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월성동 구석기 유적 출토 흑요석제 석기의 암석 및 광물학적 연구를 통한 원산지 추정
Petrologic and Mineralogic Studies on the Origin of Paleolithic Obsidian Implements from Wolseongdong, Korea 원문보기

한국지구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v.28 no.6, 2007년, pp.733 - 742  

장윤득 (경북대학교 지질학과) ,  박태윤 (경북대학교 지질학과) ,  이상목 (경상북도 문화재연구원) ,  김정진 (안동대학교 지구환경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대구 월성동 출토 구석기 흑요석 석기는 광물, 암석 및 지구화학적 분석결과 마그마에서 급랭하여 생성된 균질한 유리질을 가지는 전형적인 흑요석에 속한다. 연구대상 흑요석의 주 구성성분은 규장질 유문암으로서 Calk-alkaline계열에 속한다. 기존의 국내 출토지, 백두산, 일본 큐슈지방에서 출토된 흑요석과 연구 대상 지역의 흑요석에 대한 분석 결과를 비교했을 때 미량원소와 희토류 원소의 함량의 차이는 있으나 대부분 서로 유사한 원소분포 패턴을 보였다. Sr 동위원소 분석 결과 소사 대상지역의 흑요석이 우리나라 남부지방이나 백두산 기원의 흑요석과는 상당히 많은 차이를 나타낸다. E-Ar 연대 측정 결과 약 30Ma로써 백두산 화산환동 시기인 10Ma보다 오래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조사지역의 흑요석을 포함하여 한반도에서 발견되는 흑요석을 광물, 안석, 미량원소, 동위원소 및 연대 측정 등을 종합적해 볼 때 백두산지역, 일본큐슈와 한반도 남부지역, 한반도 중부지역 및 조사지역인 월성동 흑요석으로 4대분 할 수 있으며 이는 한반도에서 출토되는 흑요석의 기원지의 다양성을 시사하고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etrological, mineralogical, and geochemical analyses were carried on the paleolithic obsidian implements excavated at Wolseongdong, Daegu, Korea. The obsidians has a homogeneous glassy texture that can be observed in a typical obsidian formed from a rapid cooling of silicic magma. Major element co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대구광역시 달서구 월성동에서 출토된 흑요석 석기에 대하여 암석 기재 학적인 연구와 암석 및 광물 화학적인 연구를 수행하여 흑요석의 원산지를 규명하고자 시도하였다. 조사된 시료의 수가 적어 우리나라의 흑요석의 일반적인 특징을 대변하기에는 무리가 있으나 현재까지 연구된 흑요석 자료와 비교하여 볼 때 상당히 의미 있는 사실들이 도출되었다.
  • 본 연구에서는 대구광역시 달서구 월성동의 흑요석암편(Fig. 2)에 대하여 광물 및 암석학적 분석을 바탕으로 한반도 중부지역, 한반도 남부지역, 백두산 지역 및 일본 큐슈지역의 흑요석과의 상호관계를 파악하고자 대표적인 시료를 선택하여 다양한 자연과학적 연구 방법을 적용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대구광역시 달서구 월성동에서 출토된 구석기 유물에 대하여 광물 조성, 주원소와 희토류를 포함한 미량원소분석, 동위원소 및 연대측정을 통하여 흑요석의 산지를 추정하는데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손보기, 1989, 상무룡리에서 발굴된 흑요석의 고향에 대하여. 상무룡리, 강원대학교 박물관, 781-796 

  2. 이동영, 김주용, 한창균, 1992, 홍천 하화계리유적의 지형 및 지질. 중앙고속도로 건설구간 내 문화유적발굴조사 보고서, 247-260 

  3. 이동영, 1998, 흑요석 석기유물에 대한 분석과 원산지 해석. 고고학연구방법론, 학연문화사, 240 p 

  4. 이선복, 이용일, 1996, 흑요석 석기의 지화학적 특성에 대한 예비고찰. 한국고고학보, 35, 173-187 

  5. 조남철, 2005, 성분분석, 미세조직 및 자기적 특성에 의한 한반도 흑요석의 분류 연구. 가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07 p 

  6. 하인수, 2001, 신석기시대 대외교류 연구. 부산박물관 박물관연구논집, 8, 1-40 

  7. Constantinescu, B., Bugoi, R. and Sziki, G., 2002, Obsidian provenance studies of Transylvania's Neolithic tools using PIXE, micro-PIXE and XRF. Nuclear Instruments and Methods in Physics Research, B 189, 373-377 

  8. Faul, H. and Wagner, G.A.. 1971, Fission track dating. In Michael, H.N. and Ralph E.K. (eds.), Dating Techniques for the Archaeologist. MIT Press, USA, 152-156 

  9. Gale, N.H., 1981, Mediterranean Obsidian Source Characterization by Strontium isotope Analysis. Archaeometry, 23, 41-51 

  10. Glascock, M.D., Kunselman, R. and Wolfinan, D., 1999, Intrasource Chemical Differentiation of Obsidians in the Jemez Mountains and Taos Plateau, New Mexico. Journal of Archaeological Science, 26, 861-868 

  11. Hall, M. and Kimura, H., 2002, Quantitative EDXRF Studies of Obsidians Sources in Northern Hokkaido. Journal of Archaeological Science, 29, 259-266 

  12. Higashimura, T. and Warashina, T., 1990, Sourcing of Archaeological Stone Implements by Means of X-ray Fluorescence Analysis. Reprint from Annual Reports of the Research Reactor Institute, Kyoto University, 23, 124-143 

  13. Kuzmin, Y.V., Glascock, M.D., and Sato, H., 2002, Sources of Archaeological Obsidian on Sakhalin Island (Russian Far East). Journal of Archaeological Science, 29, 741-749 

  14. Le Bas, M.J., Le Maitre, R.W., Streckeisen, A., and Zanettin, B., 1986, A Chemical classification of volcanic rocks based on the total alkali-silica diagram. Journal of Petrology, 27, 745-750 

  15. Lee, C., Czae, M.Z., Kim, S., Kang, H.T., and Lee, J.D., 1990, A Classification of Obsidian Artifacts by Applying Pattern Recognition to Trace Element Data. Bulletin Korean Chemistry Society, 11, 450-455 

  16. Poupeau, G., Scorzelli, R.B., Rossi, A.M., and Cernicchiaro, G., 2001, Obsidian Provenance Studies from Structural Properties. International Association for Obsidian Studies Bulletin, 28, 2-6 

  17. Shackley, M.S., 1998, A Systematic Approach to Obsidian Source Characterization, Archaeological Obsidian Studies-Method and Theory. Plenum Press, New York, 18 

  18. Thorpe, O.W., 1995, Review Article-Obsidian in the Mediterranean and the Near East: A Provenancing Success Story. Archaeometry, 37, 217-24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