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통영 바다목장 해역의 종속영양세균 군집의 연차적 분포
Annual Distribution of Heterotrophic Bacterial Community in the Marine Ranching Ground of Tongyeong Coastal Waters 원문보기

환경생물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v.25 no.3, 2007년, pp.273 - 278  

김말남 (상명대학교 생물학과) ,  이한웅 (상명대학교 생물학과) ,  이진환 (상명대학교 생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 $2003{\sim}2007$ ]년 통영 바다목장 해역 5개 정점을 대상으로 표층수와 저층수의 종속영양세균의 개체수를 측정하고, 종속영양세균 군집의 종조성 및 우점종을 분석하였다. 종속영양세균은 겨울이나 봄 및 가을에 비하여 해수의 온도가 높은 여름에 더 많이 검출되었으며, 정점별 변화는 특별한 변화 경향이 없었다. 2003년 10월 및 2004년 9월에는 태풍과 집중호우의 영향으로 표층수와 저층수의 개체수가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거나 저층수의 개체수가 표층수보다 오히려 더 많은 경우도 있었다. 통영 바다목장 해역의 종속영양세균 개체수는 해를 거듭할수록 감소하는 추세를 나타내었다. 종속영양세균 군집의 종조성은 Pseudomonas fluorescens TY1, Pseudomonas stutzeri TY2, Acinetobacter lwoffii TY3, Sphingomonas paucimobilis TY4, Burkholderia mallei TY5, Pasteurella haemolytica TY6, Pasteurella multocida TY7, Comamonas acidovorans TY8, Actinobacillus ureae TY9 및 Chryseobacterium indologenes TY10으로 조사되었고, P. fluorescens TY1과 A lowffii TY3이 우점종으로 분석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cell numbers of heterotrophic bacteria inhabiting the surface and bottom sea water harvested from the 5 stations in the marine ranching ground of Tongyeong coastal waters in $2003{\sim}2007$ were examined, and species composition of the heterotrophic bacterial population and dominant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2003~ 2006년 조사 시기 중에서 종속영양세균의 개체 수가 가장 많은 1개 정점의 표층수를 대상으로 배양 후 SWNA 평판배지에서 콜로니를 선별하여 순수분리하고 그람염색성, 형태적 특성 및 VITEK Microbe Identifi cation System (BioMerieux) 을 이용한 생화학적 성상시험을 통하여 동정한 후, 군집의 종조성과 우점종을 분석하였다.
  • 또한 장 등(2000)과 김 등(2004)이 보고한 2000~2002년사이의 통영 바다목장 해역의 종속영양세균 조사 결과를 본 연구결과와 함께 비교.분석하여 종속 영양 세균 군집의 계절 및 정점별 연차적 변화에 대한 종합적인 분석을 실시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2003~2007년 통영 바다목장 해역의 표층수와 저층수의 5개 정점을 대상으로 종속영양 세균의 개체수를 측정하고, 2003 ~2006년 1개 정점에서 종속영양 세균 군집의 종조성 및 우점종을 분석하였다. 또한 장 등(2000)과 김 등(2004)이 보고한 2000~2002년사이의 통영 바다목장 해역의 종속영양세균 조사 결과를 본 연구결과와 함께 비교.
  • 또한 장 등(2000)과 김 등(2004)이 보고한 2000~2002년사이의 통영 바다목장 해역의 종속영양세균 조사 결과를 본 연구결과와 함께 비교.분석하여 종속 영양 세균 군집의 계절 및 정점별 연차적 변화에 대한 종합적인 분석을 실시하였다.
  • 통영 바다목장 해역 5개 정점 (정점 2, 3, 5, 7 및 9)의표층수와 저층수를 대상으로 2003~2007년 사이에서 연차별로 종속영양세균 조사를 실시하였다. 시료는 표층수의 수심 0.
  • 통영 바다목장 해역에서 각각 2003~2007년에 조사한 종속영양세균의 계절적인 분포 추이를 연차적으로 비교 . 분석한 결과이다(Figs.

대상 데이터

  • 종속영양세균 조사를 실시하였다. 시료는 표층수의 수심 0.5m에서, 저층수에서는 해저 Im 상부에서 각각 50mL씩 채집하였다.

데이터처리

  • 1 mL씩 분주 . 도말하고 15±2℃에서 5±2일간 배양한 후 평판계수법 (Aliena 2005)에 따라 콜로니 수를 계수하였으며, 3회 반복실험을 통하여 평균값과 표준편차를 측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강종호, 류정곤. 2003. 통영 바다목장의 유통체제 구축과 상품화 계획에 관한 연구. 한국수산경영학회지. 34:91-107. 

