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야생 돌복숭아 씨와 과육의 아미노산 및 지방산 조성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Amino Acid and Fatty Acid Compositions in the Seed and Pulpy Substance of Feral Peach (Prunus persica Batsch var. davidiana Max.) 원문보기

생명과학회지 = Journal of life science, v.17 no.1 = no.81, 2007년, pp.125 - 131  

김한수 (부산대학교 생명응용과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우리나라 전역에서 자생하는 야생 돌복숭아(Prunus persica Batsch var, davidiana Max.)의 씨와 과육 중의 각종 생리활성 물질을 규명하여 바이오헬스 기능성 소재 등의 자원으로서 이용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한 자료로, 돌복숭아 씨와 과육 중의 일반성분, 구성 총 아미노산, 유리 아미노산 및 지질 구성 지방산 조성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돌복숭아 씨 및 과육 중의 일반성분 함량은 탄수화물이 63.92% 와 75.11%로 대부분을 차지하였으며, 조단백질 27.85%, 12.77%, 수분 3.61%, 4.69%, 조지 방이 1.21%, 4.80% 그리고 조회분이 3.41%와 2.63%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돌복숭아 씨 중의 구성 총 아미노산의 함량은 3,444.35 mg%로 이 중 aspartic acid가 681.10 mg%, glutamic acid 495.48 mg%, alanine 283.66 mg%, serine 251.36 mg%, proline 229.80 mg%, lysine 192.31 mg% 및 leucine이 191.34 mg%의 순으로 조성되어 있었으며, 특히 aspartic acid 및 glutamic acid가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돌복숭아 과육의 단백질 구성 아미노산 조성의 총 함량은 1,064.02 mg%로, aspartic acid 250.15 mg%, glutamic acid는 129.63 mg%로 과육의 주요 총 아미노산이었고 lysine, proline, leucine, alanine, serine 등의 순으로 함유되어 있었다. 돌복숭아 씨 중 유리 아미노산 조성의 총 함량은 6,215.34 mg%로, 이 중 glutamic acid가 827.25 mg%로 가장 많았으며, threonine, valine, $\beta-aminobutyric$ acid 등의 순으로 함유되어 있었다. 과육 중의 유리 아미노산 조성의 총 함량은 683.82 mg%로, glutamic acid(339.49 mg%)가 대부분 이었으며, serine, proline, alanine, $\gamma-amino-n-butyric$ acid의 순으로 함유되어 있었다. 지질 구성 지방산 조성은 포화지방산이 12.49%, 단불포화지방산 13.11% 및 다불포화지방산이 74.36%의 함유비율을 보였으며, 필수지방산인 n-6계 linoleic acid$(C_{18:2})$와 n-3계 linolenic acid$(C_{18:3})$가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야생 돌복숭아 과육 중의 지방산 조성은 포화지방산이 16.74%, 단불포화지방산 17.51% 및 다불포화지방산이 65.73%의 함유 비율을 보였는데, 이 중 다불포화지방산인 n-6계 linoleic acid$(C_{18:2})$와 n-3계 linolenic acid$(C_{18:3})$가 지질 구성 총 지방산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함유 비율을 나타내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mino acid and fatty acid compositions of the physiological activity substance in the seed and pulpy substance of feral peach (Prunus persica Batsch var. davidiana Max.) were analyzed for the use as an biohealth functional processed products. The proximate compositions in the vacuum freeze dried se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우리나라 전역에서 자생하는 야생 돌복숭아(Primes persicia Batsch var. davidiana Max.)의 씨와 과육 중의 각종 생리 활성 물질을 규명하여 바이오헬스 기능성 소재등의 자원으로서 이용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한 자료로, 돌복숭아 씨와 과육 중의 일반성분, 구성 총 아미노산, 유리 아미노산 및 지질 구성 지방산 조성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돌복숭아 씨 및 과육 중의 일반성분 함량은 탄수화물이 63.
  • 따라서 본 연구는 고지혈증 및 당뇨 유발 흰쥐에 있어서 돌복숭아 중의 생리활성물질이 혈청 지질대사 이상 및 간 기능 장애와 혈당 조절 기능 이상 등에서 오는 생활습관병 예방 및 치료 개선 효과를 비롯한[12, 13], 고콜레스테롤혈증과 당뇨 유발 흰쥐에 있어서 돌복숭아 추출액 급여가 Na, K, Cl 농도, 유리지 방산, 과산화지 질 농도 및 creatine phospho­ kinase 활성 등은 감소되는 반면, lecithin cholesterol acyl­ transferase 활성은 증가되는 것으로 돌복숭아 중의 생리활성물질이 당질 및 지질대사 이상 등에서 오는 각종 질환의 예방 및 치료에 개선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보고한[14, 15]바 있다. 이에 본 실험은 야생 돌복숭아 씨와 과육 중의 생리적 유효 성분을 탐색하여 바이오헬스 기능성 소재 등의 자원으로서 이용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일반성분, 구성 총 아미노산, 유리 아미노산 및 지질 구성 지방산 조성을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hn, K. H. 1980. Atlas to canons of primitive-modern oriental medicine. pp. 205-206, Seowondang, Seoul, Korea 

