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인위적 성숙 유도된 뱀장어 Anguilla japonica의 자연산란에 의한 난발생과 Pre-leptocephalus 자어의 발달
Development of the Eggs and Pre-Leptocephalus Larvae by Natural Spawning of Artificially-Matured Japanese Eel, Anguilla japonica 원문보기

韓國養殖學會誌 = Journal of aquaculture, v.20 no.3, 2007년, pp.160 - 167  

김대중 (국립수산과학원 양식연구본부 양식관리팀) ,  강언종 (남부내수면연구소) ,  배준영 (국립수산과학원 양식연구본부 양식관리팀) ,  박민우 (국립수산과학원 양식연구본부 양식관리팀) ,  김응오 (남부내수면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극동산 뱀장어의 자연 수정란을 이용하여 $23{\pm}0.5^{\circ}C$의 여과 해수가 공급되는 실내수조에서 난발생과 pre-leptocephalus 자어발달을 관찰하였다. 친어 관리에 있어서 암컷은 연어 뇌하수체 추출물(20 mg/fish)과 수컷은 HCG (1 IU/g BW)를 매주 복강 주사하여 인위적인 성성숙 및 자연산란을 유도하였다. 수정란은 직경 1.0 mm 정도의 분리 부성란으로, 전형적인 반상분할(discoidal cleavage)을 통해 분할이 이루어졌다. 부화는 $23^{\circ}C$의 여과 해수에서 수정 후 38시간부터 개시되었다. 부화 직후의 자어는 전장 약 3.0 mm, 근절수는 평균 42개였다. 부화자어의 입과 항문은 부화 후 4.5일째에 열렸고, 난황은 부화 후 6.5 일째에 거의 흡수되었다. 자어는 14.5일 동안 생존하였고, 이때 전장 $5.87{\pm}0.25mm$, 근절은 98개였다. 그러나 수정란과 prelaptocephalus 자어발생의 형태학적 특징은 자연수정과 건식법에 의한 인공수정과 큰 차이점은 없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Embryonic and pre-leptocephalic larvae development of the eel, Anguilla japonica, are described following natural fertilization in the indoor tank of $23^{\circ}C$ water temperature. Following a routine hormone treatment technique for the brood stock, female eels were artificially mature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이 연구는 뱀장어의 인공종묘생산을 위한 중요한 과정 중의 하나인 양질의 수정란을 대량 확보하는 방법으로서, 호르몬 처리에 의해 인위적으로 성성숙을 유도한 어미를 실내수 조에 수용하여 자연산란을 유도하였고, 난 발생 및 부화자어의 형태학적 연구를 통해 뱀장어 종묘생산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극동산 뱀장어는 어떤 어종인가? 극동산 뱀장어(Anguilla japonica)는 고부가가치의 양식어종 으로 현재까지 인공종묘생산기술이 정립되지 않아 강하구로 소상하는 자연산 실뱀장어의 채포에 의존한 불완전양식으로 수행 되고 있다. 또한, 종묘로 이용되는 실뱀장어의 공급량과 가격이 불안정하여 뱀장어 양식의 문제점으로 지적됨에 따라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뱀장어 인공종묘생산을 통한 완전양식을 실현하고자 활발히 연구가 수행되어 왔다.
극동산 뱀장어의 양식은 무엇이 수행되고 있는가? 극동산 뱀장어(Anguilla japonica)는 고부가가치의 양식어종 으로 현재까지 인공종묘생산기술이 정립되지 않아 강하구로 소상하는 자연산 실뱀장어의 채포에 의존한 불완전양식으로 수행 되고 있다. 또한, 종묘로 이용되는 실뱀장어의 공급량과 가격이 불안정하여 뱀장어 양식의 문제점으로 지적됨에 따라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뱀장어 인공종묘생산을 통한 완전양식을 실현하고자 활발히 연구가 수행되어 왔다.
Anguilla japonica의 종묘로 이용되는 실뱀장어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극동산 뱀장어(Anguilla japonica)는 고부가가치의 양식어종 으로 현재까지 인공종묘생산기술이 정립되지 않아 강하구로 소상하는 자연산 실뱀장어의 채포에 의존한 불완전양식으로 수행 되고 있다. 또한, 종묘로 이용되는 실뱀장어의 공급량과 가격이 불안정하여 뱀장어 양식의 문제점으로 지적됨에 따라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뱀장어 인공종묘생산을 통한 완전양식을 실현하고자 활발히 연구가 수행되어 왔다. 특히, 호르몬 처리에 의한 A.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Asano, H., Y. Kubo, H. Hayashi, 1997. Location and numbers of oil globules in unfertilized and fertilized eggs, and larvae in the preleptocephalic stage in the order Anguilliformes. Mem. Fac. Agr. Kinki Univ., 30, 19-31 

