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 PAHs 오염 우려지역의 환경 시료 중 PAHs 잔류량 모니터링
Monitoring of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 Residues in Environmental Samples in Korea 원문보기

농약과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pesticide science, v.11 no.2, 2007년, pp.95 - 105  

임종수 (강원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자원생물환경학과) ,  김성수 (강원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자원생물환경학과) ,  박동식 (강원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자원생물환경학과) ,  주진호 (강원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자원생물환경학과) ,  임춘근 (강원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응용생물학과) ,  허장현 (강원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자원생물환경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국내 지역별 농작물과 농업환경 중 16종의 PAHs 잔류 양상을 파악하고자 수행하였다. 국내 PAHs 오염 우려지역인 공업단지 및 화력발전소 주변에서 주요 농작물(26점), 농작물 재배 토양(46점) 및 농작물 재배 주변 물(15점) 시료를 채취하여 GC/MSD로 PAHs 잔류량을 분석하였다. 농작물의 경우 최대 5종의 PAHs가 $4.5{\sim}52.2{\mu}g\;kg^{-1}$ 수준으로 검출되었으며, 토양에서는 최대 13종의 PAHs가 $4.3{\sim}662.9{\mu}g\;kg^{-1}$ 범위로 검출되었다. 이 중 발암성이 강한 물질로 알려진 benzo(a)anthracene, chrysene, benzo(b)fluoranthene, benzo(k)fluoranthene, benzo(a)pyrene, dibenzo(a,h)-anthracene 등 총 6가지 성분이 $14.2{\sim}167.8{\mu}g\;kg^{-1}$ 범위로 검출되었다. 특히 토양 중 PAHs 잔류함량과 검출빈도는 제철, 중공업단지가 밀집되어있고 교통량이 많은 지역이 다른 지역보다 최대 3배 이상 높게 나타났으며, 산불이 발생했던 지역에서는 최대 6종의 PAHs가 $73{\sim}36.0{\mu}g\;kg^{-1}$ 수준으로 검출되었다. 자동차 배기가스 및 주거난방 시설에서 주로 발생하는 naphthalene, phenanthrene, fluoranthene, pyrene 등의 검출빈도가 다른 성분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채취한 모든 물 시료에서는 PAHs가 검출되지 않았다. 이는 PAHs의 수용해도가 비교적 낮고, 친유성의 특성을 가지고 있어 물보다는 유기화합물이 풍부한 저니토에 잔류할 가능성이 크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본 연구 결과 국내농작물과 농업환경 중 일부 PAHs가 분포되어 있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향후 환경 중 PAHs의 농작물 오염경로 및 잔류 특성 등을 규명하는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residual amounts of PAHs in environmental samples such as crop, soil and water collected from paddy, upland fields and forestlands near industrial zone and/or a thermal power plant in South Korea. All of the samples were analyzed by GC-mass spectrometer. T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전국의 대표적인 공업단지 및 화력발전소 최근 산불 발생 지역 등 오염 우려지역 주변의 주요 농작물, 농작물 재배 토양 및 농작물 재배 주변의 물 시료 중 PAHs의 잔류량을 모니터링 하였다
  •  본 연구는 국내 지역별 농작물과 농업환경 중 16종의 PAHs 잔류 양상을 파악하고자 수행하였다. 국내 PAHs 오염 우려지역인 공업단지 및 화력발전소 주변에서 주요 농작물(26점), 농작물 재배 토양(46점) 및 농작물 재배 주변 물(15점) 시료를 채취하여 GC/MSD로 PAtfe 잔류량을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Beak, S. O., R. A. Field, M. E. Goldstone, P. W. Kitr, J. N. Lester and R. Perry (1991) A review of atmospheric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Source, fate and behavior. Water, Air & Soil Pollution 60(3,4), 279(22) 

  2. Berardescok G., S. Dyhrman, E. Gallagher and M. P. Shiaris (1998) Spatial and temporal variation of phenanthrene degrading bacteria in intertidal sediments. Appl. Environ. Microbiol. 64:2560-2565 

  3. Blumer, M., W. Blumer and T. Reich (1977)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in soil of a mountain valley: correlation with highway traffic and cancer incidence. Environ. Sci. Technol. 11(12): 1082 -1084 

  4. Budzinski, H., I. Jones, J. Bellocq, C. Z. Pierard and P. Garrigues (1997) Evaluation of sediment contamination by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in the Gironde estuary. Mar. Chem., 58:85-97 

