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가시오갈피 뿌리의 면역세포 활성 및 방사선 병용효과
Immune Cell Activation and Co-X-irradiation Effect of Eleutherococcus senticosus Maxim Root 원문보기

대한방사선종양학회지 =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eity for therapeutic radiology and oncology, v.25 no.3, 2007년, pp.185 - 191  

권형철 (전북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방사선종양학교실, 의과학연구소) ,  박정섭 (익산대학 약재개발과) ,  최동성 (우석대학교 식품생명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 가시오갈피 뿌리 추출물(Extract of Eleuthrococcus senticosus Maxim root, ESMR)의 면역세포의 활성에 미치는 효과와 마우스 종양세포에서 세포독성 및 방사선 병용효과를 알기위해서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가시오갈피 뿌리(250 g)를 80% 메탄올로 추출한 다음, 감압농축 및 동결과정을 통해 분획을 얻었다. 세포 주는 섬유육종세포를 이용하였으며, 방사선조사는 저 에너지(250 KV)용 방사선 기기를 사용 하였다. 가시오갈피 추출물의 면역세포에 미치는 활성효과를 알아보기 위해서 마우스 비장 및 흉선세포의 생존율 측정과 비장 및 흉선림프구 아집단을 측정하였다. 세포독성 정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clonogenic assay법을 이용하였다. 방사선조사 단독군의 경우 2, 4 및 6 Gy를 마우스 섬유육종세포(FSa II)에 조사하였으며, 가시오갈피와 방사선 병용군의 경우 0.2 mg/ml 농도의 가시오갈피를 방사선조사 1시간 전에 마우스 섬유육종세포에 접촉시켰다. 결 과: 가시오갈피 /뿌리 추출물 각각 10 ${\mu}g/ml$$100{\mu}g/ml$을 첨가한 마우스 비장 및 흉선세포 생존율은 다음과 같았다. 마우스 비장세포는 각각 $8.8{\pm}1.7%$$37.7{\pm}2.1%$로 증가하였으며, 흉선세포에서는 100 ${\mu}g/ml$에서 $16.7{\pm}1.6%$로 증가하였다. ESMR을 경구 투여한 마우스 비장 및 흉선림프구는 다음과 같았다. 마우스 비장세포의 B cell은 41.5 $({\pm}1.3)$에서 46.0 $({\pm}1.5)%$로, T cell은 16.9 $({\pm}0.9)$에서 22.3 $({\pm}1.2)%$로 증가하였으며, 특히 Helper T (Th) cell은 10.4 10.4 $({\pm}0.7)$에서 14.2 $({\pm}0.8)%$로, Cytotoxic T (Tc) cell은 3.6 $({\pm}0.4)$에서 5.6 $({\pm}0.3)%$로 증가하였다. 그러나 마우스 흉선세포에서 T림프구의 증가율은 거의 보이지 않았다. 마우스 섬유육종 세포에서 ESMR의 세포독성을 나타내는 생존분율은 0.2, 2.0 mg/m에서 각각 $0.36{\pm}0.02$, $0.05{\pm}0.02$으로 나타났다. 마우스 섬유육종 세포를 접종한 마우스에 ESMR 0.2 mg/ml 농도를 1시간 동안 접촉시킨 다음, 방사선조사량 2, 4 및 6 Gy를 조사한 후 얻은 생존분물은 0.39, 0.22 및 0.06이었으며, 방사선조사 단독군의 경우는 0.76, 0.47 및 0.37로 나타났다. 그리고 두 군간의 차이는 통계학적 의미를 나타냈다(p<0.05). 결 론: 가시오갈피 뿌리 추출물은 in vitro 실험에서 마우스 비장세포의 생존율을 증가시켰다. In vivo 실험에서는 마우스 비장 내 B세포 및 T세포를 증가시켰으나, 마우스 흉선세포에 대해서는 증가를 보이지 않았다. ESMR은 마우스 섬유육종 세포에 대해 강한 세포독성 효과를 나타냈다. FSa II를 접종한 마우스에서 방사선 단독 보다 ESMR을 병용한 경우 방사선에 의한 세포손상이 약 50% 이상 증가되었으며, 두 군간의 차이는 통계학적 의미를 나타냈다(p<0.05).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immune cell activation and the antitumor effect for the combination of treatment with X-irradiation and E/eutherococcus senticosus Maxim Root (ESMR) on mouse tumor cells. Materials and Methods: ESMR (250g) was extracted with 80% methan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ESMR의 비장 및 흉선세포의 증식, 면역세포 아집단에 미치는 효과와 마우스 섬유육종 세포(Fsa II)에 대한 세포독성효과를 관찰하였다. 또한 과다한 방사선량은 암세포뿐만 아니라 다른 정상세포를 괴사시키는데, 적은 방사선량으로 같은 효과를 나타내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ESMR과 방사선을 병용하여 마우스 섬유육종 세포에 대한 세포독성을 관찰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생산되는 가시오갈피 뿌리 추출물의 면역세포의 활성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고자 마우스 비장 및 흉선세포의 증식과 면역세포 아집단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였고, 마우스 종양세포에서 항종양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시험관 내 가시오갈피 및 방사선조사 병용과 방사선 조사 단독 상황에서 세포독성효과를 관찰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http://rex.nci.nih.gov/NCI_Pub_Interface/raterisk/rates28.html 

