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인과 일본인 부정교합자의 하악 치열궁 헝태 비교
Comparison of arch forms between Korean and Japanese in Class I, II, and III malocclusion 원문보기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Korean journal of orthodontics, v.37 no.5, 2007년, pp.364 - 375  

이채형 (가톨릭대학교 임상치과학대학원) ,  모성서 (가톨릭대학교 임상치과학대학원) ,  강윤구 (가톨릭대학교 임상치과학대학원) ,  (동경치과대학 교정과) ,  김영호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삼성서울병원 치과진료부 교정과) ,  국윤아 (가톨릭대학교 임상치과학대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인과 일본인의 Angle씨 I급, II급, III급 부정교합군에서 하악치열궁의 크기와 형태적 특성을 상호 비교 분석하는데 있었다. 한국인의 부정교합자 368명(I급 114명, II급 119명, III급 135명)과 일본인의 부정교합자 160명(I급 60명, II급 50명, III급 5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치료 전 하악 치열 모형을 복사한 사진에서 13개의 인접한 접촉면에서 가장 협측에 위치한 점들을 좌표치화한 후 하악 치아의 두께 자료에 근거하여 임상 브라켓 점들을 설정하였고 4개의 선 계측과 이들을 이용하여 2개의 비율을 측정하였다. 각 부정교합군에서 측정 항목들에 관하여 t-test를 하였고 치열궁 형태를 square, ovoid, tapered 의 3가지로 분류한 후 분포 특성에 관하여 카이제곱 검정하였다. 그 결과 I급과 II급 부정교합군에서 일본 여성의 하악 치열궁 폭경이 일본남성, 한국 남성 및 한국 여성에 비해 작았으며, III급 부정교합군의 하악 치열궁 크기는 인종이나 성별에 따른 차이가 없었다. 그리고 모든 부정교합군에서 한국인과 일본인의 대부분이 square와 ovoid한 치열궁 형태를 가졌으며 II급 부정교합군에서는 일본인은 ovoid 형태가 52.%으로 가장 많고 한국인은 square 형태가 40%로 가장 많게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arch dimensions and frequency distribution of arch forms between Korean and Japanese Class I, II, and III malocclusion groups. Methods: The sample consisted of 368 Korean cases (114 Class I, 119 Class II, and 135 Class III malocclusion) and 160 Japanese case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이번 연구에선 통계분석의결 과에서 보았듯이 한국인에서는 I급 부정교합 군의 대구치간 폭경에서 성별에 따른 차이가 있었고 일본인의 I 급과 II급 부정교합군에서도 치열궁 크기가 일본인 남녀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부정교합의 종류에 따라 한국인과 일본인 간에 치열궁 크기를 상호 비교 분석할 때 성별에 따른 차이를 고려하지 않았을 때에는 전혀 다른 결과가 나올 수 있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한국인과 일본인을 성별로 분류한 후 치열궁 크기에 관하여 유의성 검정을 하였다.
  • 또한 교정치료시 탄성의 성질을 가진 preformed arch wire는 개개의 치열궁 형태에 잘 맞게 구부리기가 어렵기 때문에 다양한 형태의 arch wire 를 비치하여야 하나 경제적인 측면에서 비효율적일 수 있다. 따라서 치료시 탄성의 성질을 가진 arch wire 선택에 도움을 줄 수 있고 또한 인종간에 치열 궁의 형태를 비교할 때 몇 개의 치열궁 형태로 표현되는 것이 좋은 방법이라 생각되어 본 연구에서는 한국과 일본인의 치열궁 형태를 square, ovoid, tapered 형태로 분류하여 두 인종간의 치열궁 형태의 분포적 특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Angle씨 I, U, HI급 부정교합 군에서 치열 궁 크기가 한국과 일본의 남녀 상호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 치열궁의 형태를 tapered, ovoid, square라는 3가지 유형으로 각각 분류하여 한국과 일본인 간의 3가지 치열궁 형태 분포의 특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Kwon YC, Sung JO, Kwon OW, Sung JH. The dental arch form in normal occlusion. Korean J Orthod 1989;19:95-106 

  2. Sohn BW, Baik HS. Growth and development of arch form. Korean J Orthod 1998;28:17-27 

  3. Kim YS, Lee KS. A longitudinal study on the developmental changes of dental arch width and length. Korean J Orthod 2000;30:19-31 

  4. Little RM. Stability and relapse of dental arch alignment. Br J Orthod 1990;17:235-41 

  5. Shapiro PA. Mandibular dental arch form and dimension: Treatment and postretention changes. Am J Orthod. 1974;66:58-70 

  6. Gardner SD. Posttreatment and postretention changes following orthodontic therapy. Angle Orthod. 1976;46:151-61 

  7. Artun J, Garol JD, Little RM. Long-term stability of mandibular incisors following successful treatment of Class II division 1, malocclusions. Angle Orthod. 1996;66:229-38 

  8. Downs WB. Variations in facial relationships: Their significance in treatment and prognosis. Am J Orthod 1948;34:812-40 

