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백두산과 규슈 흑요석 내 미세결정의 형태와 조직
Morphology and Texture of Microlites in the Baekdusan and Kyushu Obsidians 원문보기

한국지구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v.38 no.7, 2017년, pp.546 - 551  

황가현 (경상대학교 지질과학과 및 기초과학연구소) ,  좌용주 (경상대학교 지질과학과 및 기초과학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백두산과 일본 규슈에서 산출되는 흑요석을 대상으로 그 내부에 포함된 미세결정의 형태와 조직을 전자현미경을 사용하여 관찰하였다. 미세결정에 대한 형태학적 분류에 따르면, 백두산 흑요석 내의 미세결정은 Arculites, Asteroidal, Crenulite 등의 형태만 보이고, 규슈 흑요석 내의 미세결정은 Arculites, Bacillite, Belonites, Crenulite, Furculite, Lath, Margarite, Scopulites 등의 다양한 형태를 보인다. 이 사실은 백두산과 규슈 흑요석은 포함된 미세결정의 형태에 따라서 구분 가능함을 지시한다. 한편, 동일한 Arculites 형태의 미세결정의 경우 백두산 흑요석은 휘석 결정 내에 자철석의 결정들이 포함된 포이킬리틱 조직을 보이는 반면, 규슈 흑요석은 자철석과 휘석이 서로 입상 내지 입간 조직을 보인다. 이러한 흑요석 내 미세결정의 형태 및 조직의 차이는 향후 우리나라에서 선사시대 유물로 출토되는 흑요석제 석기의 산지를 밝히는데 이용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examine the morphology and texture of microlites included in the obsidians from the Baekdusan (Mt. Baekdu) and Kyushu (SW Japan) by using an electron microscope. According to the morphological types of microlites, the microlites in the Baekdusan obsidians are classified as Arculites, Asteroidal 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2) 편광현미경만을 이용한 것으로, 고해상도의 전자현미경을 통해 관찰한 미세결정의 형태와는 차이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백두산과 일본 규슈에서 산출되는 흑요석을 주 연구대상으로 하여 흑요석 내의 미세결정을 전자현미경을 통해 보다 정밀한 형태를 살피고, 산지에 따른 미세 결정 형태를 비교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미세결정의 기재적 연구로 최초의 사례로 꼽히는 Clark (1961)에서는 유리질 암석 내 미세결정을 형태에 따라 분류한 바 있으나 (Fig. 2) 편광현미경만을 이용한 것으로, 고해상도의 전자현미경을 통해 관찰한 미세결정의 형태와는 차이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백두산과 일본 규슈에서 산출되는 흑요석을 주 연구대상으로 하여 흑요석 내의 미세결정을 전자현미경을 통해 보다 정밀한 형태를 살피고, 산지에 따른 미세 결정 형태를 비교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흑요석 내 미세결정을 분석하기 위한 현미경 및 분석기 사용시 분석조건은 무엇인가? 흑요석 내 미세결정의 정확한 형태와 구성 광물의 종류를 정성적으로 파악하기 위해 경상대학교 공동실험실습관의 전계방출형 주사전자현미경(Field Emiss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FE-SEM)과 극지연구소의 전계방출형 전자현미분석기(Field Emission Electron Micro Probe Analyzer; FE-EPMA; Jeol, JXA-8530F)을 이용하였다. 분석조건은 가속전압 10 kV, 빔전류 20 nA, 빔크기는 spot (1)으로 분석하였으며 분석을 통해 얻은 SEM IMAGE는 CorelDRAW X5 program을 이용하여 미세결정 형태를 작업하였다.
흑요석의 정의는? 흑요석(obsidian)은 지질학적인 정의에 의하면 흑색 또는 암색을 띠는 화산유리(volcanic glass)로, 실리카 함량이 높은 유문암질 또는 석영 안삼암질의 마그마의 급냉에 의해 형성된다(Bates and Jackson, 1987). 따라서 선사시대 석기(prehistoric artefacts)의 중요 재료로 사용되었던 흑요석은 그 산출지가 화산분출지에 한정되어 있다.
흑요석의 산출지는? 흑요석(obsidian)은 지질학적인 정의에 의하면 흑색 또는 암색을 띠는 화산유리(volcanic glass)로, 실리카 함량이 높은 유문암질 또는 석영 안삼암질의 마그마의 급냉에 의해 형성된다(Bates and Jackson, 1987). 따라서 선사시대 석기(prehistoric artefacts)의 중요 재료로 사용되었던 흑요석은 그 산출지가 화산분출지에 한정되어 있다. 이러한 흑요석 유물의 산지해석을 위해 지질학적 및 지구화학적 연구 방법들이 도입되고 있다(예: Yi and Lee, 1996; Cho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Bates, R.L. and Jackson, J.A. (eds.), 1987, Glossary of Geology (3rd ed.). American Geological Institute, Alexandria, Virginia. 455 p. 