  2. AOAC. 1990.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pp. 994, 15th eds.,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 C. 

  3. Beynen, A. C. and M. B. Katan, 1985. Why do polyunsaturated fatty acids lower serum cholesterol. Am. J. Clin. Nutr. 42, 560-563 

  4. Cha, B. C. and E. H. Lee. 2004.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ion activities of Prunus persica tree extracts. Korean J. Medicinal Crop Sci. 12, 289-294 

  5. Choi, B. B., H. J. Lee and S. K. Bang. 2004. Studies on the amino acid, sugar analysis and antioxidative effect of extracts from Artemisia sp. Korean J. Food Nutr. 17, 86-91 

  6. Chung, J. H., C. K. Mok, S. B. Lim and Y. S. Park. 2003. Changes of physicochemical properties during fermentation of peach wine and quality improvement by ultrafiltrat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32, 506-512 

  7. Jeon, B. G., J. R. Lee and J. M. Ji. 2000. The development of functional beverage from the inner skin of chestnut, Castanea crenate(I). Analysis of monosaccharides, amino acids and caffeine contents in Castanea crenate tea extract. Korean J. Food Nutr. 13, 226-234 

  8. Jin, Y. S., Y. Yin, T. H. Shim, J. H. Sa and M. H. Wang. 2006. Studies for component analysis and biological evaluation in Picrasma quassioides (D. Don) Benn. extracts. Kor. J. Pharmacogn., 37, 37-41 

  9. Kang, S. K., Y. D. Kim and O. J. Choi. 1998. Proximate, saponin and amino acid compositions in camellia seeds and defatted camellia seeds. J. Korean Soc. Food Nutr. 27, 227-231 

  10. Kim, C. K., Y. J. Kim and Y. J. Kwon. 1998. Amino acid and fatty acid compositions of Perillae semen. J. Korean Soc. Food Sci. Nutr. 27, 381-385 

  11. Kim, D. H., K. S. Lee and B. K. Song. 2000. A study on the analgesic and anticoagulative effects of Persicae semen and Carthami flos of aqua-acupuncture. J. Oriental Gynecology 13, 60-73 

  12. Kim, H. S. 2004. Effects of the Prunus persica Batsch var, davidiana Max. extract on the lipid compositions and enzyme activities in hyperlipidemic rats. Korean J. Food Nutr. 17, 328-336 

  13. Kim, H. S. 2004. Effects of the Prunus persica Batsch var, davidiana Max. extract on the blood glucose and serum lipid components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Korean J. Food Nutr. 17, 337-345 