  2. Breckhmann II, Dardymov ID. New substances of plant origin which increase nonspecific resistance. Ann Rev Pharmacol 1969;9:419-430 

  3. Davydov M, Kirkorian AD. Eleutherococcus senticosus (Rupr. & Maxim.) Maxim. (Araliaceae) as an adaptogen: a closer look. J Ethnopharmacol 2000;72:345-393 

  4. Deyama T, Nishibe S, Nakazawa Y. Constituents and pharmacological effects of Eucommis and Siberian ginseng. Acta Pharmacol 2001;22:1057-1070 

  5. Ruijun Z, Jinkang Q, Gnanghua Y, Baozhen W, Xiulan W. Medicinal protection with Chinese herb-compound against radiation damage. Aviation, Space Environ Med 1990;61:729-731 

  6. Hibasami H, Fugikawa T, Takeda S, et al. Induction of apoptosis by Acanthopanax senticosus HARMS and its component, sesamin in human stomach cancer KATO III cells. Oncol Rep 2000;7:1213-1216 

  7. Strel'chuk SI. Anti mutagenic effect of Eleutherococus extracts plants treated with ethylmethane sulfonate. Tsitol Genet 1987;21:136-139 

  8. Salikhova RA, Umnova NV, Fomina MM, Poroshenko GG. An anti mutagenicity study of bio-ginseng. Izvestiia Akademii Nauk. Serria Biologicheskaia 1994;1:48- 55 

  9. Park JS, Oh CH, Ko HY, Choi DS. Anti mutation effect of Eleutherococcus senticosus. Extract J Korean Soc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2002;34:1110- 1114 

  10. Park JS, Ahn BY, Ko HY, Choi DS. Anti mutation effect of Eleutherococcus senticosus Extract against direct mutational source. Korean J Biotechnol Bioeng 2003;18:165-170 

  11. Kwon HC, Kim JS. Antitumor effect of korean ginseng: cytotoxicity and tumor growth delay (1). The Jeonbuk University Medical Journal 1996;20:97-102 

  12. Kwon HC, Kim JS, Choi KC, Choi DS, Song CW. Antitumor effect of Ganoderma lucidum; Cytotoxicity and Tumor growth delay (1). J Korean Soc Ther Radiol 1994;12:301-305 

  13. Mosmann T. Rapid colorimetric assay fot cellulat growth and survial application to proliferation and cytotoxic assays. J Immunol Methods 1983;65:55-63 

  14. Shortman K, Backson H. The differentiation of T lymphocytes, proliferation kinetics and interrelationships of subpopulations of mouse thymus cells. Cell Immunol 1974;12:230-246 

  15. Rhee JG, Schuman VL, Song CW. Difference in the thermotolerance of mouse mammary carcinoma cells in vivo and vitro. Cancer Res 1997;47:2571-2575 

  16. Hall EJ. Radiobiology for the radiobiologist. 3rd ed. Philadelphia, PA: JB Lipoincott Co. 1998:18-38 

  17. Jang SK, Kim JH, Jeong YS. Immune activity and antitumor effect of Korean red ginseng. Korean J Ginseng Sci 1994;18:151-159 

  18. Nakata, H, Kikuchi Y, Tode T. Inhibitory effects of ginsenoside Rh2 on tumor growth in nude mice bearing human ovarian cancer cells. Jpn J Cancer Res 1998;89:733-740 

  19. Shim SH, Koh HY. Polyacetylene compound from Panax Gin-seng C.A. Meyer. Korean J Ginseng Sci 1983;4:183-188 

  20. Kim SJ, Chang KS. Separating of Falcarinol from Acanthopanax senticosus. Korean J Food Sci Technol 2005;37:360-363 

  21. Hiroaka, N, Chang, JI, Bohm RL, Bohm BA. Furanocoumarin and polyacetylenic compound composition of wild Glehnia littoralis in North America. Biochem System Ecol 2002;30:321-325 

  22. Sohn HJ, Jand GC, Rah HH. Lee KS. Occurrence of falcarinol (n-heptadeca-1,9-dien-4,6-diyn-3-ol) in the umbelliferous plants. J Korean Agric Chem Soc 1990; 33:120-12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