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염분변화에 따른 멍게 Halocynthia roretzi의 생존과 생리적 반응
Survival and Physiological Responses of the Tunicate Halocynthia roretzi to Salinity Changes 원문보기

韓國養殖學會誌 = Journal of aquaculture, v.20 no.4, 2007년, pp.226 - 231  

신윤경 (국립수산과학원 남해특성화연구센터) ,  최낙중 (국립수산과학원 남해특성화연구센터) ,  허영백 (국립수산과학원 양식환경연구센터) ,  한형균 (국립수산과학원 양식환경연구센터) ,  박정흠 (국립수산과학원 양식환경연구센터) ,  김윤 (바다목장화사업단)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염분변화에 대한 양식 멍게 Halocynthia roretzi의 생리적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생존율과 염분감소에 따른 삼투조절능, 산소소비율, 암모니아질소배설률 및 여수율 등의 생리적 반응을 조사하였다. 염분변화에 따른 삼투질농도의 순치시간은 60% 희석해수에서 $20{\sim}46$시간 소요되었으며, 80% 희석해수에서는 $20{\sim}25$시간, 고염분인 110% 해수에서는 노출된 지 $7{\sim}8$시간 만에 순치하여 저염분에 비해 빠르게 순치하였다. 생존율은 염분26.4 psu 이상에서 생존율 80% 이상을 나타내었으며, 6일 동안의 $LS_{50}$은 25.4 psu이었다. 멍게의 산소소비율, 암모니아질소배설률 및 여수율 등의 대사반응은 노출초기에 비해 노출 4일째 증가 혹은 감소의 뚜렷한 반응을 보였으며, O:N비는 노출기간 동안 염분 $26.4{\sim}6.6\;psu$에서 15 이하의 낮은 값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보아 노출초기부터 염분에 대한 스트레스를 심하게 받는 것으로 여겨진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investigated survival and osmolarity, oxygen consumption, amonia extetion and filtration rates associated with physiological responses of the tunicate Halocynthia roretzi salinity changes. Acclimation times for osmolatity in different salinities took $20{\sim}26$ hours in 60% SW (19.8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1970년대 중후반부터 대량폐사가 발생한 후 다시 1990년대 후반에 접어들면서 ‘물렁증’ 현상으로 대량폐사가 매년 발생하여 생산량이 현저히 감소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멍게의 폐사원인 구명을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염분변화에 노출된 멍게의 생존과 생리적 지표의 반응을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연안에서 염분 변화는 피낭류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비록 짧은 기간 동안 염분의 변화에 노출되었다할지라도 반응은 생물의 종류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이와 같이 염분 변화는 피낭류의 경우, 개체군 역학 변화 뿐만 아니라 개체군의 대량폐사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Goodbody, 1962)고 보고되어 있다. 특히 여름철 집중호우 시에는 염분의 변화가 심각하므로 연안에서 양식되고 있는 양식생물의 생산량에 피해를 주고 있다.
피낭류가 염분에 대한 삼투조절 기능을 갖는 기관이 일부분인 이유는? 특히, 피낭류는 정상적으로 이온이나 삼투조절과 관련된 배설기관이 부족하므로 염분에 대한 삼투조절 기능을 갖는 기관은 일부분이다. 삼투조절을 하는 기관으로는 장(Robertson, 1954), 소화관 혹은 피낭(Miller and Packer, 1977), 그리고 branchial basket (Markus and Lambert, 1983)으로 알려져 있으나 이와 관련된 기능 및 염분 내성에 관 한 보고는 찾아볼 수 없다.
연안에 많이 서식하는 동물들에는 무엇으로 알려져 있는가? 염분이 낮은 환경에서 생물이 견디기 위해 생체 내에서 일어나는 현상은 생리적 기작으로 물에 대한 투과성과 이온 흡수율을 높이고, 또한 혈림프에 아미노산이나 폡티드와 같은 삼투조절능력이 있는 물질을 방출시켜 환경에 견디게 한다 (Peter and Elizabeth, 1988). 일반적으로 연안에 서식하는 많은 동물들은 변삼투자(osmoconformer)이며, 피낭류도 등삼투성(isosmotic)으로 알려져 있다(Henze, 1911; Kobayashil, 1935). 저 염분에 노출되면, 패류는 패각을 닫고 수관을 수축시키며, 다모류는 구멍속으로 들어가는 행동반응을 보이는데, 이러한 모든 행동반응은 동물들이 살아남기 위한 보호전략에 속하는 것이다 (Linda, 198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Almada-villela, P.C., 1984. The effects of reduced salinity on the growth of small Mytilus edulis. J. Mar. Biol. Ass. U.K., 64, 171-182 

  2. Bayne, B.L., D.R. Livingstone, M.N. Moore and J. Widdows, 1976. A cytochemical and biochemical index of stress in Mytilus edulis L. Mar. Poll. Bull. 7, 221-224 

