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모바일 의류광고유형 및 소비자 관여에 따른 광고태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f Consumer's Advertising Attitude Related to Mobile Fashion Advertising and Involvement 원문보기

한국의류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v.31 no.1 = no.160, 2007년, pp.131 - 140  

박재옥 (한양대학교 의류학과) ,  이경훈 (한양대학교 의류학과) ,  이애니 (한양대학교 의류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larify differences in consumer's advertising attitude related to type of mobile fashion advertising and level of apparel and advertising involvement groups. This study surveyed consumers who have an experience of receiving mobile fashion advertising. The subjects of...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시 행하여야만 제품과 기 업 혹은 브랜드 에 관한 정보 제공과 긍정 적 이미지 전달을 할 수 있겠 다. 따라서 본 연구는 모바일 의류광고의 광고유형을 문자형과 이미지 형 광고로 분류해 각 광고유형별 소비 자 광고태도와 구매의도를 파악해보고, 의복관여 및 광고관여에 따른 광고태도를 알아보고자 한다. 또한 모바일 의류광고에 대한 광고태도가 의류제품의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봄으로써, 모바일 의류광고 관련업체와 의류기업에게 표적시장 소비자에 대한 정 보를 제공하고 효율적 인 광고전략을 수립하는데 도움 을 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 연구문제 1. 모바일 의류광고유형(문자형 광고, 이미 지형 광고)에 따른 소비자 광고태도 및구매의도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본다.
  • 본 연구는 광고유형과 소비자 특성에 따른 모바일 의류광고에 대한 소비자 태도를 알아보기 위해 광고 자극물의 제작과 네 부분의 측정도구로 구성되어 있 다..
  • 본 연구는 모바일 의류광고의 광고유형을 분류하 고, 소비자특성 중 광고관여와 의복관여의 수준에 따 른 광고태도와 구매의도를 살펴보았으며, 광고태도 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이는 새로 운 국면을 맞이한 의류광고분야에서 소비자의 광고 태도에 대한 이해를 돕는 마케팅자료로 활용될 수 있 겠다.
  • 연구문제 3. 소비자 광고태도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다.
  • 연구문제 2. 의복관여와 광고관여에 따른 광고태도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본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5)

  1. 고은주, 목보경. (2002). 인터넷 의류광고유형이 인터넷 광고효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류학회지, 26(9/10), 1478-1487 

  2. 김석봉. (1997). 제품관여도에 따른 인터넷 광고특징의 효과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3. 김선희, 임숙자. (1996). 의복관여에 따른 광고에 대한 태도. 한국의류학회지, 20(2), 298-310 

  4. 김영석. (2002). 사회조사방법론. 서울:나남출판사 

  5. 김종우, 이승엽. (2001). 제품관여도, 웹사이트 및 배너광고 유형에 따른 인터넷 광고효과에 관한 연구. 마케팅과학연구, 7, 105-126 

  6. 김주호. (1999). 인터넷 광고 유형별 효과분석. 정보처리학회지, 7(6), 10-25 

  7. 김지현, 박일호, 유선홍, 유윤주, 유채희, 허지혜, 홍진우. (1996). 의류제품에 대한 외적정보 탐색활동의 영향 요인 연구. 생활과학회지, 1(29), 21-23 

  8. 김창진. (1994). 소비자의 제품관여와 정보탐색에 관한 연구. 관여의 수준과 유형에 따른 이차원적 분류.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9. 김효경, 이명희. (1992). 의류광고에 대한 평가와 유행몰입 및 사회적 태도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30(3), 155-178 

  10. 박동애. (2002). 모바일 광고의 특성과 유형 분석.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1. 박신정. (1995) 의류광고 안내 시 관심도와 소비자 특성과의 관계. 복식, 26, 211-222 

  12. 박찬욱. (2002) 모바일 마케팅. 서울: 시그마인사이트 

  13. 손공동. (2002). 모바일 광고기법에 따른 수용자 반응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4. 양수미, 박은주. (1995). 의류광고에 대한 소비자의 태도 연구-소비자의 의류광고관여와 상표사용경험에 따라서-.한국의류학회지, 19(6), 887-894 

