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성숙에 따른 뜰보리수(Elaeagnus multiflora Thunb.) 열수추출물의 항산화 활성과 Xanthine Oxidase 저해효과
Antioxidant Activities and Xanthine Oxidase Inhibitory Effects of Hot-water Extracts from Fruits of Elaeagnus multiflora Thunb. in Maturity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6 no.1, 2007년, pp.14 - 19  

윤경영 (영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홍주연 (대구한의대학교 한방식품조리영양학부) ,  남학식 (대구한의대학교 한방식품조리영양학부) ,  문용선 (영남대학교 원예학과) ,  신승렬 (대구한의대학교 한방식품조리영양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여러 가지 생리기능성에 비해 식품 및 약제로써의 이용성이 낮은 뜰보리수의 이용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성숙단계별로 뜰보리수를 채취하여 이들 열수추출물의 항산화성 및 xanthine oxidase저해활성을 측정하였다. 추출물의 농도가 높아질수록 추출물의 전자공여능은 증가하였으며, 미숙 뜰보리수 추출물이 완숙 및 과숙 뜰보리수 추출물에 비해 높은 전자공여 효과를 가졌다. 100 ${\mu}g/mL$에서 미숙, 완숙 및 과숙 뜰보리수 열수추출물의 SOD 유사활성은 각각 9.7%, 1.0% 및 0.6%를 나타내었으며, 1,000 ${\mu}g/mL$에서는 미숙, 완숙 및 과숙 뜰보리수 추출물의 SOD 유사활성이 각각 32.8%, 11.2% 및 5.0%를 나타내어 미숙 뜰보리수 추출물이 완숙 및 과숙 뜰보리수 추출물에 비해 3$\sim$10배 높게 나타났다. 또한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할 수록 SOD유사활성이 증가하였다. 뜰보리수 추출물의 아질산염 소거능은 pH 1.2와 pH 3.0 및 100, 300 및 500 ${\mu}g/mL$의 농도에서 미숙>완숙>과숙의 순을 나타내었다. 반면, 1,000 ${\mu}g/mL$ 농도에서는 완숙 및 과숙 뜰보리수 추출물의 아질산염 소거능이 크게 증가하여 미숙 뜰보리수 추출물의 아질산염 소거능과 비슷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뜰보리수 열수추출물의 xanthine oxidase 저해효과는 추출물을 1,000 ${\mu}g/mL$ 농도로 첨가하였을 때 미숙, 완숙 및 과숙 뜰보리수 각각 30.0%, 28.2%, 18.2%로 측정되었으며, 뜰보리수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xanthine oxidase의 저해효과가 높았다.보와 가집의 서문에서 공통적으로 제시하는 것은 '고악회복'이다. 느리지만 조화롭고 바른음악을 지향하는 것이 19세기 문인지식인들과 음악가들이 지향하는 궁극의 목표임을 확인하였다.생활이 부가적으로 더 표현된 점이 다르다. 표현 방법은 유명씨 작품의 전대 선례에서 점차 후대의 선례를 더 많이 수용하는 방향으로 바뀌며 문장 형태에서는 명령문, 명령문이 가장 많이 사용된다.재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0.97ppm,\;15.19{\pm}1.66ppm,\;21.20{\pm}1.88ppm,\;15.71{\pm}0.91ppm,\;55.48{\pm}2.42ppm,\;52.12{\pm}2.44ppm,\;23.80{\pm}1.98ppm$ 그리고 $11.14{\pm}0.51ppm$인 것으로 나타났다(비타민 C$SC_{50}$ 값:$9.61{\pm}0.93ppm$). 특히 마테 추출물과 솔잎 추출물은 총 페놀 함량이 높으면서 DPPH 라디칼과 superoxide anion 라디칼을 동시에 효율적으로 포착하는 효능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마테와 솔잎의 상업적인 추출물은 기능성 항산화제로서 유용한 소재로 사용 가능 할 것으로 사료된다.트폴리오보다 약 5배정도의 높은 1개월 평균초과수익률을 실현하였고, 반전거래전략의 유용성을 충분히 발휘하기 위하여 장단기의 투자기간을 설정할 경우에 6개월에서 36개월로 이동함에 따라 6개월부터 24개월까지는 초과수익률이 상승하지만, 이후로는 감소하므로, 반전거래전략을 활용하는 경우 주식투자기간은 24개월이하의 중단기가 적합함을 발견하였다. 이상의 행태적 측면과 투자성과측면의 실증결과를 통하여 한국주식시장에 있어서 시장수익률을 평균적으로 초과할 수 있는 거래전략은 존재하므로 이러한 전략을 개발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antioxidant activity and xanthine oxidase inhibitory effect of hot-water extracts from Elaeagnus multiflora Thunb. to provide fundamental data for the development of functional materials. The antioxidative activities of hot-water extracts from E. multiflora T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xanthine oxidase는 생물 조직에 산화적 손상을 일으켜 염증, 동맥경화, 암 및 노화와 같은 여러가지 질병을 일으킬수 있는 superoxide radical을 생성한다(35).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뜰보리수 열수추출물의 xanthine oxidase 저해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시료농도를 달리하여 효소의 저해효과를측정하였다' Fig. 4오! 같이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요산의 생성량이 줄어들어 xanthine oxidase에 대한 저해효과가 높아짐을 알 수 있었다. 1,000 Pg/mL 농도로 추출물을첨가하였을 때 미숙, 완숙 및 과숙 뜰보리수의 xanthine oxi-dase 저 해효과는 각각 30.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성숙단계별 뜰보리수 열매의 열수추출물을 이용한 DPPH에 대한 전자공여능, SOD 유사활성, 아질산염 소거능 및 xanthine oxidase 저 해활성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뜰보리수 열매의 이용가치를 높이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여러가지 생리기능성에 비해 식품 및 약제로써의 이용성이 낮은 뜰보리수의 이용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기초자 료를 제공하고자 성숙단계별로 뜰보리수를 채취하여 이들 열수추출물의 항산화성 및 xanthine oxidase 저해 활성을 측정하였다. 추출물의 농도가 높아질수록 추출물의 전자공여 능은 증가하였으며, 미숙 뜰보리수 추출물이 완숙 및 과숙 뜰보리수 추출물에 비해 높은 전자공여 효과를 가졌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Ames BN. 1970. Identification of environmental chemicals causing mutation and cancer. Science 204: 589-592 

