는 유치도뇨관을 하고 있는 소변 미생물 균주 양성인 중환자실 환자들의 병원성 요로감염의 정도를 파악하고 병원성 요로감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시도된 상관성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유치도뇨관을 하고 있는 소변 배양검사 양성인 중환자실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이들 중 CDC 요로감염기준에 의한(Korean Society for Nosocomial Infection Control, 2006) 병원성 요로감염 발생군과 비발생군 간의 병원성 요로감염 발생관련 요인을 파악하고 관련요인이 병원성 요로감염 발생 유무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한 상관관계 연구로써, 그 결과를 중심으로 논의하고자 한다.
  • 소변 미생물 검사 양성으로 나타난 중환자실의 도뇨관을 유치한 환자들의 목록을 전수 작성하여 소변 미생물 결과지와 의무기록지를 이용하여 요로감염자와 비요로감염자의 자료를 구조화된 조사지에 기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PC+ (Ver 12.
  • 이에 본 연구자들은 소변 미생물 검사 양성으로 판정된 유치 도뇨관을 하고 있는 환자의 자료를 이용하여 병원성 요로감염 발생군과 비발생군간의 요로감염 발생 위험요인을 분석하고 병원성 요로감염 발생군에 유의하게 나타난 변수들의 요로감염 발생 예측력을 파악하고자 하였으며, 본 연구 결과는 병원성 요로감염 관리의 필수요소 중 하나인 감염감시 (surveillance)의 활성화를 위한 세부적인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Bernard, A. M., Ouled, A. A., Lauwerys, R. R., Lambert, A., & Vandeleene, B. (1987). Pronounced decrease of Tamm-Horsfall proteinuria in diabetes. Clin Chem, 33, 1264. 

  2. Centers for Disease Control. (2003). National nosocomial infections surveillance system infection worksheet. Retrieved September 30, 2003, from the Centers for Disease Control Web site: http://www.cdc.gov/ncidod/hip/NNIS/Member%20Forms/ Infection_wksht.PDF 

  3. Evans, J. K., McOwan, A., Hillman, R. J., & Forster, G. E. (1995). Incidence of symptomatic urinary tract infections in HIV seropositive patients and the use of cotrimoxazole as prophylaxis against Pneumocystis carinii pneumonia. Genitourin Med, 71, 120-122 

  4. Foxman, B. (2002). Epidemiology of urinary tract infections: Incidence, morbidity, and economic costs. Am J Med, 113(1A), 5S-13S 

  5. Jung, H. Y. (1981). Nosocomial infection. Infection, 13(1), 67-74 

  6. Kim, J. M., Park, O. S., Jeong, J. S., Kim, K. M., Oh, H. S., & Yoon, S. W. (1997). National nosocomial infection surveillance in Korea. Korean J Nosocomial Infec Control, 2, 157-176 

  7. Kim, K. M., Yoo, J. H., Choi, J. H., Park, E. S., Kim, K. S., Kim, K. S., et al. (2006). The nationwide surveillance results of nosocomial infections along with antimicrobial resistance in intensive care units of sixteen university hospitals in Korea, 2004. Korean J Nosocomial Infect Control, 11(2), 79-86 

  8. Kim, M. Y., & Jeong, C. M. (2002). The level of the awareness and the compliance on the nosocomial infection control among clinical nurses in the hospital. Korea J Nosocomial Infect Control, 7(2), 133-141 

  9. Kim, S. O., & Cho, S. H. (1997). A study on clinical nurses level of perception of importance, performance and satisfaction in the control of nosocomial infection. J Korean Acad Nurs, 27(4), 765-776 

  10. Korea National Institute of Health. (2004). Guidelines for hospital services evaluation programme. Retrieved October 6, 2007, from the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Web Site:. http://www.khidi.or.kr/etc/notice_medical _view.jsp?mainNum8&pageNum1 

  11.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06). The whole census. Retrieved August 6, 2006, from the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Web site: http://www.kosis.kr/OLAP/ Analysis/atat_Cmt_popup.jsp 

  12. Korea Society for Nosocomial Infection Control. (2001). Infection control guidelines. (2nd ed.). Seoul: Eui-Hak Publishing 

  13. Korean Society for Nosocomial Infection Control. (2006). Management of nosocomial infection. (3rd ed.). Seoul: Han-Mi Medical Publishing 

  14. Korean Urological Association. (2001). Urology. Seoul: Korea Medical Book Publisher 

  15. Leblebicioglu, H., Esen, S., & Turkish Nosocomial Urinary Tract Infection Study Group. (2003). Hospital-acquired urinary tract infections in Turkey: A nationwide multicenter point prevalence study. J Hosp Infect, 53, 207-210 

  16. Lee, K. S., & Park, H. S. (1994). Urinary tract infection related to the indwelling catheter with closed drainage. J Korean Acad Nurs, 24(3), 345-363 

  17. Lee, S. O. (1993). A survey on hospital infection. J Korean Acad Nurs, 23(3), 325-338 

  18. Leone, M., Albanese, J., Garnier, F., Sapin, C., Barrau, K., Bimar, M. C., Martin, C. (2003). Risk factors of nosocomial catheter-associated urinary tract infection in a polyvalent intensive care unit. Intensive Care Med, 29(7), 1077-1080 

  19. Park, E. S., Park, M. R., Kim, J. E., Choi, J. S., Jin, H. Y., Hong, S. K., Huh, A. J., Yang, D. G., & Kim, J. M. (2003). Multicenter ICU surveillance study for nosocomial infection in Korea. Korea J Nosocomial Infect Control, 8(1), 23-33 

  20. Potter, P. A., & Perry, A. G. (2004). Fundamentals of Nursing (6th ed.). New York: Mosby 

  21. Ronald, A. (2002). The etiology of urinary tract infection: Traditional and emerging pathogens. Am J Med, 113(1A), 14S-19S 

  22. Ryu, J. S. (1994). Management of infectious disease. Korean Med, 46, 611-619 

  23. Sedor, J., & Mulholland, S. G. (1999). Hospital-acquired urinary tract infections associated with the indwelling catheter. Urol Clin North Am, 26, 821-828 

  24. Shapiro, M. (1984). A multivariate analysis of risk factors for acquiring bacteriauria in patients with indwelling urinary catheters for longer than 24hours. Inf Control, 5(11), 525-532 

  25. Tabachnick, B. G., & Fidell, L. S. (2001). Using Multivariate Statistics (4th ed.). Boston: Allyn & Bacon 

  26. Wagenlehner, F. M. E., & Naber, K. G. (2000). Hospitalacquired urinary tract infections. J Hosp Infect, 46, 171-181 

  27. Warren, J. W. (2001). Catheter-associated urinary tract infections. Int J Antimicrob Agents, 17, 299-303 

  28. Yu, S. M., Jeon, S. S., Kang, I. S., & An H. K. (2006). Status of nosocomial urinary tract infections in the ICU: Molecular epidemiology of imipenem resistant P aeruginosa. J Korean Acad Nurs, 36(7), 1204-121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