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PVDF 접합제 농도 변화와 탄소나노섬유 전극의 전기화학적 특성
Electrochemical Properties of Carbon Nanofiber Electrode with Different PVDF Binder Concentration 원문보기

한국수소 및 신에너지학회 논문집 = Transactions of the Korean Hydrogen and New Energy Society, v.18 no.4, 2007년, pp.446 - 451  

최원경 (단국대학교 공업화학과) ,  조태환 (단국대학교 공업화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carbon nanofibers were evaluated as a supercacitor electrode materials could store electrochemical energy reversibly. A capacitance of carbon nanofiber electrode was increased gradually, depending on the PVDF binder ratio. A feasibility of EDLC electrode was estimated w...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Mesopore를 갖는 탄소나노섬유를 이용한 전기화학적인 커퍼시터 전극 재료로 사용하기 위해서 접합제의 혼합비율 변화에 따른 전기화학적인 특성을 평가했다.
  • 본 연구에서는 탄소나노섬유를 이용한 EDLC 전극의 제조방법을 개발하는 것으로 전극활물질로 사용하는 탄소나노섬유를 금속 집전체에 안정하게 결합시키고 전극 활물질과 탄소 전도제의 매트릭스 구조체를 형성시키는 방법을 개발하는 것이다. 접합제로 널리 사용되는 소수성 고분자 물질 PVDF의 혼합비율에 관한 체계적인 조사를 실시하여 전해질 내에서 사이클 반복에도 안정한 전극구조를 유지할 수 있는 조건을 찾기 위해 본 연구를 실시한다.
  • 본 연구에서는 탄소나노섬유를 이용한 EDLC 전극의 제조방법을 개발하는 것으로 전극활물질로 사용하는 탄소나노섬유를 금속 집전체에 안정하게 결합시키고 전극 활물질과 탄소 전도제의 매트릭스 구조체를 형성시키는 방법을 개발하는 것이다. 접합제로 널리 사용되는 소수성 고분자 물질 PVDF의 혼합비율에 관한 체계적인 조사를 실시하여 전해질 내에서 사이클 반복에도 안정한 전극구조를 유지할 수 있는 조건을 찾기 위해 본 연구를 실시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supercapacitor의 개발 배경은? 정전기 발생의 관찰에서 시작한 전기에너지에 대한 관심은 정전기를 저장하고 꺼내어 쓸 수 있는 축전지의 발전을 가져왔고, 휴대용 전자기기의 사용이 보편화 되어가는 지금 전기화학 축전지는 2차전지와 더불어 고출력 에너지 저장 장치로서 그 중요성이 더욱 커져가고 있다1-3). Ni-MH 전지, Li-ion 전지 등 고에너지밀도 저장 장치인 2차전지의 단점을 보완하는 장치의 필요성 증대에 따라 에너지 출력 밀도가 우수한 가역적 전기에너지 저장, 변환 장치로 supercapacitor가 개발되었다.
supercapacitor란 무엇인가? 2전지와 더불어 고출력의 에너지 저장 매체로 주목 받고 있는 supercapacitor는 전극/전해질 계면부근의 전기이중층에서 정전기적 인력에 의한 전하의 분리에 의해 발현되는 전기화학적 이중층 용량 및 가역적인 faradaric 산화/환원 반응에 의한 pseudocapacitance를 이용하여 전하를 저장하는 장치이다. supercapacitor는 두 종류로 나눌 수 있고 그 중 하나인 전기이중층 축전지(EDLC)는 전극활물질로 활성탄이 주로 사용되고 있으며 전기화학적 이론치에 도달하지 못하는 축전용량을 나타낸다.
Mesopore를 갖는 탄소나노섬유를 이용한 전기화학적인 커퍼시터 전극 재료로 사용하기 위해서 접합제의 혼합비율 변화에 따른 전기화학적인 특성을 평가한 결과는 어떻게 나타났는가? 1) 탄소나노섬유의 형태학적인 모습이 꼬임이 없이 결정성이 우수한 나노구조로 이루어진 것이 확인되었고 표면에 mesopore가 존재하는 섬유 구조로 탄소 파편이 거의 없는 것으로 밝혀져 수용액 전해질에서 전기화학적 흡착을 이용한 전극재료로서 적당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2) 전기이중층의 형성으로 인한 capacitance의 변화는 첨가물인 PVDF 접합제의 비율에 따라 변하였으며 5 wt.%의 첨가비율에서 가장 높은 capacitance가 나타났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M.Winter, R. J. Brodd, 'What Are Batteries, Fuel Cells, and Supercapacitors?', Chem. Rev., Vol. 104, 2004, pp. 4245-4269 

  2. 김종휘, '전기화학 커패시터', Journal of the Korean Electrochemical Society, Vol. 10, No. 1, 2007, pp. 36-42 

  3. E. Frackowiaka, F. Beguin, 'Carbon materials for the electrochemical storage of energy in capacitors', Carbon, Vol. 39, 2001, pp. 937-950 

  4. C.Kim, J. -S. Kim, S. -J. Kim,W. -J. Lee and K. -S. Yanga, 'Supercapacitors Prepared from Carbon Nanofibers Electrospun from Polybenzimidazol', Journal of The Electrochemical Society, Vol. 151, No. 5, 2004, pp. A769-A773 

  5. S. -H. Yoon, S. Lim, Y, Song, Y. Ota,W. Qiao, A. Tanaka, I. Mochida, 'KOH activation of carbon nanofibers', Carbon, Vol. 42, 2004, pp. 1723-1729 

  6. J. H. Park, O. O. Park, K. H. Shin, C. S. Jin and J. H. Kim, 'An Electrochemical Capacitor Based on a $Ni (OH)_ 2$ /Act ivated Carbon Composi te Electrode', Journal of The Electrochemical and Solid-State letters, Vol. 5, No. 2, 2002, pp. H7-H10 

  7. H. Nakagawa, A. Shudo and K. Miura, 'High-Capacity Electric Double-Layer Capacitor with High-Density-Activated Carbon Fiber Electrodes', Journal of The Electrochemical Society, Vol. 147, No. 1, 2000, pp. 38-42 

  8. S. -U. Kim, K. -H. Lee, 'Carbon Nanofiber Composites for the Electrodes of Electrochemical Capacitors', Chemical Physics letters, Vol. 400, No. 1-3, 2004, pp. 253-257 

  9. C. Kim, K. S. Yang, 'Electrochemical Properties of Carbon Nanofiber Web as an Electrode for Supercapacitor Prepared by Electrospinning', Applied Physics letters, Vol. 83, No. 6, 2003, pp. 1216-1218 

  10. M. A. Murphy, G.D.Wilcox, R. Dahm, F. Marken, 'Adsorption and redox processes at carbon nanofiber electrodes grown onto a ceramic fiber backbone', Electrochemistry Communications, Vol. 5, 2003, pp. 51-55 

  11. C. Kim, S. -H. Park, W. -J. Lee, K. -S. Yang, 'Characteristics of supercapaitor electrodes of PBI-based carbon nanofiber web prepared by electrospinning', Electrochimica Acta, Vol. 50, 2004, pp. 877-881 

  12. S. Lee, T.-R. Kimb, A. Ogale, M.-S. Kim, 'Surface and structure modification of carbon nanofibers', Synthetic Metals, Vol. 157, 2007, pp. 644-65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