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패션 브랜드애착이 확장된 브랜드 태도에 미치는 영향
Fashion Brand Attachment and Attitudes Toward Brand Extension 원문보기

한국의류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v.31 no.1 = no.160, 2007년, pp.151 - 161  

이승희 (성신여자대학교 의류학과) ,  장윤경 (성신여자대학교 의류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fashion brand attachment on attitudes toward brand extension. Two hundred thirty-four female college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For this study, Bean Pole brand was selected for the example of brand extension through three pre-test. F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1) 브랜드애착과 확장된 브랜드 태도의 요인을 조사해 본다.
  • 1차 사전조사는 본 연구에서 사용할 연구대상 브랜드를 선정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대학생 60명을 대상으로 자신이 가장 좋아하고 애착을 느끼는 패션브랜드명을 쓰도록 한 뒤, 그 브랜드에 대한 생각이나 느낌을 자유롭게 기술하도록 하였다.
  • 2) 제품속성의 유사성 정도에 따라 브랜드 애착이 확장 브랜드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해본다. 3) 브랜드애착의 정도(상/중/하)에 따라 확장된 브랜드 태도의 차이를 조사해본다.
  • 조사해본다. 3) 브랜드애착의 정도(상/중/하)에 따라 확장된 브랜드 태도의 차이를 조사해본다.
  • 그러므로, 본 연구의 목적은 패션 제품의 속성 유사성에 따라 브랜드 확장 시의 브랜드 태도와 브랜드 애착과의 관계를 알아보는 것이다. 특히 국내 브랜드의 제품에 적용시켜 브랜드애착이 확장 브랜드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조사하고자 한다.
  • 특히, 패션브랜드는 다른 제품에 비해 높은 상징성을 가지고 있고, 소비자는 그 상징적 의미를 개인화하여 브랜드를 구매하기 때문에 소비자와 패션브랜드는 밀접한 관계가 있다고 할 수 있다. 기업의 입장에서 볼 때 브랜드 확장이라는 시너지효과를 내기 위해서 이를 규명 하는 것이 필요하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주로 기존의 마케팅 분야에서 선행되어진 브랜드 확장 시 확장된 브랜드 태도에 미치는 영향정도를 의류학 분야에서 외국브랜드가 아닌 국내 브랜드 제품에 이를 적용시켜본다는 점에서 기존의 연구들과 차별성을 두고자 했으며, 특히, 브랜드 확장 중 패션 제품속성의 유사성 정도와 브랜드애착 개념과 연관시켜 조사하고자 한다. 이러한 소비자와 패션브랜드의 관계를 규명하는 것은 최근 패션산업에서 브랜드 전략의 일환으로서 진행되고 있는 브랜드 확장 전략의 성공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사려 된다.
  • 본 연구는 20대 여대생을 대상으로 브랜드 확장 시 브랜드 애착이 브랜드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해보는 것이 목적이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간략하게 요약 해면 다음과 같다.
  • 관계를 알아보는 것이다. 특히 국내 브랜드의 제품에 적용시켜 브랜드애착이 확장 브랜드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조사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결과는 브랜드 확장 시 제품의 속성에 따라 소비자의 긍정적인 태도를 이끌어낼 수 있는 성공적인 마케팅전략을 세우는데 도움이 되는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나이키 확장 브랜드. (2004, 10. 7). 중앙일보. 자료검색일 2005, 5. 14 자료출처 http://news.naver.com 

  2. 성영신, 한민경, 박은아. (2004). 브랜드 성격이 브랜드 애착에 미치는 영향: 커뮤니티 몰입도에 따른 차이 비교. 한국심리학회지. 5(3) 15-34 

  3. 소비자는 브랜드를 구매. (2004). 중앙일보. 자료검색일 2005, 5. 14 자료출처 http://news.naver.com 

  4. 손영석, 이진용, 채서일. (1996). 제품에 대한 소비자지식과 광고내용이 확장상표태 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경영학 연구. 25, 1-28 

  5. 안광호, 한상만, 전성률. (1999) 전략적 브랜드 관리. 서울: 학현사 

  6. 양윤주. (2003). 브랜드 확장시 브랜드 희석효과를 조절하는 변수들의 역할에 관한 연구. 마케팅연구, 18(4) 99-122 

  7. 여준상. (1999) 성공하는 브랜드 확장 전략. 서울: LG경제 연구소 

  8. 오브제, 신규잡화브랜드 런칭. (2005, 5. 10). edaily. 자료검색일 2005, 5. 16 자료출처 http://news.empas.com 

  9. 이종호, 김문태, 서민정. (2004) 소비자의 지각된 적합성 및 확장 브랜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기업특성요인에 관한 연구. 대한경영학회, 42(2), 35-53 

  10. 이진용. (1993) 상표확장전략에 관한 고찰. 광고연구, 가을호, 27-49 

  11. 홍성태, 강동균. (1997). 유사성, 지각된 품질 및 기업의 신뢰도가 상표확장제품 평가에 미치는 영향. 마케팅연구, 12(1), 1-25 

  12. Ahliwalia, R. & Gurhan-Canli, Z. (2000). The effects of extensions on the family brand name: An accessibility diagnosticity perspective.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27(12), 371-381 

  13. Ball, J. & Tasski, A. (1992). The role of measurement of attachment in consumer behavior. Journal of Consumer Psychology, 1(2), 155-172 

  14. Barone, M. J., Miniard, P. W., & Romeo, J. B. (2000). The influence of positivemood on brand extension evaluations.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26, 386-400 

  15. Belk, R. (1988). Possession and the extended self.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15(2), 139-169 

  16. Bowlby, J. (1979). The Making and Breaking of affectional bonds. Lonsontavistock 

  17. Broniarczyk, S. & Alba, J. (1994). The importance of the brand I brand extension.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31, 214-228 

  18. Forney J. C, Park E. J., & Brandon L. (2005). Effects of evaluative criteria on fashion brand extension. Journal of fashion marketing and management, 9(2), 156-165 

  19. Fournier, S. (1998). Consumer and their brands: Developing relationship theory in consumer research.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24, 343-373 

  20. Keller, K. L. & Aaker, D. A. (1992). The effects of sequential introduction of brand extension.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29, 35-50 

  21. Klink, R. & Smith, C. (2001). Threats to external validity of brand extension research.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38(3), 326-335 

  22. Kotler, P. (1991). Marketing management analysis, planning, implementation and control (7th ed.). New York: Prentice Hall, Inc 

  23. Land, V. & Jacobson, R. (1995). Sock market reactions to brand extension announcements: The effect of brand attitude and familiarity. Journal of Marketing, January, 63-77 

  24. Park, C. W., Sandra, M., & Robert, L. (1991). Evaluation of brand extentions: The role of product feature similarity and concept consistency. Journal of Marketing, 18(9), 185-193 

  25. Tauber, E. M. (1981). Brand franchise extentions: New products benefits from existing brand names. Business Horizons, 24(2), 37 

  26. Thomson, M., Maclnnis, D., & Park, C. W. (2004). The ties that bind: Measuring the strength of consumer's emotional attachments to brands. Journal of Consumer Psychology, 12(3), 232-254 

  27. Thorbjomsen, H. (2005). Brand extensions: Brand concept congruency and feedback effects revisited. Journal of product & brand management, 14(4),250-25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