  9. Altemus LA. A comparison of cephalofacial relationships. Angle Orthod 1960;30:223-39 

  10. Uesato G. Esthetic facial balance of American-Japanese. Am J Orthod 1968;54:601-11 

  11. Iwasawa T, Moro T, Nakamura K. Tweed triangle and soft-tissue considerstion of Japanese with normal occlusion and good facial profile. Am J Orthod 1977;72:119-27 

  12. Park IC, Bowman D, Klapper L. A cephalometric study of Korean adults. Am J Orthod Dentofacial Orthod 1989;96:54-9 

  13. Bhat M. Enlow DH. Facial variations related to headform type. Angle Orthod 1985;55:269-80 

  14. Chan GK. A cephalometric appraisal of the Chinese (Cantonese). Am J Orthod 1972;61:279-85 

  15. Lavelle CLB. A study of craniofacial form. Angle Orthod 1979;49: 65-72 

  16. Siriwat PP, Jarabak JR. Malocclusion and facial morphology is there a relationship? An epidemiologic study. Angle Orthod 1985;55:127-38 

  17. Miura F, lchijo T, Soma K, Kuroki T, Fukawa T, Maeda M, Tomita K, et al. Dental anthropological study of the Central American Indians. Kokubyo Gakkai Zasshi 1989;56:409-28 

  18. Huang ST, Miura F, Soma K. A dental anthropological study of Chinese in Taiwan (2). Teeth size, dental arch dimensions and forms. Gaoxiong Yi Xue Ke Xue Za Zhi 1991;7:635-43 

  19. Miyazaki H, Yamaguchi Y, Takehara T. Dental arch and palate in Taiwan aboriginals-Ami, Bunun, Paiwan and Rukai tribes. Arch Oral BioI 1993;38:729-35 

  20. Kasai K, Kanazawa E, Aboshi H, Richards LC, Matsuno M. Dental arch form in three Pacific populations: a comparison with Japanese and Australian aboriginal samples. J Nihon Univ Sch Dent 1997;39:196-201 

  21. Staley RN, Stuntz WR, Peterson LC. A comparison of arch widths in adults with normal occlusion and adults with class II division 1 malocclusion. Am J Orthod 1985;88:163-9 

  22. Laine T. Alveolar arch dimensions and Occlusal traits. An epidemiologic study. Angle Orthod 1985;55:234-41 

  23. Kim SC. A study on the configurations of Korean normal dental arches for preformed arch wire. Korean J Orthod 1984;14:93-101 

  24. Watanabe K, Koga M, Yatabe K, Motegi E, Isshki Y. A morphometric study on setup models of Japanese malocclusions. Shikwa Gakuho 1996;96:209-22 

  25. Chang Yl, Yang WS, Nalm DS, Moon SC. A study for the development of the Korean orthodontic bracket. Korean J Orthod 2000;30:565-78 

  26. Nahm DS. Dental anthropological study on the occlusal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s. Korean J Orthod 1994;24:247-73 

  27. Andrews LF. Straight wire-the concept and appliance. San Diego: L. A. Wells Co; 1989 

  28. Nojima K, McLaughlin RP, Isshiki Y, Sinclair PM. A Comparative study of Caucasian and Japanese mandibular clinical arch forms. Angle Orthod 2001;71:195-200 

  29. Buschang PH, Stroud J, Alexander RG. Differences in dental arch morphology among adult females with untreated Class I and Class II malocclusion. Eur J Orthod 1994;16:47-52 

  30. Braun S, Hnat WP, Fender DE, Legan HL. The form of the human dental arch. Angle Orthod 1998;68:29-36 

  31. Aoki H, Tsuta A, Ukiya M. A morphological study and comparison of the dental arch form of Japanese and American adults: detailed measurements of the transverse width. Bull Tokyo Dent Coll 1971;12:9-14 

  32. Chuck GC. Ideal arch form. Angle Orthod 1934;4:312-27 

  33. Burris BG, Harris EF. Maxillary arch size and shape in American blacks and whites. Angle Orthod 2000;70:297-302 

  34. Noroozi H, Nik TH, Saeeda R. The dental arch form revisited. Angle Orthod 2001;71:386-9 

  35. Yun YK, Kook YA, Kim SH, Mo SS, Cha KS, Kim JG, Tae KC. Mandibular clinical arch forms in Koreans with normal occlusions. Korean J Orthod 2004;36:481-7 

  36. Felton JM, Sinclair PM, Jones DL, Alexander RG. A Computerized analysis of the shape and stability of mandibular arch form. Am J Orthod Dentofacial Orthop 1987;92:478-83 

  37. de la Cruz A, Sampson P, Little RM, Artun J, Shapiro PA. Long-term changes in arch form after orthodontic treatment and retention. Am J Orthod Dentofacial Orthop 1995;107:518-30 

  38. Burke SP, Silveira AM, Goldsmith LJ. A meta-analysis of mandibular intercanine width in treatment and postretention. Angle Orthod 1998;68:53-6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