  2. Hammond B, Kontos A, Hess ML. 1985. Oxygen radicals in the adult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in myocardial ischemia and reperfusion injury, and in cerebral vascular damage. Can J Physion Pharmacol 63: 173-187 

  3. Shin DH. 1997. The study course and movement of natural antioxidants. Food Sci Industry 30: 14-21 

  4. Pratt DE. 1992. Natural antioxidants from plant materials. In Phenolic compounds in food and their effects on health (II). Huang MT, Ho ST, Lee CY, eds. Am Chem Soc, Washington DC. p 54-60 

  5. Ames BN, Cahcart R, Schwiers E, Hochstein P. 1981. Uric acid provides an antioxidant defense in humans against oxidant and radical-caused aging and cancer. Proc Natl Acad Sci USA 78: 6858-6862 

  6. Tsuda T, Watanabw M, Ohshima K, Norinobu S, Choi SW, Kawakishi S, Osawa T. 1994. Antioxidative activity of the anthocyanin pigments cyanidin 3-O- ${\beta}$ -D-glucoside and cyanidin. J Agric Food Chem 42: 2407-2410 

  7. Brannen AL. 1975. Toxicology and biochemistry of butyrated hydroxy toluene and bytyrated hydroxy anisole. J Am Oil Chem Soc 52: 59-63 

  8. Halliwell B, Hoult RJ, Blake DR. 1988. Oxidants, inflammation, and anti-imflammatory drugs. FASEB J 2: 2867-2870 

  9. Hwang JY, Ham JW, Nam SH. 2004. The antioxidant activity of Maesil (Prunus mume). Korean J Food Sci Technol 36: 461-464 

  10. Cha WS, Shin HR, Park JH, Oh SL, Lee WY, Chun SS, Choo JW, Cho YJ. 2004. Antioxidant activity of phenol compounds from mulberry fruits. Korean J Food Preserv 11: 383-387 

  11. Moon JS, KimSJ, Park YM, Hwang IS, Kim EH, Park JW, Park IB, Kim SW, Kang SG, Park YK, Jung ST. 2004. Activities of antioxidation and alcohol dehydrogenase inhibition of methanol extracts from some medicinal herbs. Korean J Food Preserv 11: 201-206 

  12. Yu MH, Im G, Lee HJ, Ji YJ, Lee IS. 2006. Components and their antioxidative activities of methanol extracts from sarcocarp and seed of Zizyphus jujuba var. inermis Rehder. Korean J Food Sci Technol 38: 128-134 

  13. Othman A, Ismail A, Ghani NA, Adenan I. 2007. Antioxidant capacity and phenolic content of cocoa beans. Food Chem 100: 1523-1530 

