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회음부 간호시 클로르헥시딘과 생리식염수 적용에 따른 유치도뇨관 관련 요로감염 발생률 비교
Effects of perineal care in preventing catheter associated urinary tract infections (CAUTI) in intensive care units (ICU) 원문보기

기본간호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v.19 no.2, 2012년, pp.223 - 232  

최정실 (가천대학교 간호대학) ,  연정화 (국민건강보험공단 일산병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effects of preventing CAUTIs through the practice of using 0.05% chlorhexidine gluconate (CHG) versus normal saline for perineal care in ICU patients. Methods: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was used, and participants were randomly allocated to e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유치도뇨관을 가진 환자의 회음부 간호 시 적절한 용액을 선택하기 위하여 생리식염수를 적용한 실험군과, 클로르헥시딘을 적용한 대조군에 따른 유치도뇨관 관련 요로감염 발생률의 차이를 파악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 본 연구는 최근 미국질병관리본부에서 제시한 회음부 간호방법을 유치도뇨관을 가진 중환자를 대상으로 비교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회음부 간호 시 사용하는 용액을 기존의 클로르헥시딘을 적용한 대조군과 생리식염수를 적용한 실험군으로 구분하여 적용 후 유치도뇨관 관련 요로감염 발생률을 비교하였다.
  • 본 연구는 회음부 간호 시 클로르헥시딘과 생리식염수 적용에 따른 유치도뇨관 관련 요로감염 발생률의 차이를 보기 위하여, 무작위 할당법을 적용한 순수실험연구이다.
  • 본 연구는 회음부 간호방법 시 클로르헥시딘과 생리식염수를 적용하여 유치노됴관 관련 요로감염 발생률에 미치는 효과를 비교하기 위함이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는 유치도뇨관을 가진 중환자를 대상으로 안전하고, 자극이 적은 생리식염수를 사용한 회음부 간호방법과 기존의 클로르헥시딘을 이용한 방법을 적용한 후 유치도뇨관 관련 요로감염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시도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의료관련감염이란 무엇인가? 의료관련감염은 기존 병원감염의 용어가 변경된 것으로 각종 처치나 시술, 면역기전 저하 등의 원인에 의하여 입원 중에 발생하는 감염을 의미한다. 이러한 의료관련감염은 재원일수 연장, 진료의 질 저하와 더불어 의료비의 상승을 유발하고 있다.
감염의 위험을 낮추기 위해 회음부 간호 시 물과 비누로 세척할 것이 권고되고 있는데 이를 시행하기에 어려운 점은? 최근 미국 질병관리센터에서는 회음부 간호시 소독액으로 닦는 것은 오히려 감염의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고, 물과 비누로 세척하도록 권고하고 있다(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CDC], 2009). 그러나 비누를 규칙적으로 사용할 경우에 피부를 건조시키고, 산도의 변화를 야기하며, 과다한 작열감이 있을 때 적용시 표피의 미란을 일으키는 등의 부작용이 보고된 바 있으며(Gray, Ratliff, & Donovan, 2002), 중환자실 환자의 경우 거동이 불편한 환자에게 비눗물과 물을 적용하는 것에 대하여 사실상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다(Shin & Sohng, 2008).
미국 질병관리센터 조사 결과 의료관련 감염 중 발생률이 높은 것은? 이러한 의료관련감염은 재원일수 연장, 진료의 질 저하와 더불어 의료비의 상승을 유발하고 있다. 미국 질병관리센터의 중환자실 대상 조사에 의하면 의료관련 감염 중 발생률이 높은 것은 유치도뇨관 관련 요로감염, 인공호흡기 관련 폐렴의 순이며 국내에서 중환자실을 대상으로 실시된 전국규모의 조사연구에서는 요로감염 발생이 1위를 차지하는 다빈도 감염이었다(Healthcare Infection Control Practices Advisory Committee [HICPAC], 2004; Kwak et al., 201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Berry, A. M., & Davidson, P. M. (2006). Beyond comfort: Oral hygiene as a critical nursing activity in the intensive care unit. Intensive & Critical Care Nursing, 22, 318-328. 

  2.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CDC]. (2009). Guideline for prevention of catheter-associated urinary tract infections. Retrieved May 10, 2012 from www.cdc.gov/hicpac/pdf/CAUTI/CAUTIguideline2009final.pdf 

  3. Cheung, K., Leung, P., Wong, Y. C., To, O. K., Yeung, Y. F., Chan, M. W., et al. (2008). Water versus antiseptic periurethral cleansing before catheterization among home care patients: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American Journal of Infection Control, 36, 375-380. 

