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수질정화용 인공습지 개방수역에서 유입수질에 따른 식물플랑크톤의 광합성특성 및 유기물생산력
Photosynthetic Characteristics and Primary Production by Phytoplankton with Different Water Quality of Influent in Open Waters of Constructed Wetlands for Water Treatment 원문보기

한국육수학회지 = Korean journal of limnology, v.40 no.1, 2007년, pp.61 - 71  

최광순 (한국수자원공사 시화호환경연구소) ,  황길순 (한국수자원공사 수환경연구소) ,  김동섭 (한국수자원공사 시화호환경연구소) ,  김세원 (한국수자원공사 시화호환경연구소) ,  김호준 (한국수자원공사 시화호환경연구소) ,  조성주 (금오공과대학교 환경공학과) ,  박제철 (금오공과대학교 환경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국내 최대의 수질정화용 인공습지인 시화호 인공습지의 개방수역(open water)에서 식물플랑크톤에 의한 광합성특성 및 유기물생산력을 조사 평가하여 효율적인 습지관리를 위해 open water관리방안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식물플랑크톤의 광합성특성 및 1차 생산력은 유입수의 수질특성과 체류시간이 다른 반월천습지와 동화천습지의 open water에서 조사되었다. 조사기간 동안 시화호 인공습지내 5개 open water에서 식물플랑크톤에 의한 1차 생산력은 $481{\sim}11,275mgC\;m^{-2}\;day^{-1}$의 범위로 연중 부영양화 수준을 보였고 계절과 지점에 따라 변동이 컸다. 시화호 인공습지에서 식물플랑크톤의 P-I curve 모델계수를 통한 광합성특성은 두 습지로 유입되는 유입수의 상반되는 수질특성(인과 질소 농도)에 크게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대광합성속도 (Pmax)는 $42{\times}1,014 mgC\;m^{-3}\;hr^{-1}$로 chi. ${\alpha}$ 농도와 양의 상관(R=0.47)을 보였다. 식물플랑크톤의 광합성효율을 나타내는 동화계수(AN)두 습지 모두 고습지와 저습지의 AN값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동화천습지의 AN값이 평균 8.5gC $gChl^{-1}\;hr^{-1}$로 반월천습지의 평균 5.8gC $gChl^{-1}\;hr^{-1}$보다 높은 값을 보여 인 농도가 높은 동화천습지에서 식물플랑크톤의 광합성효율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두 하천의 수질특성으로부터 식물플랑크톤의 광합성효율은 질소보다 인 농도 그리고 작은 TN/TP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낮은 광도에 대한 광합성능력을 나타내는 초기기울기와 동화계수 사이에는 높은 양의 상관(R=0.81)을 보인 것으로 보아, 낮은 광조건에서 광합성능력이 큰 식물플랑크톤이 광합성효율도 큰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시화호 인공습지의 open water에서 식물플랑크톤에 의한 유기물생산이 매우 높은 것으로 보아 식물플랑크톤이 습지의 수질 및 수처리효율에 영향을 미칠 것을 판단된다. 습지의 수처리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체류시간을 짧게 해주거나 open water의 면적을 줄여 식물플랑크톤의 증식을 억제하거나 또는 증식한 식물플랑크톤이 습지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하는 관리방안이 필요할 것으로 본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hotosynthetic characteristics and primary production by phytoplankton in open waters of two wetlands (the Banwol and the Donghwa wetland) of Sihwa Constructed Wetland with different water chemistry were investigated to provide the information for the wetland management considering the water tre...

주제어

참고문헌 (38)

  1. 김동섭, 김범철. 1990. 팔당호의 일차생산, 육수지 23(2): 167-179 

  2. 김동섭, Y. Watanabe, 김범철. 1994. 근자외선(UV-A)에 의한 식물플랑크톤의 광합성저해, 육수지 27(2): 145-153 

  3. 농업기반공사. 2004. 농업용수 수질개선을 위한 인공습지 설계.관리 요령 

  4. 산업기지개발공사. 1978. 4개댐 저수지수질 조사 보고서 

  5. 이진애, 조경제, 권오섭, 정익교, 문병용. 1994. 낙동강 하구 생태계 식물성 플랑크톤의 일차생산성, 육수지 27(1): 69-78 

  6. 한국수자원공사. 1997. 시화지구개발 반월천, 동화천습지조성 조경공사 기본 및 실시 설계보고서 

  7. 허우명, 김범철, 전만식. 1999. 동해한 석호의 부영양화 평가, 육수지 32(2): 141-151 

  8. 황길순. 1996. 소양호 1차생산력과 부영양화에 관한 연구, 강원대학교 박사학위청구논문 

  9. Belay, A. and G.E. fogg. 1978. Photoinhibition of photosynthesis in Asterionella Formosa (Bacillariophyceae). J. Phycol. 14: 341-347 

  10. Dunstan, W.M. 1973. A comparison of the phptosynthesislight relationships in phylogenetically different marine microalgae. J. Exp. Mar. BioI. Ecol. 13: 181-187 

  11. EPA. 2000. constructed Wetlands Treatment of Municipal Wastewaters. Cincinnati, Ohio 

  12. Fosberg, C. and S. Ryding. 1980. Eutrophication paramenters and trophic state indices in 30 Swedish wastereceiving lakes. Archiv fur Hydrobiologie 89: 189-207 

