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정상교합자의 치열궁과 기저골 형태에 대한 3차원적 연구
Three dimensional structural analysis between dental arch and basal bone in normal occlusion 원문보기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Korean journal of orthodontics, v.41 no.4, 2011년, pp.224 - 236  

김지태 (단국대학교 치과대학부속 치과병원 교정학교실) ,  이진우 (단국대학교 치과대학부속 치과병원 교정학교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정상교합자의 치열궁과 기저골 형태를 파악하기 위해 시행하였다. 정상교합자 27명(남-15명: 25Y $10M{\pm}4Y$ 4M/여-12명: 26Y $1M{\pm}7Y$ 4M)을 대상으로 두개골의 전산화 단층촬영을 시행하고 입체영상을 제작한 뒤, 상악 중절치의 FA point의 중점을 원점으로 하는 3차원 좌표계를 형성하였다. 또한 상악 교합평면과 평행한 면으로 절단하여 상하악의 치열궁과 기저골의 형태에 대해 분석하였다. 상하악기저골은 A point, B point 부위와 양측 제1대구치 부위의 좌표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상하악의 치열궁은 기저골악궁에 비해 전치부에서 순측으로 위치하였다. 또한 치열궁과 기저골악궁의 협설측 교차는 상악은 대구치 부위에서, 하악은 소구치 부위에서 이루어졌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dental and basal arch forms in patients with normal occlusion using the computed tomography (CT) imaging method. Methods: CT images were taken from 27 normal occlusion subjects (male, 15; female, 12) and these images were reconstructed into th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10,16 또한 Park과 Lee11의 연구에서도 전산화 단층촬영을 이용하여 III급 환자와 정상교합자의 상하악기저골의 횡적인 관계를 평가하였으나 상하악골 사이의 관계를 밝히지는 못한 한계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전산화 단층촬영영상과 3차원 좌표계를 이용하여 정상교합자의 기저골, 치열궁 형태를 파악하고, 이들의 상호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향후 부정교합자의 교정진단 및 치료에서 기저골과 치열의 관계를 수립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기저골을 의미하는 단어에는 무엇이 있는가? 치조골의 기저 부위에 대한 정의는 아직 문헌상 확실하게 결정되지 않았다. 기저골을 의미하는 단어들은 apical bone, basal bone, basal arch와 supporting bone 등이 있으나 해부학적인 용어가 아니며 이것들은 오직 치의학 분야에서만 사용되고 있다. A point와 B point는 기저골을 설명하는 대표적인 계측점으로서 측모 두부 방사선사진상에서 상하악골의 외형상 가장 concave하게 들어간 점을 의미하며 기저골의 형태를 나타내는 지표로서 사용되었다.
성공적인 치료와 안정적인 유지를 위해서 기저골과 치열궁의 크기와 형태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한 이유는? 치료결과를 안정성 있게 유지하기 위해서는 정교한 교합과 근육과의 균형을 재창조해야 하고, 적절한 치아 경사도를 가져야 하며,2,3 기저골과 조화를 이루는 범위 안에서 치아를 이동시켜야 한다.4 즉 환자의 기저골의 형태와 조화를 이룬 치열궁을 재창조하는 것이 안정된 교합을 형성하기 위해서 필수적이라 할 것이다. 이때 기저골이 수용할 수 있는 범위를 넘어선 치아이동은 치근흡수, 치조골 손상으로 인한 치은 퇴축을 야기할 수 있으며,5 교정치료 후 치료결과의 안정성이 낮아지는 원인을 제공하게 된다.6 그러므로 성공적인 치료와 안정적인 유지를 위해서 기저골과 치열궁의 크기와 형태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교정치료의 중요한 목적은? 교정치료의 중요한 목적은 악안면의 기능과 심미성을 회복하고 그 결과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것이다. 상하악골 간의 관계와 악골과 치아와의 관계 등에 관심을 가지고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으며, Nasion을 기준으로 A point, B point 및 상하악 전치의 관계를 평가한 Steiner19 분석법은 상하악골의 관계를 평가하는데 주요한 지표로서 적용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Proffit WR, Fields HW, Sarver DM. Contemporary orthodontics. 4th ed. St Louis: Mosby; 2007. p. 3-23. 

  2. Proffit WR. Muscle pressures and tooth position: North American whites and Australian aborigines. Angle Orthod 1975;45:1-11. 

  3. Tweed CH. The Frankfort-mandibular plane angle in orthodontic diagnosis, classification, treatment planning, and prognosis. Am J Orthod Oral Surg 1946;32:175-230. 