  14. Kuda T, Hishi T, Maekawa S. 2006. Antioxidant properties of dried product of 'haba-nori', edible brown alga, Petalonia binghamiae (J. Agaradh) Vinogradova. Food Chem 98: 545-550 

  15. Sakanaka S, Tachibana Y, Okada Y. 2005. Preparation and antioxidant properties of extracts of Japanese persimmon leaf tea (kakinoha-cha). Food Chem 89: 569-575 

  16. Rao LJM, Borse RBB, Raghavan B. 2007. Antioxidant and radical-scavenging carbazole alkaloids from the oleoresin of curry leaf (Murraya koenigii Spreng.). Food Chem 100: 742-747 

  17. 조무생. 1989. 원색한국수목도감. 아카데미, 서울. p 372 

  18. 고경식. 1991. 한국식물검색도감. 아카데미, 서울. p 224 

  19. 이창복. 1980. 대한식물도감. 향문사, 서울. p 198 

  20. Kim NW, Joo EY, Kim SL. 2003. Analysis on the components of the fruit of Elaeagnus muliflora Thunb. Korean J Food Preserv 10: 534-539 

  21. Hong JY, Nam HS, Lee YS, Yoon KY, Kim NW, Shin SR. 2006. Study on the antioxidant of extracts from the fruit of Elaeagnus muliflora Thunb. Korean J Food Preserv 13: 413-419 

  22. Blois ML.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 1199-1224 

  23. Marklund S, Marklund G. 1974. Involvement of the superoxide anion radical in the autoxidation of pyrogallol and a convenient assay for superoxide dismutase. Eur J Biochem 47: 469-474 

  24. Kato H, Lee IE, Chuyen NV, Kim SB, Hayase F. 1987. Inhibitory of nitrosamine formation by nondilyzable melanoidins. Agric Biol Chem 51: 1333-1338 

  25. Stirpe F, Della Corte E. 1969. The regulation of rat liver xanthine oxidase. Conversion in vitro of the enzyme activity from dehydrogenase (type D) to oxidase (type O). J Biol Chem 244: 3855-3863 

  26. Lee YS, Joo EY, Kim NW. 2005. Antioxidant activity of extracts from the Lespedeza bicolor. Korean J Food Preserv 12: 75-79 

  27. Kang YH, Park YK, Lee GD. 1996. The nitrite scavenging and electron donating ability of phenolic compounds. Korean J Food Sci Technol 28: 232-239 

  28. Tsai SY, Huang SJ, Mau JL. 2006. Antioxidant properties of hot-water extracts from Agrocybe cylindracea. Food Chem 98: 670-677 

  29. Abdille MdH, Singh RP, Jayaprakasha GK, Jena BS. 2005. Antioxidant activity of the extracts from Dillenia indica fruits. Food Chem 90: 891-89 

  30. 한대석, 김석중. 1994. SOD유사활성물질과 기능성식품의 개발. 식품기술 7: 41-49 

  31. Shin SR, Hong JY, Nam HS, Yoon KY, Kim KW. 2006. Anti-oxidative effects of extracts of Korean herbal material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5: 187-191 

  32. Peter FS. 1975. The toxicology of nitrate, nitrite and N-nitrocompounds. J Sci Food Agric 26: 1761-1769 

  33. Fiddler W, Pensabene JW, Piotrowski EG, Doerr RC, Wasserman AE. 1973. Use of sodium ascorbate or erythrobate to inhibit formation of N-nitrosodimethylamine in frankurters. J Food Sci 38: 1084-1091 

  34. Chiang HC, Lo YJ, Lu Fj. 1994. Xanthine oxidaseinhibitions from leaves of Alsophila spinulose (HOOK) Tryon. J Enzyme Inhibitions 8: 61-71 

  35. Ferraz Filha ZS, Vitolo IF, Fietto LG, Lombardi JA, Saude-Guimaraes DA. 2006. Xanthine oxidase inhibitory activity of Lychnophora species from Brazil ('Arnica'). J Ethnophamacology 107: 79-82 

  36. Moon SH, Lee MK, Chae KS. 2001. Inhibitory effects of the solvent fraction from persimmon leaves on xanthine oxidase activity. Korean J Food Nutr 14: 120-125 

  37. Ra KS, Chung SH, Suh HJ, Son JY, Lee HK. 1998. Inhibitor of xanthine oxidase from onion skin. Korean J Food Sci Technol 30: 697-701 

  38. An BJ, Bae MJ, Choi C. 1996. Inhibitory effects of flavan-3-ols isolated from Oolong tea on xanthine oxidase. Korean J Food Sci Technol 28: 1084-108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