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보리수 열매 식초 발효 중 이화학적 특성, phytochemical 함량 및 생리활성 변화
Change of physicochemical properties, phytochemical contents and biological activities during the vinegar fermentation of Elaeagnus multiflora fruit 원문보기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preservation, v.24 no.1, 2017년, pp.125 - 133  

조계만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식품과학부) ,  황정은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식품과학부) ,  주옥수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식품과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뜰보리수 열매 식초 발효 중 이화학적 특성, 생리활성물질(flavonols과 phenolic acids) 및 생리활성 변화를 조사하였다. 자연 발효 중 pH와 환원당은 발효 초기 각각 3.55와 6.88 mg/mL에서 3.34와 2.13 mg/mL로 감소하였고, 반면에 산도는 0.48%에서 5.48%로 증가하였다. 알코올 함량은 20일째까지 증가하여 6.6%로 최대치를 나타낸 후 감소하여 발효 종기 2.0%를 나타내었다. 초산균수는 발효 10일째 4.32 log CFU/mL에서 5.4 log CFU/mL로 증가하였고, 효모 균수는 3.23 log CFU/mL에서 5.5 log CFU/mL로 증가하였다. 뜰보리수 열매 식초의 주요 유기산은 초산, 젖산사과산으로 각각 38.84 mg/mL, 4.92 mg/mL 및 1.51 mg/mL를 함유하고 있었다. 수용성 phenolics와 flavonoids 함량은 발효 중에 증가하여 발효 초기 각각 0.79 mg/mL과 0.12 mg/mL에서 1.22 mg/mL과 0.14 mg/mL로 증가하였다. Flavonols 화합물 중 epicatechin gallate는 발효 10일째 $168.1{\mu}g/mL$에서 $115.97{\mu}g/mL$로 감소하였으나, phenolic acids 화합물 중 gallic acid는 $18.52{\mu}g/mL$에서 $95.07{\mu}g/mL$로 증가하였다. 자연 발효 60일째 DPPH 라디칼 소거활성은 71.35%, ABTS 라디칼 소거활성은 79.27%, hydroxyl 라디칼 소거활성은 68.72%, ${\alpha}$-glucosidase 저해활성은 85.42%, ${\alpha}$-amylase 저해활성은 52.12% 및 pancreatic lipase 저해활성은 53.66%를 나타내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valuated the changes of physiochemical properties, phytochemical contents, and biological activities during the vinegar fermentation of Elaeagnus multiflora fruit. The contents of pH and reducing sugar decreased from 3.55 and 6.88 mg/mL 3.34 and 2.13 mg/mL, respectively. However the aci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식품학적 가치는 충분히 있으나 주로 관상용이나 한방치료에만 국한되는 뜰보리수 열매의 이용성을 증대시키기 위한 일환으로 뜰보리수 열매의 자연 식초 발효 중 이화학적 특성 및 효능평가와 더불어 발효기간에 따른 기능성 화합물들의 함량 변화와 연관성을 살펴보았다.

가설 설정

  • 2)ND, not detected.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뜰보리수는 어디에 속하는 식물인가? 뜰보리수(Elaeagnus multiflora)는 보리수나무과(Elaeagnaceae)에 속하는 식물로 알려져 있으며 뜰보리수 열매는 단맛을 가지고 있어 식용이 가능하지만 떫은맛 때문에 주로 관상용 또는 과수로 재배되어 왔다(1). 일본이 원산지인 이 열매는 한방에서 혈액 순환, 소화불량, 부종, 생리통 개선 등에 사용을 하고 있다(2,3).
뜰보리수 열매의 원산지는 어디이며 어떤 효과를 갖는가? 뜰보리수(Elaeagnus multiflora)는 보리수나무과(Elaeagnaceae)에 속하는 식물로 알려져 있으며 뜰보리수 열매는 단맛을 가지고 있어 식용이 가능하지만 떫은맛 때문에 주로 관상용 또는 과수로 재배되어 왔다(1). 일본이 원산지인 이 열매는 한방에서 혈액 순환, 소화불량, 부종, 생리통 개선 등에 사용을 하고 있다(2,3). 일반적으로 식물체는 자동산화로부터 자신을 방어하기 위하여 다양한 phytochemicals의 polyphenol성 화합물을 함유하고 있다.
뜰보리수 열매의 특징은? 뜰보리수(Elaeagnus multiflora)는 보리수나무과(Elaeagnaceae)에 속하는 식물로 알려져 있으며 뜰보리수 열매는 단맛을 가지고 있어 식용이 가능하지만 떫은맛 때문에 주로 관상용 또는 과수로 재배되어 왔다(1). 일본이 원산지인 이 열매는 한방에서 혈액 순환, 소화불량, 부종, 생리통 개선 등에 사용을 하고 있다(2,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Cho KM, Joo OS (2014) Quality and antioxidant charactistics of Elaeagnus multiflora wine through the thermal processing of juice. J Food Preserv, 21, 206-214 

