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등록농약의 일일섭취허용량(ADI) 설정
Establishment acceptable daily intakes(ADIs) for pesticides registered in Korea 원문보기

농약과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pesticide science, v.11 no.4, 2007년, pp.289 - 298  

이제봉 (농촌진흥청 농업과학기술원) ,  신진섭 (농촌진흥청 농업과학기술원) ,  박연기 (농촌진흥청 농업과학기술원) ,  유아선 (농촌진흥청 농업과학기술원) ,  홍순성 (농촌진흥청 농업과학기술원) ,  임건재 (농촌진흥청 농업과학기술원) ,  강규영 (경상대학교 환경생명화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국내 사용농약에 대한 ADI를 설정하기 위하여 국제기구 및 선진국의 ADI설정 기준, 설정현황 등을 조사 분석하였다. 설정기준은 설정기관 별로 유사하였으며, ADI는 국제연합(UN) 213종, 미국 332종, 일본 230종, 영국 219종, 유럽공동체 및 호주 435종의 농약에 대하여 설정되어 있었으며, 국내 등록농약은 국가별로 $87{\sim}252$종까지 포함되어 있었다. 국가별 최저 ADI값을 분석한 결과 미국이 32종으로 가장 많았으며 일본 23, 유럽연합 호주 6성분이었다. 미국에 등록된 농약의 RfD설정 시 사용된 표적장기 및 endpoint 는 효소저해, 체중변화, 간에 대한 영향 등의 순이었다. 또한 국내 MRL설정에 사용된 선진국 설정 ADI 수는 JMPR, 일본, 미국 순이었으며, 유럽연합과 JMPR의 ADI 값은 비교한 국가 중 가장 유사성이 높았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조사 분석된 선진국 및 국제기구의 ADI설정 가이드라인을 참조하여 국내 등록농약에 대한 ADI 설정 원칙을 제시하고 64종 농약에 대한 ADI를 설정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order to set ADIs for pesticides registered for use in Korea, an analysis of guidelines on setting ADIs and ADIs established by international bodies and advanced countries was conducted General guidelines on the derivation ADIs are very similar among regulatory authorities. However, there were l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대부분의 선진국들이 설정하고 있는 A이를 분석하고 우리나라에서도 국내에 등록되어 있는 농약에 대하여 체계적이고 통일된 ADI를 설정하여 소비자 위해성평가 및 위해성관리 기준의 기초 자료로 이용하고자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Andrew G. R. (2002) Pesticide residue analysis and its relationship to hazard characterization(ADI/ARfD) and intake estimations(NEDI/NESTI), Pest Manag Sci 58 : 1073-1082 

  2. Edward G. III., L. B. Karen, and M. B. Charles (2000) Comparison of U.S. EPA and JMPR safety standards for pesticides, as of June 2000 

  3. IPCS/lNCHEM (2002) JMPR monographs and evaluation : http://www.inchem.org/pages/jmpr.html 

  4. Japan/ Food Safety Commission (2007) http://www.fsc.go.jp/hyouka/ hy_nouyaku.html 

  5. UK PSD(ACP) (2003) A guide to pesticide regulation in the UK and the role of the advisory committee on pesticide 

  6. UK/PSD (2007) Mnograph : http://www.pesticides.gov.uk/psd_evaluation_all.asp 

  7. US EPA (2002) A review of the reference dose and reference concentration processes 

  8. US EPA (2002) Determination of the appropriate FQPA safety factor(s) in tolerance assessment 

  9. US EPA (2004) Acute and Chronic Reference Dose 

  10. US EPA (2004) Guidance for Hazard Identification and Toxicity Endpoint Selection 

  11. WHO/IPCS (2002) Inventory of IPCS and other WHO pesticide evaluations and summary of toxicological evaluations performed by the Joint Meeting on Pesticides Residues(JMPR) through 2002 

  12. 농림부 (2005) 농약안전사용 실무교육 

  13. 농업과학기술원 (2001-2005) 농약안전성심위위원회 소위원회 자료 

  14. 농업과학기술원 (2006) EU 국가의 농약안전성 평가관리기법 연구 

  15. 한국과학기술연구원과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 (2000) 진보된 안전성 평가와 환경호르몬 검출기법 

  16. Europa (2007) From the farm to the fork-status of active substances under the EU review. http://ec.europa.eu/food/plant/protection/pesticides/index_en.htm 

  17. United Nation (2005) Globally harmonized system of classification and labelling of chemicals(GHS)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