  2. 강 헌, 여환구. 2001. 연안해역에서 분변오염의 생화학적 지표(coprostanol)에 관한 연구. 한국해양환경공학회지. 4:40-52 

  3. 김말남, 임아현, 이진환, 김종만. 2004. 통영 바다목장 해역의 종속영양세균의 계절적 변화. 환경생물. 22:75-82 

  4. 김정배, 이상용, 유 준, 최양호, 정창수, 이필용. 2006. 가막만 빈산소 수괴의 특성. 한국해양환경공학회지. 9:216-224 

  5. 박경동, 강용주. 2007. 통영 바다목장에 서식하는 조피 볼락, Sebastes schlegeli의 연령과 성장. 한국어류학회지. 19:35-43 

  6. 손재학, 안태영, 김상진. 2000. 마산만과 행암만 수층의 종속 영양세균과 엽록소 a 함량 분포에 미치는 환경요인. 한국해양환경공학회지. 3:65-75 

  7. 신재기, 박경미, 황순진, 조경재. 2001. 경안천과 팔당호에서 총세균의 분포 및 동태. 육수지. 34:119-125 

  8. 안태석, 최승익, 변명섭, 박호완. 1998. 소양호에서 세균수와 세균 체적의 계절적 수심별 변화. 육수지. 31:186-190 

  9. 장지철, 김말남, 이진환, 김종만. 2000. 통영 바다목장 해역의 미생물 분포. 환경생물. 18:403-409 

  10. 정규진, 신석우. 1996. 여수연안 및 동중국해의 세균상,1. 일반 세균, Vibrio spp., 대장균군 균수에 따른 수평분포. 한국수산학회지. 29:9-16 

  11. 최민순, 심현빈, 정경민. 2000. 군산 내만의 해양수에서 분리되는 세균의 분포, 한국어병학회지. 13:67-73 

  12. Allena MJ, SC Edbergb and DJ Reasonerc. 2005. Heterotrophic plate count bacteria-what is their significance. Int. J. Fd. Microbiol. 92:265-274. 

  13. Almeida A, A Cunha, S Fernandes, P Sobral and F Aleantara. 2007. Copper effects on bacterial activity of estuarine silty sediments. Estuarine, Coastal and Shelf Sci. accepted 19 March 2007 

  14. David PS. 2004. Heterotophic plate count monitoring of treated drinking water in the UK: A useful operation tool. Int. J. Fd. Microbiol. 92:297-306 

  15. Garcia AM, DJ Hoeinghaus, JP Vieira and KO Winemiller. 2007. Isotopic variation of fishes in freshwater and estuarine zones of a large subtropical coastal lagoon. Estuarine, Coastal and Shelf Sci. 73:399-408 

  16. Jana TK, RD Banerjee and BB Jana. 2007. Responses of some biogeochemical cycling bacteria and theiractivities to management protocols under poly culture with Indian major carps and freshwater giant prawn. Aquaculture 264: 184-196 

  17. Jiao N, Y Zhang, Y Zeng, WD Gardner, AV Mishonov, MJ Richardson, N Hong, D Pan, XH Yan, YH Jo, CTA Chen, P Wang, Y Chen, H Hong, Y Bai, X Chen, B Huang, H Deng, Y Shi and D Yang. 2007. Ecological anomalies in the East China Sea: Impacts of the Three Gorges Dam? Waters Res. 41:1287-1293 

  18. Kirchman DL, RR Malmstorm and MT Cottrell. 2005. Control of bacterial growth by temperature and organic matter in the Western Arctic. Deep-Sea Res. II. 52:3386-3395 

  19. Morelissen Band CDG Harley. 2007. The effects of temperature on producers, consumers, and plant-herbivore interactions in an intertidal community. J. Exp. Mar. Biol, Ecol. 348:162-173 

  20. Pavlov D, CME de Wet, WOK Grabow and MM Ehlers. 2004. Potentially pathogenic features of heterotrophic plate count bacteria isolated from treated and untreated drinking water. Int. J. Fd. Microbiol. 92:275-287 

  21. Schneider O, V Sereti, EH Eding and JAJ Verreth. 2007. Heterotrophic bacterial production on solid fish waste: TAN and nitrate as nitrogen source under practical RAS conditions. Bioresour. Technol. 98:1924-1930 

  22. Siewicki TC, T Pullaro, W Pan, S McDaniel, R Glenn and J Stewart. 2007. Models of total and presumed wildlife sources of fecal coliform bacteria in coastal ponds. J. Environ. Manage. 82:120-132 

  23. Thingstad TF, H Havskum, UL Zweifel, E Berdaiet, MM Sala, F Peters, M Alcaraz, R Scharek, M Perez and S Jacquet. 2007. Ability of a 'minimum' microbial food web model to reproduce response patterns observed in mesocosms manipulated with Nand P, glucose, and Si. J. Marine Syst. 64:15-34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