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득량만에서 키조개 Atrina pectinata 자원과 유생 출현 분포
Stock Density and Larval Occurrence of Penshell Atrina pectinata in Deukryang Bay 원문보기

韓國養殖學會誌 = Journal of aquaculture, v.20 no.4, 2007년, pp.232 - 238  

김철원 (국립수산과학원 남해수산연구소) ,  권승배 (여수지방해양수산청 고흥해양수산사무소) ,  허성범 (부경대학교 양식학과)

초록

득량만에서 생산되는 키조개 Atrina pectinata 성체와 부유유생의 출현 분포를 조사하였다. 채집시기별 정점에 따른 키조개의 출현량은 8월에 만의 가장 안쪽 정점 G1에서 18개체/$m^2$로 가장 많이 출현하였고, 전중량은 11월에 정점 G1에서 $2,790\;g/m^2$으로 가장 높았다. 수심이 낮은 내만과 서쪽 해역은 수심이 깊은 만 입구와 동쪽해역에 비하여 자원량이 많았다. 키조개 유생 출현량은 8개체/$m^3$ 이하로 매우 적었다. $7{\sim}8$월의 경우, 음력 $3{\sim}4$일경을 중심으로 유생 출현량이 peak를 이루는 경향을 보였으며, $9{\sim}10$월에는 유생 출현량이 크게 감소하였다. 유생의 경우도 수심이 낮은 만의 안쪽과 득량도 서쪽 해역이 수심이 깊은 만입구와 동쪽해역에 비해 출현량이 많았다. 득량만에서의 키조개 유생의 출현량은 자원량에 비하여 매우 낮은 결과를 보였다. 그러나 자원량과 유생의 지리적 분포 특성은 서로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수심이 낮고 육수의 유입이 많으며 유속이 약한 내만은 키조개 모패 자원량이 풍부할 뿐만 아니라, 산란된 유생이 분산되지 않아 유생의 서식과 성장에도 가장 적합한 해역이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distribution of stock density and larvae of Atrina pectinata was examined in Deukryang Bay. Sampling of adult stock was seasonally conducted from 29 stations in the bay in May, August, and November 1995 and February 1996. And the larvae were sampled with interval of 3 to 7 days from 12 station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 1995), 자원분포(Kim and Hur, 1998) 등이 있으나 자원량과 부유유생의 출현 분포에 관한 연구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득량만에서 키조개의 자원량과 유생의 분포 밀도를 조사함으로써 득량만 키조개의 안정적인 생산과 자연채묘 기술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파악하고자 실시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키조개는 우리나라 어느 지역에서 주로 서식하고 있는가? 키조개는 한국의 조개류 중 가장 대형종으로 남해안의 진해만, 여자만, 득량만과 서해안의 천수만, 군산연안 등지에 주로 서식하고 있으며 후폐각근을 식용으로 이용하는 매우 중요한 양식대상종이다. 득량만은 남해안의 대표적인 키조개 생산지이나 남획과 연안어장의 노후화 및 환경오염으로 생산량이 계속 감소되고 있다.
국내에서 키조개에 관한 연구에는 무엇이 있는가? 국내에서 키조개에 관한 연구는 성장 및 형태변이(Choe, 1980;1981), 산란주기(Yoo and Yoo, 1984), 부착치패의 초기성장(Kim et al., 1985; Yoo et al., 1988), 인공종묘생산 및 자연채묘(Cheong et al., 1986; Son et al., 2005) 등이 있다.
득량만에서 생산되는 키조개 Atrina pectinata 성체와 부유유생의 출현 분포를 조사한 결과는 어떻게 나타났는가? 득량만에서 생산되는 키조개 Atrina pectinata 성체와 부유유생의 출현 분포를 조사하였다. 채집시기별 정점에 따른 키조개의 출현량은 8월에 만의 가장 안쪽 정점 G1에서 18개체/m2로 가장 많이 출현하였고, 전중량은 11월에 정점 G1에서 2,790 g/ m2으로 가장 높았다. 수심이 낮은 내만과 서쪽 해역은 수심이 깊은 만 입구와 동쪽해역에 비하여 자원량이 많았다. 키조개 유생 출현량은 8개체/m3 이하로 매우 적었다. 7~8월의 경우, 음력 3~4일경을 중심으로 유생 출현량이 peak를 이루는 경향을 보였으며, 9~10월에는 유생 출현량이 크게 감소하였다. 유생의 경우도 수심이 낮은 만의 안쪽과 득량도 서쪽 해역이 수심이 깊은 만입구와 동쪽해역에 비해 출현량이 많았다. 득량만에서의 키조개 유생의 출현량은 자원량에 비하여 매우 낮은 결과를 보였다. 그러나 자원량과 유생의 지리적 분포 특성은 서로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수심이 낮고 육수의 유입이 많으며 유속이 약한 내만은 키조개 모패 자원량이 풍부할 뿐만 아니라, 산란된 유생이 분산되지 않아 유생의 서식과 성장에도 가장 적합한 해역이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Bae, P. A. and C. H. Han, 1998. Effects of nursery environmental factors on the growth of Pacific oyster, Crassostrea gigas. J. Aquacult., 11, 391-400 