  14. Kim, H. S. 2005. Effects of Prunus persica Batsch var. davidiana Max. extract on the free fatty acid, creatine phosphokinase and LCAT activities in hypercholesterolemic rats. Korean J. Food Nutr. 18, 265-271 

  15. Kim, H. S. 2005. The effects of Prunus persica Batsch var. davidiana Max. hot-water extract on the lipid peroxide and creatine phosphokinase activity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Korean J. Food Nutr. 18, 272-278 

  16. Kim, H. S. 2005. Studies on the compositions of mineral components, total amino acid, free amino acid and fatty acid of Zizyphus jujuba seed. Korean J. Human Ecology, 8, 25-31 

  17. Kim, H. S., S. H. Kim, H. S. Cheong, J. O. Kang and S. Y. Chung. 1993. Effects of the feeding mixed oils with various levels of n-3 and n-6 polyunsaturated fatty acid on the lipid components and fatty acid metabolism of serum lipoprotein in hyperlipidemic rats. J. Korean Soc. Food Nutr. 22, 543-551 

  18. Kim, H. S., S. H. Kim and S. Y. Chung. 1992. Effects of the feeding mixed oils of the butter, sardine and safflower oils on fatty acid metabolism of serum and liver in rats. J. Korean Soc. Food Nutr. 21, 617-626 

  19. Kim, J. K., T. W. Park, C. J. Lee and Y. G. Chai. 1999. Protective effect of peach kernel extracts on radiation-induced DNA damage in human blood lymphocytes in the comet assay. Korean Nuclear Soc. Bull. 99, 388 

  20. Lee, H. E., C. B. Yang and T. J. Yu. 1972. Studies on the chemical composition of some fruit vegetables and fruits in Korea(I). On the free amino acid and sugar contents in tomato, watermelon, muskmelon, peach and plum. Korean J. Food Sci. Technol. 4, 36-43 

  21. Lee, J. Y., S. G. Hong and S. W. Choi. 2000. Inhibition of enzymatic browning of apple juices by benzoic acid isolated from peach(Prunus persica Batsch) seeds. Korean J. Postharvest Sci. Technol. 7, 103-107 

  22. Lee, S. H., H. J. Rim, D. J. Kim and K. S. Kim. 1992. A studies on the chemical composition of apricot seed. Korean J. Food Nutr. 5, 1-5 

  23. Namgung, S. and J. Y. Lee. 1987. Protein and amino acid composition of Korea apricot seeds. J. Korean. Soc. Food Nutr. 16, 306-310 

  24. National Pural Living Science Institute, R.D.A. 2001. Food composition table. pp. 96-97, 6th Revision, Sangrogsa, Seoul 

  25. Ogawa, T., Y. Oka and K. Sasaok. 1987. Amino acid profiles of common cultivate mushrooms including the identification of N-(N-T-L-glutamyl-3-sulfo-L-alanyl) glycine in Flammulina velutipes. J. Food Science 52, 135-137 

  26. Park, E. R., J. O. Jo and K. S. Kim. 1991. Volatile flavor components in various varieties of peach(Prunus persica L.) cultivated in Korea. Korean J. Postharvest Sci. Technol. 6, 206-215 

  27. Shin, K. K. 1973. Shin's Herbology. pp. 562-564, Soomoonsa, Seoul, Korea 

  28. Shin, S. E., D. S. Suh, J. L. Ding and W. S. Cha. 2006. Chemical characterization and antibacterial effect of volatile favor concentrate from Houttyunia cordata Thunb. J. Life Sci. 16, 297-301 

  29. The Korean Pharmacognosy Professor Association. 1994. Herbology. pp. 526-528, The Korean Pharmaceutical Association, Seoul, Korea 

  30. Yoon, I. H., B. I. Seo and S. H. Kim. 1996. The effect of Persicae semen on the atherosclerosis in rabbit. J. Herbology 11, 79-9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