  15. 옥경은. (2000). 상황과 소비자 특성에 따른 의류제품의 추구혜택과 정보원 활용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6. 윤혜경. (2000). 인터넷 광고 효과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7. 이동엽. (2002). 인터넷과 휴대폰에 대한 사용자의 인지태도와 모바일광고 수용도와의 관계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8. 이영경. (1986). 의복품목에 따른 제품관여의 수준과 유형 및 정보탐색활동에 관한 연구: 서울시내거주 주부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9. 이영선. (1991). 소비자의 의복관여도와 외적 정보탐색.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 이우용, 정구현. (1993). 마케팅 원론. 서울:교문사 

  21. 이운현. (1997). 의복관여도에 따른 신세대 의복선택요인과 정보탐색 활동.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2. 이재문, 김주호. (1999) 광고매체로서의 인터넷과 광고유형별 효과분석. 한국광고학회, 10(4), 179-213 

  23. 이종명. (2001). 패션상품 소비자의 관여도와 으류광고 효과과정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4. 이학식, 안광호. (2001). 소비자 행동-마케팅전략적 접근. 서울: 법문사 

  25. 장민경. (1998). 인터넷 광고 브랜드에 대한 수용자의 태도에 관한 연구. 서강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6. 전선명. (2002). 무선 광고의 유형과 내용에 따른 소비자 수용도 연구. 서강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7. 조윤식. (2001). 웹사이트에 대한 태도, 광고에 대한 태도, 광고에 대한 집중도, 상표에 대한 태도 및 구매의도와의 관계에 관한 연구. 마케팅과학연구, 7, 127-147 

  28. 한현. (2001). 매체 유형과 이용 상황에 따른 광고소구유형별 광고효과: 광고관여도의 역할을 중심으로.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9. 허정무. (2001). 광고의 유형 및 상표 친숙도가 광고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30. Arora, R. (1985). Consumer involvement: What it offers to advertising strategy. International Journal of Advertising, Eastboume, 4(2), 119-131 

  31. Batra, R. & Ray, M. L. (1986) Affective responses mediating acceptance of advertising.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Gainsville, 13(2), 234-249 

  32. Batra, R. & Ray, M. L. (1986) Situation effects of advertising repetation: The moderating influence of motivation, ability and opportunity to respond.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Gainsville, 12(4),432-446 

  33. Della, B. A. J., Monroe, K. B., & McGinnis, J. M. (1981) Consumer perceptions of comparative price advertisements.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Chicago, 18(4), 416-428 

  34. Engel, J. F., Blackwell, R. D., & Miniard, P. W. (1995). Consumer behavior (8th ed). Chicago: Dryden Press 

  35. Greenwald, A. G. & Leavitt, C. (1984). Audience involvement in advertising: Four levels.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Gainesville, 11(1), 581-593 

  36. Kapferer, J. N. & Laurent, G. (1985). Measuring consumer involvement profiles.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22, 41-53 

  37. Kassarjian, H. H. (1981). Low involvement: A second look. Advances in Consumer Research, 8, 31-34 

  38. Mackenzie, S. B. & Lutz, R. J. (1986). The role of attitude toward the Ad as a mediator of advertising effectiveness: A test of competing explanation. Journal of Marketing, Chicago, 23(2), 130-144 

  39. Mackenzie, S. B. & Lutz, R. J. (1989). An empirical experiment of the structure antecedents of attitude toward the ad in an advertising pretesting context. Journal of Marketing, Chicago, 53(2), 48-65 

  40. Park, C. W. & Young, S. M. (1986). Consumer response to television commercials: The impact of involvement and background music on brand attitude formation.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Chicago, 23(1), 11-25 

  41. Penny, M. S., Gene, B., & Robert, E. W. II. (1998). The association of ethical judgement of advertising and selected advertising effectiveness response variables. Journal of Business Ethics, Dordrecht, 17(2), 125-137 

  42. Petty, R. E., Cacioppo, J. T., & Schumann, D. (1983). Central and peripheral routes to advertising effectiveness: The moderating role of involvement.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10(2), 135-147 

  43. Ship, T. A. & Tokum, J. T. (1981). The influence of deceptive advertising on repeat purchase behavior: The changing marketing environment. American Marketing Association, 266-270 

  44. Wright, P. L. (1973). The cognitive process mediating acceptance of advertising.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Chicago, 10(1),53-63 

  45. Zaichkowsky, J. L. (1994). The personal involvement inventory: reduction, revision, and application to advertising. Journal of Advertising, 23(4), 59-7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