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허영심, 자기의식과 브랜드 의식에 관한 연구
Vanity, Self-Consciousness and Brand Consciousness 원문보기

패션비즈니스 = Fashion business, v.14 no.5, 2010년, pp.93 - 101  

이승희 (이화여자대학교 의류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the relationship among vanity, selfconsciousness, and brand consciousness. The subjects used for this study were three hundred and eighty-four female college students who live at Seoul and its suburb. For data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Cronbach's a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다음으로 허영심, 자기의식, 브랜드 의식 중 변인간 어떤 상관관계가 있는 지 조사하였다. 결과는 와 같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의 목적은 허영심과 자기의식, 그리고 브랜드 의식간의 관계를 밝히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첫째, 소비자들 간에 실재하는 허영심, 자기의식, 그리고 브랜드 의식 정도를 조사하고자 하며, 둘째, 허영심, 자기의식과 브랜드 의식간의 상관관계를 밝히고자 하였다.
  • 마지막으로 자기의식의 높고 낮음에 따라 브랜드 의식의 차이를 조사해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는 <표 4>에 나타난 바와 같다.
  • 이를 위해, 첫째, 소비자들 간에 실재하는 허영심, 자기의식, 그리고 브랜드 의식 정도를 조사하고자 하며, 둘째, 허영심, 자기의식과 브랜드 의식간의 상관관계를 밝히고자 하였다. 마지막으로 자기의식의 높고 낮음에 따라 어떻게 허영심과 브랜드 의식의 차이가 나타나는 지 조사하고자 하였다.
  • 이를 위해 먼저 여대생 소비자들 사이에서 허영심, 자기의식, 브랜드 의식이 어느 정도 실재하는 지에 대해 조사하였으며, 둘째, 허영심, 자기의식, 그리고 브랜드 의식간의 상관관계를 조사하였다. 마지막으로 자기의식의 높고 낮음에 따라 허영심과 브랜드 의식간의 차이를 조사해 보고자 하였다. 이에 대한 본 연구결과를 요약해 보면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여자 대학생 소비자들의 허영심, 자기의식, 그리고 브랜드 의식간의 관계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여대생 소비자들 사이에서 허영심, 자기의식, 브랜드 의식이 어느 정도 실재하는 지에 대해 조사하였으며, 둘째, 허영심, 자기의식, 그리고 브랜드 의식간의 상관관계를 조사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자기의식이 높고 낮음에 따라 허영심의 차이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중위값(median)을 기준으로 자기의식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으로 분류하였는데, 그 결과, 자기의식이 낮은 집단은 153명이었으며, 연령이 높은 집단은 151명으로 분류되었으며, 자기의식이 낮은 집단과 자기의식이 높은 집단간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M=4.
  • 본 연구에서는 패션과 외모관련 변인이 될 수 있는 신체적 외모관심과 신체적 외모에 대한 자신감 허영에 초점을 맞추어 조사하고자 하였다.
  • 셋째, 자기의식의 높고 낮음에 따라 허영심의 차이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자기의식이 낮은 집단에 비해 자기의식이 높은 집단의 허영심 점수가 전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 연구문제 1. 여대생 소비자들 사이에서 실재하는 허영심, 자기의식과 브랜드 의식의 정도를 조사해본다.
  • 이렇게 패션제품과 관련하여 자기의식과 브랜드 의식은 매우 밀접한 관계에 있음에도 불구하고, 패션 소비자행동 분야에서는 자기의식과 관련한 브랜드 의식에 대한 연구가 매우 미비하다. 외모와 패션과 관련해서는 사적인 자기의식보다는 공적 자기의식이 더욱 높은 상관관계를 보이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사적 자기의식보다는 공적 자기의식에 중점을 두고자 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의 목적은 허영심과 자기의식, 그리고 브랜드 의식간의 관계를 밝히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첫째, 소비자들 간에 실재하는 허영심, 자기의식, 그리고 브랜드 의식 정도를 조사하고자 하며, 둘째, 허영심, 자기의식과 브랜드 의식간의 상관관계를 밝히고자 하였다. 마지막으로 자기의식의 높고 낮음에 따라 어떻게 허영심과 브랜드 의식의 차이가 나타나는 지 조사하고자 하였다.
  • 연구에서는 공적 자기의식이 브랜드 선호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지에 대해 조사하였다. 즉, 공적 자기의식이 높은 소비자는 bargain brand와 national brand 중 어떤 브랜드를 선호하는 지 조사하였다. 그 결과, 공적 자기의식이 높은 소비자일수록 bargain brand 제품보다는 national brand를 더 선호한다고 하는 것을 밝혀냈다.
  • 첫째, 여대생 소비자 사이에서 실재하는 허영심과, 자기의식, 브랜드 의식의 정도를 조사해 본 결과. 허영심은 평균점수 이상으로 나타났으며, 외모관심 허영심(physical concern vanity), 외모자신감 허영심(physical view vanity) 둘 다 평균이상으로 나타났다.
  • 연구문제 2. 허영심, 자기의식, 브랜드 의식간의 상관관계를 조사해본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허영심은 어떻게 정의되는가? 최근 들어와 외모를 중요하게 여기는 소비문화가 확산되면서 아름다운 외모와 사회적 성공을 포함하고 있는 허영심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허영심(vanity)은 인간의 내면이 아닌 겉으로 드러나 보이면서, 때로는 사라져 버리는 덧없고 무상한 개념으로 정의되고 있다1). 이는 서구사회의 문화와 가치 이념이 사회적 주요 가치로 인정되면서 소비자들에게 허영심이 더 많이 확산되고 있으며, 이와 동시에 허영심에 대한 주제가 사회학, 심리학, 철학 등의 학문 등 여러 학문분야에서 관심을 받고 있다2).
본 논문에서의 여대생 소비자들의 허영심은 브랜드 민감성의 평균 7점 만점에서 몇점으로 나타났는가? 가장 먼저, 여대생 소비자들에게 실재하는 허영심과 자기의식, 그리고 브랜드 의식에 대해 조사하였다. 그 결과, 허영심은 브랜드 민감성의 평균은 7점 만점에 4.73로 나타났다. 그 중 외모관심 허영(physical concern vanity)의 평균은 4.
개인의 허영심의 구성요인으로는 무엇이 있는가? Netemeyer 외4)는 허영심을 자신의 신체적 외모와 개인적 목표 성취에 대한 집착이라고 정의하고, 개인의 허영심의 구성요인으로는 두 개의 차원, 즉 신체적 외모 허영심과 개인의 성취 허영심이 있다고 설명하고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허영심의 하위요인에는 신체적 외모 관심(physical appearance concern)과 신체적 외모에 대한 긍정적 관점(physical appearance view), 그리고 자신의 성취에 대한 관심(achievement concern)과 자신의 성취에 대한 긍정적 관점 (achievement view vanity)이 있다고 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R. Burton S. Netemeyer, D. Lichtenstein (1995), "Trait aspects of vanity: Measurement and relevant to consumer behavior",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21, pp.612-626. 