  4. Cohen, J. (1988).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s. New York: Academic Press. 

  5. Gray, M., Ratliff, C., & Donovan, A. (2002). Perineal skin care for the incontinent patient. Advances in Skin & Wound Care, 15, 170-178. 

  6. Healthcare Infection Control Practices Advisory Committee;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04). Guidelines for preventing health-care-associated pneumonia, 2003 recommendations of the CDC and the Healthcare Infection Control Practices Advisory Committee. Respiratory Care, 49, 926-939. 

  7. Horan, T. C., Andrus, M., & Dudeck, M. A. (2008). CDC/NHSN surveillance definition of health care-associated infection and criteria for specific types of infections in the acute care setting. American Journal of Infection Control, 36, 309-332. 

  8. Kim, M. J., Park, H. S., Choi, S. H., Sohng, K. Y., Kim, H. S., Nam, J. J., et al. (2005). Fundamentals of nursing. Seoul: Hyunmoonsa. 

  9. Kim, S. J. (2001). Practice in hospital infection: Urinary tract infection. Seoul: Korean Society of Infection Control. 

  10. Koskeroglu, N., Durmaz, G., Bahar, M., Kural, M., & Yelken, B. (2004). The role of meatal disinfection in preventing catheter-related bacteriuria in an intensive care unit: A pilot study in Turkey. The Journal of Hospital Infection, 56, 236-238. 

  11. Kwak, Y. G., Cho, Y. K., Kim, J. Y., Lee, M. S., Kim, H. Y., Kim, Y. K., et al. (2011). Korean nosocomial infections surveillance system, intensive care unit module report: Data summary from July 2009 through June 2010. Korean Journal of Nosocomial Infection Control, 16, 1-12. 

  12. Lee, M. J. (2002). A comparison of meatal cares in preventing of urinary tract infec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onbuk National University, Jeonju. 

  13. Lee, H. Y., Choi, C, J., Park, O. J., Kim, Y. S., Choi, K. O., Kim, K. S., et al. (2010). Adult nursing (6th ed.). Seoul: Sumoonsa. 

  14. Maki, D. G., & Tambyah, P. A. (2001). Engineering out the risk of infection with urinary catheters. Emerging Infectious Diseases, 7, 342-347. 

  15. National Nosocomial Infections Surveillance System. (2004). National Nosocomial Infections Surveillance(NNIS) system report, data summary from January 1992 through June 2004, issued October 2004. American Journal of Infection Control, 32, 470-485. 

  16. Park, E. S., Kim, O. S., Kim, K. M., Kim, Y. S., Jeong, S. Y., Yoon, S. W., et al. (2001). Descriptive study for status of usage of disinfections in Korea. Korean Journal of Nosocomial Infection Control, 6, 17-32. 

  17. Park, E. S., Jeong, S. J., Kim, K. M., Kim, O. S., Jeong, S. Y., Jang, S. Y., et al. (2006). Descriptive study on the current usage of disinfectants in Korea. Korean Journal of Nosocomial Infection Control, 11, 42-49. 

  18. Park, Y. M., & Kim, Y. K. (2005). Comparison of urinary tract infection in meatal care methods for patients with indwelling catheter.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11(1), 123-136. 

  19. Rutala, W. A., Weber, D. J., & The Healthcare Infection Control Practices Advisory Committee [HICPAC]. (2008). Guideline for disinfection and sterilization in healthcare facilities, 2008. Retrieved September 19, 2010, from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Web site: http://www.cdc.gov/hicpac/pdf/guidelines/Disinfection_Nov_2008.pdf 

  20. Saint, S., Kaufman, S. R., Rogers, M. A., Baker, P. D., Ossenkop, K., & Lipsky, B. A. (2006). Condom versus indwelling urinary catheters: A randomized trial. Journal of the American Geriatrics Society, 54, 1055-1061. 

  21. Shin, J. S., & Sohng, K. Y. (2008). Effects of meatal care in reduction of catheter-associated urinary tract infection for elderly patients in the ICU.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15, 449-456. 

  22. Willson, M., Wilde, M., Webb, M. L., Thompson, D., Parker, D., Harwood, J., et al. (2009). Nursing interventions to reduce the risk of catheter-associated urinary tract infection: part 2: staff education, monitoring, and care techniques. Journal of Wound Ostomy and Continence Nursing, 36, 137-154. 

  23. Yu, S. M., & Park, K. Y. (2007). Risk factors of nosocomial urinary tract infection in the intensive care unit with a positive urine culture and foley catheterizat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7, 1149-1158.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