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한일 초등 예비교사들의 천문학 기초개념 이해와 천문학에 대한 태도
Comparison of the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Understandings of the Basic Concepts of Astronomy and Their Attitudes Toward Astronomy between Korea and Japan 원문보기

한국지구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v.28 no.7, 2007년, pp.789 - 802  

이면우 (춘천교육대학교 과학교육과) ,  장은숙 (한중대학교 공과대학 토목환경공학)

초록

이 논문에서는 한국과 일본의 초등 예비교사들이 가지고 있는 천문학 기초개념에 대한 이해 정도와 천문학에 대한 태도를 조사하여 비교하였다. 천문학 기초개념 및 지식은 1998년에 천문교육연구협의회(The Collaboration for Astronomy Education Research, CAER)에서 개발한 천문학진단검사지(Astronomy Diagnostic Test, ADT ver.2.0)의 21문항에서 한일 양국의 중등학교 교육과정을 고려하여 선정한 12개 문항을 양국의 언어로 번안하여 투입하였다. 천문학 기초개념 및 지식에 대한 검사문항의 신뢰도는 0.69이었다. 천문학 태도에 대한 검사는 제일릭 등(Zeilik et at., 1999)이 개발한 천문학태도조사지(the Survey of Attitudes Towards Astronomy, SATA)를 그대로 번역하여 사용하였다. 신뢰도는 0.87이었다. 조사 결과 천문학 기초개념에 대한 한국의 예비교사들의 정답률은 38%이었고 일본은 37%이었지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천문학에 대한 태도에서는 한국의 초등 예비교사가 일본보다 높았다. 특히 천문학에 대한 인지적 능력과 가치의 범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p<.05). 이 연구를 통해 부가적으로, 한국과 일본의 초등 예비교사들의 가진 천문학 기초개념이 지식의 수준이 40%, 미만이었으며, 천문학에 대한 태도 점수가 미국의 대학생들에 비하여 상당히 낮다는 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d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understanding of the basic concepts of and their attitudes toward astronomy in Korea and Japan. The survey instrument called the Astronomy Diagnostic lest (ADT) that was developed by the Collaboration for Astronomy Education Research (CAER) in...

Keyword

참고문헌 (48)

  1. 강인석, 2002, 천문분야에 관한 예비교사 및 교사들의 이해도 조사. 부산교육대학교 석사논문, 46 p 

  2. 강호감, 권성기, 노석구, 박종옥, 이면우, 최선영, 2004, 초등교사 교육을 위한 과학교육 프로그램 적용 연구. 교육인적자원부, 713 p 

  3. 교육부, 1997, 제7차 교육과정- 과학과 교육과정. 대한교과서주식회사, 101 p 

  4. 김용현, 2006, 초등예비교사들의 '별의 운동'에 대한 개념 조사. 전주교육대학교 석사논문, 44 p 

  5. 박성혜, 2003, 교사들의 과학 교과교육학 지식 측정도구 개발. 한국교사교육연구, 20(1), 105-134 

  6. 변원섭, 2003, 초등예비교사들의 계절변화 원인에 대한 질적연구. 전주교육대학교 석사논문, 34 p 

  7. 오준영, 2006, 천문 현상들을 설명하는 예비 초등교사들의 정신모형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박사논문, 121 p 

  8. 오준영, 김유신, 2006, 천문 현상들을 설명하는 예비초등 교사들의 정신모형의 구조: 계절과 달의 위상변화.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6(1), 68-87 

  9. 이면우, 2000, 달의 위상 변화에 대한 초등학교 예비교사들의 이해 -교대 4학년생과 보수교육생을 중심으로-. 과학교육연구, 24, 춘천교육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55-68 

  10. 임청환, 2003, 초등교사의 과학 교과교육학 지식의 발달이 과학 교수 실제와 교수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구과학회지, 24(4), 258-272 

  11. 채동현, 1998, 새로운 계절변화 실험모형이 초등예비교사의 개념 변화에 미치는 효과. 초등과학교육, 17(1), 23-32 

  12. 채동현, 2004, 지구운동 중심 태양계 실험 모형이 초등 예비교사와 초등학교 교사의 천문개념 변화에 미치는 효과.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4(5), 886-901 

  13. 채동현, 변원섭, 손연아, 2003, 초등예비교사들의 계절변화 원인에 대한 질적 연구. 초등과학교육, 22(1), 109-120 

  14. 채동현, 양종천, 김은영, 2001, 망원경에 대한 초등 예비교사들의 개념 조사. 과학교육연구 논문집, 23, 전주교육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133-150 

  15. 채동현, 최영완, 2002, 달의 운동에 대한 역할놀이 학습이 초등예비교사의 개념 변화에 미치는 효과. 초등과학교육, 21(2), 253-261 

  16. 채동현, 하정훈, 2002, 새로운 태양계 실험모형이 초등예비교사의 개념 변화에 미치는 효과. 초등과학교육, 21(1), 43-59 

  17. 한영욱, 김선주, 2001, 초등교사들의 별에 대한 기본 개념. 과학교육연구, 26, 57-72 

  18. 허성호, 2000, 지구와 달의 운동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들의 개념. 한국교원대학교 석사논문, 77 p 