  2. 서정희(2004), "여자대학생 소비자의 허영성향에 관한 연구- 부산, 울산 및 김해를 중심으로", 소비문화연구, 7(3), pp.125-140. 

  3. R. Burton S. Netemeyer, D. Lichtenstein (1995), "Trait aspects of vanity: Measurement and relevant to consumer behavior",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21, pp.612-626. 

  4. R. Burton S. Netemeyer, D. Lichtenstein (1995), "Trait aspects of vanity: Measurement and relevant to consumer behavior",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21, pp.612-626. 

  5. R. Burton S. Netemeyer, D. Lichtenstein (1995), "Trait aspects of vanity: Measurement and relevant to consumer behavior",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21, pp.612-626. 

  6. S. Durvasula, S. Lysonki, J. Watson(2001), "Does vanity describe other culture? A cross-cultural examination of the vanity scale". The Journal of Consumer Affairs, 35(1), pp.180-199. 

  7. 김형길, 김정희(2000), "소비자의 물질주의가 허영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소비문화연구, 3(3), pp.43-68. 

  8. 서정희(2004), "여자대학생 소비자의 허영성향에 관한 연구- 부산, 울산 및 김해를 중심으로", 소비문화연구, 7(3), pp.125-140. 

  9. 서정희(2005), "여자대학생 소비자의 혀엉과 성형요구 -부산, 울산 및 김해를 중심으로", 소비문화연구, 8(1), pp.1-13. 

  10. 서정희(2008), "여자대학생의 허영유형에 따른 패션명품에 대한 태도- 울산, 부산 및 김해 지역을 중심으로", 생활과학회지, 17(1), pp. 81-93. 

  11. A. Fenigstein, M. Scheier, A. Buss(1975), "Public ad private self-consciousness: Assessment and theory",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goy, 43, pp.522-527. 

  12. C. Carver, M. Scheier(1981), Attention and self-regulation: A control theory approach to human behavior, New York: Springer-Verlag, p.21. 

  13. K. Doherty, B. Schlenker(1991), "Selfconsciousness and strategic self-presentation", Journal of Personality, 59, pp.1-18. 

  14. F. Miller, L. David, K. Rowold(1982), "Public self-consciousness, social anxiety, and attitudes toward the use of clothing", Home Economics Research Journal, 10, pp. 363-368. 

  15. S. Gould(1987), "Gender differences in advertising response and self-consciousness variables", Sex Roles, 16, pp.215-225. 

  16. B. Bushmanm(1993). "What's in a name? The moderating role of public selfconsciousness on the relation between brand label and brand preference".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78, pp.857-861. 

  17. J. Kapferer, G. Laurent(1985), "Brand sensitivity: A new concept of brand management", Proceeding of the Annual conference of the European Marketing Academy. 

  18. M. Nelson, N. Devanathan(2006), "Brand placements Bollywood style", Journal of Consumer Behavior, 5, pp.211-221. 

  19. M. Nelson, L. McLeod(2005), "Adolescent brand consciousness and product placements: Awareness, liking, and perceived effects on self and others", International Journal of Consumer Studies, 29, pp.515-528. 

  20. P. Beaudoin, M. Lachance(2006), "Determinants of adolescents' brand sensitivity to clothing", Family abd Consumer Sciences Research Journal, 34, pp.312-331. 

  21. R. Burton S. Netemeyer, D. Lichtenstein (1995), "Trait aspects of vanity: Measurement and relevant to consumer behavior",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21, pp.612-626. 

  22. A. Fenigstein, M. Scheier, A. Buss(1975), "Public ad private self-consciousness: Assessment and theory",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goy, 43, pp.522-527. 

  23. P. Beaudoin, M. Lachance(2006), "Determinants of adolescents' brand sensitivity to clothing", Family abd Consumer Sciences Research Journal, 34, pp.312-331.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