  2. Hong JY, Cha HS, Shin SR, Jeong YJ, Youn KS, Kim MH, Kim NW (2007) Optimization of manufacturing condition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for mixing beverage added extract of Elaeagnus multiflora Thumb. fruits. Korean J Food Preserv, 14, 269-275 

  3. Youn KY, Hong JY, Nam HS, Moon YS, Shin SR (2007) Antioxidant activities and xanthine oxidase inhibitory effects of hot-water extracts from fruits of Elaeagnus multiflora Thumb. in maturity.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 14-19 

  4. Kim NW, Joo EY, Kim SL (2003) Analysis on the components of the fruit of Elaeagnus multiflora Thumb.. Korean J Food Preserv, 10, 534-539 

  5. Lee JH, Seo WT, Cho KM (2011) Dertermination of phytochemical contents and biological activity from the fruits of Elaeagnus multiflora. J Food Sci Nutr, 16, 29-36 

  6. Cho KM, Shin JH, Seo WT (2013) Production of Korean domestic wheat (Keumkangmil) vinegar with Acetobacter pasteurianus A8. Korean J Food Sci Technol, 45, 252-256 

  7. Hong SM, Kang MJ, Lee JH, Jeong JH, Kwon SH, Seo KI (2012) Production of vinegar using Rubus coreanus and its antioxidant activities. Korean J Food Preserv, 19, 594-603 

  8. Lee GD, Kim SK, Lee JM (2003) Optimization of the acetic acid fermentation condition for preparation of strawberry vinegar. J Korean Soc Food Sci Nutr, 32, 812-817 

  9. Woo SM, Kim OM, Choi IW, Kim YS, Choi HD, Jeong YJ (2007) Condition of acetic acid fermentation and effect of oligosaccharide addition on kiwi vinegar. Korean J Food Preserv, 14, 100-104 

  10. Jeong YJ, Seo JH, Park NY, Shin SR, Kim KS (1999) Changes in the components of persimmon vinegars by two stages fermentation (I). Korean J Food Preserv, 6, 228-232 

  11. Seo JH, Lee GD, Jeong YJ (2001) Optimization of the vinegar fermentation using concentrated apple juic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0, 460-465 

  12. Kim OM, Ha DJ, Jeong YJ (2003) Antibacterial activity of vinegars on Streptococcus mutans caused dental caries. Korean J Food Preserv, 10, 565-568 

  13. Miller GL (1959) Use of dinitrosalicylic acid reagent for the determination of reducing sugar. Anal Chem, 31, 426-428 

  14. Singleton VL, Rossi JA (1965) Colorimetry of total phenolics with phosphomolybdic-phosphotungstic acid reagents. Am J Enol Viti, 16, 144-158 

  15. Ahn MJ, Heung JY, Lee HY, Hwang CE, Jeong YS, Hong SY, Kwon OK, Kang SS, Kim HR, Park DS, Cho KM (2015) Effect of the enhanced biological activities and reduced bitter taste of bitter melon (Momordica charantia L.) by roasting. J Agric Life Sci, 49, 107-119 