  4. Lundstrom AF. Malocclusion of the teeth regarded as a problem in connection with the apical base. Int J Orthod Oral Surg Radiogr 1925;11:1022-42. 

  5. Betts NJ, Vanarsdall RL, Barber HD, Higgins-Barber K, Fonseca RJ. Diagnosis and treatment of transverse maxillary deficiency. Int J Adult Orthodon Orthognath Surg 1995;10:75-96. 

  6. Strang RH. The fallacy of denture expansion as a treatment procedure. Angle Orthod 1949;19:12-22. 

  7. Tweed CH. A philosophy of orthodontic treatment. Am J Orthod Oral Surg 1945;31:74-103. 

  8. Sergl HG, Kerr WJ, McColl JH. A method of measuring the apical base. Eur J Orthod 1996;18:479-83. 

  9. Ahn HS, Cha KS. A study on maxillary basal bone morphology in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requiring orthognathic surgery. Korean J Orthod 1995;25:577-85. 

  10. Ko SD, Cha KS. A study on the labial & buccal surface contour in Korean permanent teeth using three-dimensional laser scanning. Korean J Orthod 2002;32:275-91. 

  11. Park HC, Lee JW. Study of horizontal skeletal pattern and dental arch in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patients. Korean J Orthod 2008;38:358-70. 

  12. Baumrind S, Frantz RC. The reliability of head film measurements. 1. Landmark identification. Am J Orthod 1971;60:111-27. 

  13. Bergersen EO. Enlargement and distortion in cephalometric radiography: compensation tables for linear measurements. Angle Orthod 1980;50:230-44. 

  14. Jeon KJ, Park H, Lee HC, Kim KD, Park CS. Reproducibilities of cephalometric measurements of three-dimensional CT images reconstructed in the personal computer. Korean J Oral Maxillofac Radiol 2003;33:171-8. 

  15. Cavalcanti MG, Haller JW, Vannier MW. Three-dimensional computed tomography landmark measurement in craniofacial surgical planning: experimental validation in vitro. J Oral Maxillofac Surg 1999;57:690-4. 

  16. Lee SK, Kwon OW, Sung JH. A study on the dental arch characteristics of bialveolar protrusion patients using a three-dimensional digital model. Korean J Orthod 2006;36:45-54. 

  17. Kim NR, Kim YI, Park SB, Hwang DS. Three dimensional cone-beam CT study of upper airway change after mandibular setback surgery for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patients. Korean J Orthod 2010;40:145-55. 

  18. Kim KD, Ruprecht A, Wang G, Lee JB, Dawson DV, Vannier MW. Accuracy of facial soft tissue thickness measurements in personal computer-based multiplanar reconstructed computed tomographic images. Forensic Sci Int 2005;155:28-34. 

  19. Steiner CC. Cephalometrics for you and me. Am J Orthod 1953;39:729-55. 

  20. Jacobson A. The "Wits" appraisal of jaw disharmony. Am J Orthod 1975;67:125-38. 

  21. Chan GK. A cephalometric appraisal of the Chinese (Cantonese). Am J Orthod 1972;61:279-85. 

  22. Yang HB. A study on the dental arch characteristic for bracket positioning of bicuspid extraction cases (thesis). Cheonan: Dankook University; 1996. 

  23. Yim JB. Three dimensional analysis of the dental arches in Korean adult with normal occlusion (thesis). Cheonan: Dankook University; 1999. 

  24. Lee DS. Three dimensional analysis of dental arch and basal structure in Korean adult with angle III malocclusion (thesis). Cheonan: Dankook University; 1999. 

  25. Biggerstaff RH. Three variations in dental arch form estimated by a quadratic equation. J Dent Res 1972;51:1509. 

  26. Pepe SH. Polynomial and catenary curve fits to human dental arches. J Dent Res 1975;54:1124-32. 

  27. Han H. A study of the variances in pre- and post-treatment dental arch shapes in extraction and non-extraction cases (thesis). Cheonan: Dankook University; 1990. 

  28. Lim KH. A study of dental arch shape and dimensional change in Class II division 1 malocclusion treatment (thesis). Cheonan: Dankook University; 1997. 

  29. Lee DJ. Study on the arch form of normal occlusion after orthodontic treatment (thesis). Cheonan: Dankook University; 2002. 

  30. Shin MR. A study on the pre- and post dental arch shape changes in sectional and continuous arch technique (thesis). Cheonan: Dankook University; 199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