  3. Bohle, B., 1972. Effects of adaptation to reduced salinity on filtration activity and growth of mussels (Mytilus edulis). J. Exp. Mar. Biol. Ecol., 10, 41-49 

  4. Cole, H.A. and B.T. Hepper, 1954. The use of neutral red solution for the comparative study of filtration rate of Lamelli branchs. J. Cons Int. Explror. Mer., 20, 197-203 

  5. Corner, E.D.S. and C.B. Cowey, 1968. Biochemical studies on the production of marine zooplankton. Biol. Bull., 43, 393-426 

  6. Dybern, B. I., 1969. Distribution and ecology of the tunicate Ascidiella sacbra (Muller) in Scagerak-Kattegaat of the Baltic proper, Distribution and ecology. Limnologica, 7, pp. 27-36 

  7. Finney, D.J., 1971. Probit Analysis. 3rd ed. Lond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8. Goodbody, I., 1962. The biology of Ascidia nigra(Savigny) I. Survival and mortality in an adult population. Biol. Bull. (Woods Hole, Mass.), 122, pp. 299-305 

  9. Hand S.C. and W.B. Stickle. 1977. Effects of tidal fluctuations of salinity on pericardial fluid composition of the American Crassostrea virginica. Mar. Biol., 42, 259-271 

  10. Henze, M., 1911. Untersuchungen ber das bult der Ascidien I. Mitteiung. Die vanadiumverbindung der Blutkrperchen. Hoppe-Seyler's Z. Physiol. Chem., 72, pp. 494-501 

  11. Kobayashi, G., 1935. Chemical composition of the body fluid of an ascidian: Chelyosoma. Siboha Oka. Sci. Rep. Toboku, Univ. Series IV, 9, pp. 407-413 

  12. Linda L. S., 1984. Osmorgulatory capabilities of three macrosympatric stolidobranch ascidians, Stylela clava Herdman, S. plicata (Lesueur), and S, montereyensis(Dall). J. Exp. Mar. Biol. Ecol., 82, 117-129 

  13. Markus, J.A. and C.C. Lambert, 1983. Urea and ammonia excretion by solitary ascidians. J. Exp. Mar. Biol. Ecol., 66, 1-10 

  14. Mayzaud, P. 1973. Respiration and nitrogen excretion of zooplankton. II. Studies of the metabolic characteristics of starved animals. Mar. Biol., 21, 19-28 

  15. Miller, M.A. and R.K. Packer, 1977. A structural and functional study of the role of the renal sac in ionic regulation in the tunicate Molgula manhattensis. Comp. Biochem. Physiol., 57A, 424-427 

  16. Navarro J.M. and C.M. Gonzalez, 1998. Physiological responses of the Chilean scallop Argopecten purpuratus to decreasing salinities. Aquaculture, 167, 315-327 

  17. Oglesby, L.C., 1965. Water and chloride regulation in nerids. Comp. Biochem. Physiol., 14, 621-640 

  18. Peter M. T. and B. A. Elizabeth, 1988. Osmoregulation in the intertidal gastropod Littorina littorea. J. Exp. Mar. Biol. Ecol., 122, 35-46 

  19. Pierce, S. K., 1971. A source of solute for volume regulation in marine mussels. Comp. Biochem. Physiol., 39A, 103-117 

  20. Robertson, J.D., 1954. The chemical composition of the blood of some aquatic chordates including members of the Tunicata, Cyclostomata, and Osteichthyes. J. Exp. Biol., 31, 424-442 

  21. Sastry A.N. and S.L. Vargo, 1977. Variations in the physiological response of crustacean larvae to temperature. (in) F. J. Vernberg, A. Calabrese, F.P. Thurberg and W. B. Vernberg (Eds.), Physiological Response of Marine Biota to Pollutants. Academic Press, New York., pp. 410-424 

  22. Shin, Y.K. B.H. Kim, B.S. Oh, C.G. Jung, S.G. Sohn and J.S. Lee, 2006. Physiological responses of the ark shell Scapharca broughtonii (Bivalvia: Arcidae) to decreases in salinity. J. Fish. Sci. Technol. 9(4), 153-159 

  23. Solorzano, L., 1969. Determination of ammonia in natural waters by the phenolhypochlorite method. Limnol. Oceanogr., 14, 799-801 

  24. Shumway, S., 1977. The effects of fluxtuating salinity on the tissue water content of eight species of bivalve mollusks. J. Comp. Physiol., 116, 269-285 

  25. Widdows, J., 1978. Physiological indices of stress in Mytilus edulis. J. Mar. Biol. Ass. U. K., 58, 125-142 

  26. Widdows, J., 1985. The effects of fluctuating and abrupt changes in salinity on the performance of Mytilus edulis. (in) J. S. Gray and M. E. Christiansen, (Eds.), Marine Biology of Polar Regions and Effects of stress on marine organism. Wiley- Interscience, pp. 555-56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