  2. Bezdenezhnykh, V. A., G. A. Prokhorchik, A. M. Petrikov, V. B. Petukov and M. V. Plyuta, 1983. Obtaining the larvae of European eel Anguilla anguilla L. (Pisces, Anguillidae) under experimental conditions. Dokl. Akad. Nauk SSSR., 268(5), 1264-1266 

  3. Horie, N., T. Utoh, Y. Yamada, A. Okamura and H. Zhang, 2002. Development of embryos and larvae in the common Japanese conger Conger myriaster. Fish. Sci., 68, 972-983 

  4. Kim, D. J., E. H. Kim, M. W. Park, Y. C. Cho and S. G. Lim, 2006a. Plasma sex steroid hormone profiles in artificially maturing wild eel, Anguilla japonica. J. Aquaculture, 19(4), 267-274 

  5. Kim, E. O., J. Y. Bae, S. G. Lim, M. H. Son, M. W. Park, M. S. Park, Y. C. Cho and D. J. Kim, 2006b. Plasma sex steroid hormone profiles and testicular development in artificially maturing cultured male eel, Anguilla japonica. J. Kor. Fish. Soc., 39(6), 466-471 

  6. Kurokawa, T., H. Kagawa, H. Ohta, H. Tanaka, K. Okuzawa, K and K. Hirose, 1995. Development of digestive organs and feeding ability in larvae of Japanese eel Anguilla japonica. Can. J. Fish. Aquat. Sci., 52, 1030-1036 

  7. Kurokawa, T., H. Tanaka, H. Kagawa and H. Ohta. 1996. Absorption of protein molecules by the rectal cells in eel larvae Anguilla japonica. Fish. Sci., 62, 832-833 

  8. Kurokawa, T. and B.H. Pedersen. 2003. The digestive system of eel larvae. (in) K. Aida, K. Tsukamoto and K. Yamaguchi (eds.), Eel Biology. Springer-Verlag, Tokyo, pp. 435-444 

  9. Ohta, H., H. Kagawa, H. Tanaka, K. Okuzawa, K. Hirose, 1996. Changes in fertilization and hatching rates with time after ovulation induced by 17, 20 $\beta$ -dihydroxy-4-pregnen-3-one in the Japanese eel, Anguilla japonica. Aquaculture, 139, 191-301 

  10. Pedersen, B. H., 2003. Induced sexual maturation of the European eel, Anguilla anguilla and fertilisation of the eggs. Aquaculture, 224, 323-338 

  11. Pedersen, B. H., 2004. Fertilisation of eggs, rate of embryonic development and hatching following induced maturation of the European eel Anguilla anguilla. Aquaculture, 237, 461-473 

  12. Tanaka, H., H. Kagawa, H. Ohta, K. Okuzawa and K. Hirose, 1995. The first report of eel larvae ingesting rotifers. Fish. Sci., 61, 171-172 

  13. Tanaka, H., H. Kagawa and H. Ohta, 2001. Production of leptocephali of Japanese eel, Anguilla japonica in captivity. Aquaculture, 201, 51-60 

  14. Tanaka, H., H. Kagawa, H. Ohta, T. Unuma and K. Nomura, 2003. The first production of glass eel in captivity: fish reproductive physiology facilitates great progress in aquaculture. Fish Physiol. Biochem., 28, 493-497 

  15. Tsukamoto, K., 2006. Spawning of eels near a seamount. Nature, 439-929 

  16. Umezawa, A., T. Otake, J. Hirokawa, K. Tsukamoto and M. Okiyama, 1991. Development of the eggs and larvae of the pike eel, Muraenesox cinereus. Jpn. J. Ichthyol., 38, 35-40 

  17. Watanabe, S., 2003. Taxonomy of the freshwater eels, Genus Anguilla. (in) K. Aida, K. Tsukamoto and K. Yamaguchi (eds.), Eel Biology. Springer-Verlag, Tokyo, pp. 3-18 

  18. Yamamoto, K and K. Yamauchi, 1974. Sexual maturation of Japanese eel and production of eel larvae in the aquarium. Nature, 251, 220-221 

  19. Yamamoto, K., K. Yamauchi and S. Kasuga, 1975a. On the development of Japanese eel, Anguilla japonica. Bull. Japan. Soc. Sci. Fish., 41(1), 21-28 

  20. Yamamoto, K., K. Yamauchi and T. Morioka, 1975b. Pre-leptocephalic larvae of Japanese eel, Anguilla japonica. Bull. Japan. Soc. Sci. Fish., 41(1), 29-34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