  19. 文部省, 1999a, 小學校學習指導要領解設: 理科編. 文部省, 122 p 

  20. 文部省, 1999b, 中學校學習指導要領解設: 理科編. 文部省, 162 p 

  21. Adams, J., Lindell, R., Brick, C., Brissenden, G., Deming, G., Hufnagel, B., Slater, T., and Zeilik, M., 1999, Astronomy Diagnostic Test (ADT) Version 2.0. http://solar.physics.montana.edu/aae/adt/ 

  22. Adams, J.P. and Slater, T.F., 2000, Astronomy in the National Science Education Standards. Journal of Geoscience Education, 48 (1), 39-45 

  23. Atwood, R.K. and Atwood, V.A., 1997, Effects of instruction on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conceptions of the causes of night and day and the seasons. Journal of Science Teacher Education, 8 (1), 1-13 

  24. Atwood, V.A. and Atwood, R.K., 1995,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conceptions of what causes night and day. School Science and Mathematics, 95 (6), 290-294 

  25. Atwood, V.A. and Atwood, R.K., 1996,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conceptions of the causes of season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3 (5), 553-563 

  26. Bisard, W.J., Aron, R.H., Francek, M.A., and Nelson, B.S., 1994, Assessing selected physical science and earth science misconceptions of middle school through university preservice teachers. Journal of College Science Teaching, 24 (1), 38-42 

  27. Cohen, J., 1988,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s (2nd ed.).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USA, 567 p 

  28. Dai, M.F. and Cape, W., 1990, Misconceptions about the Moon held by the preservice teachers in Taiwan.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Meeting of the National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ERIC Document(ED 325327), 26 p 

  29. Darling-Hammond L., 2000, How teacher education matters.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51 (3), 166-173 

  30. Deming, G., 2002, Results from the Astronomy Diagnostic Test National Project. Astronomy Education Review, 1 (1), 52-57. http://aer.noao.edu/cgi-bin/article.pl?id5 

  31. Frede, V., 2006,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conceptions about astronomy. Advances in Space Research, 38 (10), 2237-2246 

  32. Hufuagel, B. 2002, Development of the Astronomy Diagnostic Test. Astronomy Education Review, 1 (1), 47-51. http://aer.noao.edu/cgi-bin/article.pl?id4 

  33. Hufuagel, B., Slater, T., Deming, G., Adams, J., Adrian, R.L., Brick, C., and Zeilik, M., 2000, Pre-course results from the Astronomy Diagnostic Test. Publications of the Astronomical Society of Australia, 17 (2), 152-155 

  34. Kennedy, M.M., 1998, Education reform and subject matter knowledg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5 (3), 249-263 

  35. Lee, O., 1995, Subject matter knowledge, classroom management, and instructional practices in middle school science classroom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2 (4), 423-440 

  36. Schoon, K.J., 1995, The origin and extent of alternative conceptions in the earth and space sciences: A survey of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Journal of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7 (2), 27-46 

  37. Trumper, R., 2000, University students' conceptions of basic astronomy concepts. Physics Education, 35 (1), 9-15 

  38. Trumper, R., 2003, The need for change in elementary school teacher training-a cross-college age study of future teachers' conceptions of basic astronomy concepts.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19 (3), 309-323 

  39. Trumper, R., 2006, Teaching future teachers basic astronomy concepts-seasonal changes-at a time of reform in science education.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3 (9), 879-906 

  40. Trundle, K.C., Atwood, R.K., and Christopher, J.E., 2002,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conceptions of moon phases before and after instruction.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9 (7), 633-658 

  41. Trundle, K.C., Atwood, R.K., and Christopher, J.E., 2006,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knowledge of observable moon phases and patterns of change in phases. Journal of Science Teacher Education, 17 (2), 87-101 

  42. Trundle, K.C., Atwood, R.K., and Christopher, J.E., 2007a, A longitudinal study of conceptual change: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conceptions of moon phase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4 (2), 303-326 

  43. Trundle, K.C., Atwood, R.K., and Christopher, J.E., 2007b, Fourth grade elementary students' conceptions of standards-based lunar concept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9 (5), 595-616 

  44. Zeilik, M., 2003, Birth of the astronomy diagnostic test: prototest evolution. Astronomy Education Review, 1 (2), 46-52. http://aer.noao.edu/cgi-bin/article.pl?id28 

  45. Zeilik, M. and Morris, V.J., 2003, An examination of misconceptions in an astronomy course for science, mathematics, and engineering majors. The Astronomy Education Review, 1 (2), 101-119 

  46. Zeilik, M., Schau, C., and Mattern, N., 1998, Misconceptions and their change in university-level astronomy courses. The Physics Teacher, 36 (2), 104-107 

  47. Zeilik, M., Schau C., and Mattern, N., 1999, Conceptual astronomy. II. Replicating conceptual gains, probing attitude changes across three semesters. American Journal of Physics, 67 (10), 923-927 

  48. The Survey of Attitudes Towards Astronomy, SATA: 천문학태도조사지: (http://www.flaguide.org/tools/attitude/astpo.php)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