  13. Gachter, R., R.A. Vollenweider and W.A. Glooschenko. 1974. Seasonal variations of temperature and nutrients in the surface waters oflakes Ontario and Erie. J. Fish. Res. Board Can. 31: 275-290 

  14. Glooschenko, W.A., J.E. Moore, M. Munawar and R.A. Vollenweider. 1974. Primary production in lakes Ontario and Erie: A comparative study. J. Fish. Res. Int. Soc. Gt. Lakes Res. p. 40-49 

  15. Harrison, W.G., T. Platt and M.R. Lewis. 1985. The utility of light-saturated models for estimating marine primary productivity in the fiels; A comparison with conventional 'simulated' in situ methoss. Can. J. Fish. Aquat. Sci. 42: 864-872 

  16. Harrison, W.G. and T. Platt. 1980. Variations in assimilation number of coastal marine phytoplankton; Effects of environmental co-variates. J. Plankton Res. 2: 249-260 

  17. Heyman, U. 1983. Relationship between production and biomass of phytoplankton in four Swedish lakes of different trophic status and humic content. Hydobiology 101: 89-104 

  18. Ichiki, S. 1986. Primary production measurements in the south basin of Lake Biwa. Rep. Shiga. Pref. Inst. Pub. Hlth. And Environ. Sci. 21: 160-166 

  19. Ichimura, S. 1964. Environmental gradient and its relation to primary productivity in Tokyo Bay. Records Oceanogr. Works Japan 9: 115-128 

  20. Ichimura, S. and Y. Aruga. 1964. Photosynthetic natures of natural algal communities in Japanese waters. In: Recent Researches in the Fields of Hydrosphere, Atmosphere nad Nuclear Geochemistry (Miyake, Y. and T. Koyoma eds.), Maruzen, Tokyo 

  21. Jokiel, P.L. and R.H. York. 1984. Importance of ultraviolet radiation in photoinhibition of microalgal growth. Limnol. Oceanogr. 29: 192-199 

  22. Kim, B. and D.S. Kim. 1989. Primary productivity by photosynthesis-irradiance model method in Lake Soyang and the bebavior of model paramenters. Korean J. Limnol. 22: 167-177 

  23. Lee, J.A, K.J. Cho, O.S. Kwon and I.K. Chung. 1993. A study on the environmental factors in Naktong Estuarine Ecosystem. Korean J. Phycol. 8: 29-36 

  24. Likens, G.E. 1975. Primary production of inlandaquatic ecosystems. In: Primary Productivity of the bioshphere (Lieth, H. and R.H. Whittaker eds.). Springer Verlag. New York 

  25. Lorenzen, C.J. 1967. Determination of chlorophyll and pheo-pigments: spectrophotometric equation. Limnol. Oceanogr. 12: 343-346 

  26. Lorenzen, M.W. and A.W. Fast. 1976. Primary production in the sea. In: Ecology ofthe sea (Eds D.H. Cushing and J.J. Walsh eds.). Blackwell Scientific Publications, Oxford 

  27. Marra, J. 1978. Phytoplankton photosynthetic response to vertical movement in a mixed layer. Mar. Biol. 46: 203-208 

  28. Morris, I. 1980. The Physiological Ecology of Phytoplankton.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Berkeley 

  29. Nakanish, M., T. Narita, N. Suzuki and O. Mitamura. 1988. Assimilation number and primary productivity of phytoplankton in the south basin of Lake Biwa. Jpn. J. Limnol. 49: 175-183 

  30. Pickett, K. and J. Myers. 1966. Monochromatic light saturation curves for photosynthesis in Chlorella. Plant Physiol. 41: 90-98 

  31. Pierson, D.C., K. Pettersson and V. Istvanovics. 1992. Temporal changes in biomass specific photosynthesis during the summer; The regulation by environmental factors, and the importance of phytoplankton succession. Hydrobiologia 243-244: 119-135 

  32. Platt, T., C.L. Gallegos and W.B. Harrison. 1980. Photoinhibition of photosynthesis in natural assemblages of marine phytoplankton. J. Mar. Res. 38: 687-701 

  33. Platt, T. and A.D. Jassby. 1976. The relationship between photosynthesis and light for natural assemblages of coastal marine phytoplankton. J. Phycol. 12: 421-430 

  34. Thornton, K.W., B.L. Kimmel and F.E. Payne. 1990. Reservoir Limnology: Ecological Perspectives. John Wiley & Sons, Inc. New York 

  35. Vollenweider, R.A. and A. Nauwerck. 1961. Some observations on the 14C method for measuring primary production. Verh. Internat. Verein. Limnol. 14: 134-139 

  36. Wetzel, R.G. 2001. Limnology. 3th ed., Academic Press, New York 

  37. Wetzel, R.G. and G.E. Likens. 1991. Limnological Analysis. 2th ed., Springer Verlag., New York 

  38. Wetzel, R.G., P.H. Rich, M.C. Miller and H.L. Allen. 1972. Metabolism of dissolved and particulate detrial carbon in a temperate hard-water lake. Mem. Ist. Ital. Idrobial. 29(suppl.): 185-24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