  2. Cho, N.C., Kang, H.T., and Han, M.S., 2005, Characterization of the Sangmuryongri obsidian artefacts based on chemical composition and texture. Journal of Korean Ancient Historical Society, 49, 5-2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 Cho, N.C., Kang, H.T., and Chung, K.Y., 2006, Provenance study of obsidian artifacts found in the Korean peninsula based on trace elements and Sr isotope ratios. Journal of Korean Ancient Historical Society, 53, 5-2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4. Cho, N.C. and Choi, S.Y., 2010, Provenance study of obsidian from Gigok paleolithic site in Donghae-si using trace elements. Journal of Korean Ancient Historical Society, 70, 5-2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5. Cho, N.C. and Choi, S.Y., 2012, Chemical composition and provenance study of obsidian from Sangsa-ri paleolithic site in Cheolwon. Journal of Korean Ancient Historical Society, 78, 5-2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6. Clark, D.L., 1961, The Obsidian Dating Method. Current Anthropology 2, 111-114 

  7. Donaldson, C.H., 1976, An Experimental Investigation of Olivine Morphology. Contributions to Mineralogy and Petrology, 57, 187-213 

  8. Hibbard, M.J., 1995, Petrography to petrogenesis. Prentice-Hall, Inc. 587 p. 

  9. Jang, Y.D., Park, T.Y., Lee, S.M., and Kim, J.J., 2007, Petrologic and mineralogic studies on the origin of Paleolithic obsidian implements from Wolseongdong, Korea.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28, 731-74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0. Jin, M.E., Moon, S.W., Ryu, C.K., and Jwa, Y.J., 2014, Mineralogical Study on Microlites in the Baekdusan Obsidian and the Gadeokdo Obsidian Artefacts. Journal of Mineralogical Society of Korea, 27, 243-24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1. Kim, J.C., Kim, D.K., Youn, M., Yun, C.C., Park, G., Woo, H.J., Hong, M.Y., and Lee, G.K., 2007, PIXE provenancing obsidian artefacts from Paleolithic sites in Korea. Indo-Pacific Prehistory Association Bulletin, 27, 122-128. 

  12. Ross, C.S., 1962, Microlites in glassy volcanic rocks. American Mineralogist, 47, 723-740. 

  13. Trivedi, R. and Somboonsuk, K. 1984, Constrained Dendritic Growth and Spacing. Materials Science and Engineering, 65, 65-74. 

  14. Weinberg, F. and Chalmers, B., 1952, Further observations on dendritic growth in metals. Canadian Journal of Physics, 30, 488-502. 

  15. Williams, G.H., 1893, On the use of the terms poikilitic and micropoikilitic in petrography, The Journal of Geology, 1(2), 176-179. 

  16. Yi, S. and Lee, Y.I., 1996, Preliminary consideration on the geochemical characteristics of the obsidian artefacts. Journal of the Korean Archaeological Society, 35, 172-18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