  5. Edward, N. T. J. (1987)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PAHs) in the terrestrial environment - a review. J. Environ. Qual. 12:427 -441 

  6. Golomb D., D. Ryan, J. Underhill, T. Wade and S. Zemba (1997) Atmospheric deposition of toxies onto Massachusetts Bay- II.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Atmos. Environ. 31(9):1361-1368 

  7. Guddal, E. (1959) Isolation of polynuclear aromatic hydrocarbons from the root of chrysanthemum vulgare Bemh. Acta. Chem. Scand. 13(4)834-835 

  8. Guo, H., S. C. Lee, F. F. Ho, M. X. Wang and S. C. Zou (2003) Particle associated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in urban air of Hong Kong. Atmospheric Environment 37:5307 -5317 

  9. Keiichi, A, S. Takashi, Y. Mashiro and K. Yasushi (1962) Polynuclear aromatic hydrocarbons concentration and mutagenic activity in soil sampled at roadsides. J. Japan Soc. Air Pollut. 27(4): 190-197 

  10. Kim, G. B., K. A. Maruya, R. F. Lee, J. H. Lee and C. H. Koh (1999) Distribution and sources of polycyclic hydrocarbons in sediment from Kyeonggi Bay, Korea, Mar. Pollut. Bull. 38:7 -15 

  11. Menzie, C., A. B. Potocki and J. Santodonato (1992) Exposure to carcinogenic PAHs in the environment. Environ. Sci. Technol. 26: 1278 -1284 

  12. Nam J. J., B. H. Song, K. C. Eom, S. H. Lee and A. Smith (2003) Distribution of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in agricultural soils in South Korea. Chemosphere 50: 128 1-1289 

  13. Nasrin R. K., A. S. Peter and M. H. Thomas (1994) PAH source fingerprints for coke ovens, diesel and, gasoline engines, highway tunnels, and wood combustion emissions. Atoms. Environ. 29(4):533 -542 

  14. Oda, J., S. Nomura, A. Yasuhara and T. Shibamoto (2001) Mobile sources of atmospheric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in a roadway tunnel. Atmospheric Environment 35:4819-4827 

  15. Samanta, S. K., O. V. Singh and R. K. Jain (2002)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environmental pollution and bioremediation. Trends in Biotechnol. 20(5):243 -248 

  16. Shabad, L. M., Y. L. Cohan, A. P. Ilnitsky, A. Ya. Khesina, N. P. Shcherbak and G. A. Smirnov (1971) The carcinogenic hydrocarbons benzo(a)pyrene in the soil. J. Natl. Cancer Inst. 47(6): 1179 -1191 

  17. Strosher M. T. and G. W. Hodgson (1975)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in Lake Water and Associated Sediments-Analytical Determination by GC/MS. ASTM SID 537:259-270 

  18. Zhu, L. and J. Wang (2003) Sources and patterns of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pollution in kitchen air, China. Chemosphere 50:611 -618 

  19. 김동환, 옥곤 (2005) 서울시 토양 중 다환방향족탄화수소의 농도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과학회지 14(1):71 -80 

  20. 김종훈 (2000) 하수슬러지와 토양 중 다환방향족 탄화수소의 정량. 한국분석학회지 13(3):357 -367 

  21. 박찬구, 윤중섭, 김민영, 손종열, 모세영 (2004) 발생원별에 따른 PAHs 배출특성. 한국대기환경학회지 20(3):331-342 

  22. 옥곤, 지성희, 문효방, 한영호 (1998) 대기 부유분진 중 다환방향족탄화수소 (PAHs) 의 농도 수준 및 특성. 한국환경분석학회지 11(3):265 -274 

  23. 이수정, 문효방, 최민규, (2006) 마산과 행암 지역으로 유입되는 다환방향족탄화수소(PAHs)의 대기 침적 플럭스 산정과 특성. 한국환경과학회지 15(2):121-131 

  24. 정홍호, 정호승, 최상원 (2006) 광양만 연안 퇴적토 중의 다환방향족탄화수소류의 분포특성. 한국공업화학회지 17(2):210-216 

  25. 진유경, 이민규, 감상규 (2006) 제주시 토양 중 다환 방향족탄화수소류(PAHs)의 분포 특성. 한국환경과학회지 15(5):405-415 

  26. 표희수, 홍지은, 이강진, 박송자, 이원 (2000) 대기중 다환 방향족 탄화수소류의 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분석과학회지 13(4):453 -46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