  16. Park JS (2013) Effect on the inhibition of pancreatic lipase and lipid metabolism of Zanthoxylum piperitum extracts. Korean J Food Nutr, 26, 615-619 

  17. Park JH, Baek MR, Lee BH, Yon GH, Ryu SY, Kim YS, Park SU, Hong, KS (2009) ${\alpha}$ -Glucosidase and ${\alpha}$ -amylase inhibitory activity of compounds from roots extract of Pueraria thunbergiana. Korean J Medicinal Crop Sci, 17, 357-362 

  18. Lee MK, Choi SR, Lee J, Choi YH, Lee JH, Park KV, Kwon SH, Seo KI (2012)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diabetic effect of yacon vinegar. J Korean Soc Food Sci Nutr, 41, 79-86 

  19. Sim HJ, Seo WT, Choi MH, Kim KH, Shin JH, Kang MJ (2016) Quality characteristics of vinegar added with different levels of black garlic. Korean J Food Cook Sci, 32, 16-26 

  20. Yi MR, Hwang JH, Oh YS, Oh HJ, Lim SB (2014)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immature Citrus unshiu vinegar. J Korean Soc Food Sci Nutr, 43, 250-257 

  21. Seo JH, Jeong YJ Kim JN, Woo CJ, Yoon SR, Kim TH (2001) Quality comparison of potato vinegars produced by various acetobacter bacteria. Korean J Postharvest Sci Technol, 8, 60-65 

  22. Miliauskas G, Venskutonis PR, Van Beek TA (2004) Screening of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some medicinal and aromatic plant extracts. Food Chem, 85, 231-237 

  23. Kim JY, Nam KS, Noh SK (2012) Cherry silverberry (Elaeagnus multiflora) wine mitigates the development of alcoholic fatty liver in ra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1, 57-64 

  24. Aoshima H, Tsunoue H, Koda H, Kiso Y (2004) Aging of whiskey increase 1.1-diphenyl-2-picrylhydrazyl radical scavenging activity. J Agric Food Chem, 52, 5240-5244 

  25. Husain SR, Cillard J, Cillard P (1987) Hydroxyl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flavonoids. Phytochemistry, 26, 2489-2491 

  26. Joo OS, Kang ST, Jeong CH, Lim JW, Prak YG, Cho KM (2011) Manufacturing of the enhances antioxidative wine using a ripe daebong persimmon (Dispyros kaki L). J Appl Biol Chem, 54, 126-134 

  27. Kang YH, Park YK, Lee GD (1996) The nitrite scavenging and electron donating ability of phenolic compounds. Korean J Food Sci Technol, 28, 232-239 

  28. Park EM, Lee HJ, Chung YK (2015)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brown rice pear vinegar.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5, 1041-1048 

  29. Verzalloni E, Tagliazucchi D, Conte A (2007) Relationship between the antioxidant properties and the phenolic and flavonoid content in traditional balsamic vinegar. Food Chem, 105, 564-571 

  30. Cha JY, Jin JS, Cho YS (2011) Biological activity of methanolic extract from Ganoderma lucidum, Momordica charantia, Fagopyrum tataricum, and their mixtures. J Life Sci 21, 1016-1024 

  31. Lo HY, Ho TY, Lin CJ, Li CC, Hsiang CY (2013) Momordica charantia and its novel polypeptide regulate glucose homeostasis in mice via binding to insulin receptor. J Agric Food Chem, 61, 2461-2468 

  32. Kim MS, Kim BY, Park CS, Yoon BD, Ahn SC, Oh WK, Ahn JS (2006) Inhibitory effect of Thujae orientalis semen extract on pancreatic lipase activity. J Life Sci, 16, 328-332 

  33. Kim JE, Joo SI, Seo JH, Lee SP (2009) Antioxidant and ${\alpha}$ -glucosidase inhibitory effect of tartary buckwheat extract obtained by the treatment of different solvent and enzymes. Korean J Soc Food Sci Nutr, 38, 989-99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