  2. Cheong, S. C., J. S. Hue, Y. B. Moon, J. K. Lee, C. H. Song and K. K. Kim, 1986. Experimental study on the penshell, Atrina pectinata (Reeve). Bull. Fish. Res. Dev. Agency, 39, 143-149 

  3. Choi, Y. K., K. D. Cho, B. G. Lee and C. H. Hong, 1995.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depth in Deukryang Bay. Culturing ground of penshell, Atrina pectinata. J. Kor. Soc. Fish. Technol., 31, 127-141 

  4. Choe, K. J., 1980. On mutual relation between length and weight of penshell, Atrina pectinata (Reeve). Yeosu National Fisheries College, 14, 37-41 

  5. Choe, K. J., 1981. On morphological variations of the penshell, Atrina pectinata (Reeve) larvae in Yeoja Bay. Yeosu National Fisheries College, 14, 37-41 

  6. Ishii, R., H. Sekiguchi, Y. Nakahara and Y. Jinnai, 2001. Larval recruitment of the manila clam Ruditapes philippinarum in Ariake Southern Japan. Fish. Sci., 67, 579-591 

  7. Jung, E. J., C. H. Hong, B. G. Lee and K. D. Cho, 1994. A numerical study on the circulation in Deukryang Bay. J. Kor. Fish. Soc., 27, 397-403 

  8. Kim, C. W. and S. B. Hur, 1998. Distribution of the bivalve resources in Deukryang Bay. J. Aquacult., 11, 249-260 

  9. Kim, C. W., 1998. Stock density, larvae distribution and natural seedling collection of bivalve resources in Deukryang Bay. Ph. D. thesis, Pukyong National University, 135 pp 

  10. Kim, D. S. and K. Y. Park, 1996. Occurrence and distribution of the bivalve larvae in Deukryang Bay. Southern part of Korea. Bull. Inst. Littor. Environm., Mokpo National University. 13, 105-126 

  11. Kim, S. W., K. D. Cho, H. K. Rho, J .C. Lee, S. H. Kim and S. I. Shin, 1995. Temperature and salinity distribution in Deukryang Bay in summer of 1992-1993. J. Kor. Fish. Soc., 28, 7-14 

  12. Kim, Y., M. S. Park and S. D. Lee, 1985. Occurrence and growth of penshell, Atrina pectinata (Reeve) larvae in Yeoja Bay. Bull. Fish. Res. Dev. Agency, 34, 165-170 

  13. Lee, J. C., H. K. Rho, K. D. Cho, S. I. Shin, S. W. Kim and S. J. Kim, 1995. Tidal current in the western part of Deukryang Bay in summer 1992. Bull. Kor. Fish. Soc. 28, 1-6 

  14. Miyawaki, D. and H. Sekiguchi, 1999. Interannual variation of bivalve population on temperate tidal flats. Fish. Sci., 65, 817- 829 

  15. RCOID, 1995. Oceanographic data Deukryang Bay, 1991-1993, Pusan. Research Center for Ocean Industrial Development. Pukyong National University, 278 pp 

  16. Son, P. W., D. S. Ha, C. H. Lee, D. S. Jang and D. K. Kim, 2005. Study on the natural spat collection of the penshell, Atrina pectinata. Kor. J. Malacol., 21, 113-120 

  17. Wilde, P. A. and E. M. Berghuls, 1979. Cyclic temperature fluctuation in a tidal-flat. (in) Naylor, E and R.C. Hartnoll (eds.), Cyclic Phenomena in Marine Plants and Animal. Proc. 13th European Marine Biology Symposium, 27 Sept.-4 Oct., 1978, Pergamon Press, pp. 435-441 

  18. Won, M. S., 1994. Seed production and environmental influence on productivity of the shortnecked clam, Ruditapes philippinarum. Ph. D. these, National Fisheries University of Pusan, 220 pp 

  19. Yang, H. S., S. S. Kim and G. B. Kim, 1995. Spatio-temporal distribution of nutrients in the surface water of Deukryang Bay. J. Kor. Fish. Soc., 28, 475-488 

  20. Yang, M. H., S. D. Choi, Y. G. Rho, S. Y. Kim and C. G. Jung, 1998. A study on the growth of penshell, Atrina pectinata transplanted into Duekryang Bay in Southern Korea - I. Environmental factors and transplanted effect on different shell size groups. J. Aquacult., 11, 193-201 

  21. Yoo, S. K. and M. S. Yoo, 1984. Studies on the penshell culture development - reproductive ecology of penshell in Y ja-Bay. J. Kor. Fish. Soc., 17, 529-535 

  22. Yoo, S. K., H. K. Lim, H. Y. Ryu and K. H. Kang, 1988. Improvement of the seed production method of the penshell - The occurrence of larvae and the early growth of the spat. J. Kor. Fish. Soc., 21, 206-216 

  23. Yoshida, H., 1964. Seedling of shellfish. Hokuryu-Kan Co., Ltd. Tokyo. 221 pp 

  24. Yoo, S. K., 2000. Mariculture, Guduck Publishing, Busan, 639 pp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