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산성광산배수로 인한 환경오염도 조사
Environmental Contamination from Acid Mine Drainage 원문보기

지질공학 =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v.17 no.1 = no.50, 2007년, pp.143 - 150  

강미아 (안동대학교 환경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폐광산으로부터 발생하는 산성광산배수는 인근의 물환경과 토양환경을 오염시킴으로써 사람에게 건강상 유해성을 간접적으로 나타내는 오염원이다. 본 연구에서는 45일간의 연속용출실험을 통해 폐광산 인근 토양에 함유된 As, Mn 및 Zn의 용출 및 흡착반응을 명확히 밝혔다. 용출 및 흡착반응에는 용액의 pH와 산화환원전위가 함께 작용하여 물환경내에서의 중금속류의 화학적 존재형태를 지배하고 이것이 용출 및 흡착반응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매우 가까운 위치에서 시료를 채수한다 하더라도 함유되어 있는 중금속의 수준은 매우 다를 뿐 만 아니라 산화환원상태도 상이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폐광산 및 광산주변의 토양으로부터 발생하는 산성배수가 미치는 환경오염의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pH뿐 만 아니라 산화환원상태도 함께 고려되어야 한다. 또한 경과시간에 따른 용출 및 흡착반응을 고찰하면서 적절한 산성배수의 관리를 시행한다면, 보다 경제적인 해결방안을 모색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MD (Acid mine drainage) from disused mines is one or the most significant pollutant problems to make harmful effect to human health. We demonstrated the mechanism of resolution and adsorption reaction for arsenic, manganese and zink from the soil and mine tailings which were located in the vicinity...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경남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일광광산의 3개 지점을 대상으로 인근 토양 및 광미를 이용하여 용출시험을 실시하고, 산성배수의 조건을 반영하여 용출액의 pH를 산성, 중성 및 염기성으로 구분하여 용출 정도를 분석하여 이들이 인근 토양 및 지하수에 미치는 수준을 평가함으로써 산성배수로 인해 발생 가능한 직접적 위해수준평가를 위한 지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강미아, 2003, 지하수에 의한 비소노출과 건강 위해도저감에 관한 방글라데시의 사례 연구, 국립환경연구원 환경의 날 기념 국제세미나, pp. 1-23 

  2. 강미아, 김광태, 2005, 하천수 및 정수공정에서의 비소관리를 위한 대체인자 개발, 한국물 환경학회지, 21(6), pp. 659-663 

  3. 이재영, 강미아, 2006, 미규제 수질인자를 이용한 정수공정의 효율성 평가, 대한지질공학회지 16(2), pp.153-159 

  4. 정명채, 2004, Successive Alkalinity Producing System(SAPS)을 이용한 폐석탄광의 산성광산폐수처리, 대한환경공학회지, pp.1204-1210 

  5. 지상우, 고주인, 강희태, 김재욱, 김선준, 2003, 광산배수 오염평가 기준도출에 관한 연구, 2003년 한국지하수 토양환경학회 추계학술발표회, pp.382-385 

  6. 황정성, 최상일, 장민, 2004, 비소로 오염된 토양에 대한 토양세척기법의 적용성 연구, 한국 지하수토양학회지, 9(1), pp. 104-111 

  7. 환경관리공단 최종보고서, 2005, 폐수배출업소 오염물질 자동감시시스템 구축방안 수립을 위한 연구 

  8. 定性分析化學II, 共立全書, 1964 

  9. Down, C. G., Stocks, J., 1997, Environmental impacts of mining, Applied Science Publishers, London, 371 

  10. Eger, P., Wagner, J., Kassa, Z., Melchert, G., 1994, Metal removal in wetland treatment systems, Proceedings of the International Land Reclamation and Mine Drainage Conference/Thir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the Abatement of Acidic Drainage, Pittsburgh, PA, pp. 80-88 

  11. European Norm, ISO-CEN EN484, 1997(November), Guidelines for the determination of total organic carbon(TOC) and dissolved organic carbon(DOC) 

  12. Filipek, L.H., Hatton, C., Gusek, J., Tsukamoto, T., 2003, Passive treatment of acid rock drainage(ARD): state of the practice, Proceedings of the Tenth International Conference of Tailings and Mine Waste, Colorado, USA, pp. 293-303 

  13. Fiset, J.E, Zinck, J.M., Nkinamubanzi, P.C., 2003, Chemical stabilization of metal hydroxide sludge, Proceeding of the X International Conference of Tailings and Mine Waste, Vail, CO, USA, M Balkema, pp. 329-332 

  14. G. Visco. L. Campanella, V. Nobili, 2005, Organic carbon and TOC in waters : an overview of the international norm for its measurements, Microchemical Journal 79, pp. 185-91 

  15. Gazea, B. K, Adam, A. K, 1996, A review of passive systems for the treatment of acid mine drainage, Miner. Eng., 9, pp. 23-42 

  16. Kevina B. Hallberg, D. Barrie Johnson, 2005, Microbiology of a wetland ecosystem constructed to remediate mine drainage from a heavy metal mine, Science of Total Environment 338, pp. 53-66 

  17. Maier., J. M., McConnel, H., L., 1974, Water pollut. cont., Fedn, 46, pp. 623 

  18. Meea Kang, Mutsuo Kawasaki, Sinya Tamada, Tasuku Karnei, Yasumoto Magara, 2000, Effect of pH on the removal of arsenic and antimony using reverse osmosis membranes, DESALINATION 131, pp. 293-298 

  19. Meea Kang, 2001, Removal of Hazardous Antimoyand Arsenic in Water using Low pressure Nanofiltration Membranes, Doctoral Thesis, Hokkaido University, Japan 

  20. Olivier Thomas, Frederic Theraulaz, Victor Cerda, Danial Constant, Philippe Quevauviller, 1997, Wastewater quality monitoring, Trend in analytical chemistry 16(7), pp. 419-423 

  21. Pedro Serio Fadini, Wilson F. Jardim and Rose Roberto Guimaraes, 2004, Evaluation of organic load measurement techniques in a sewage and waste stabilisation pond,, J. Braz. Chem. Soc. 15(1), pp. 131-135 

  22. Salomons A, W., 1995, Environmental impact of metals derived from mining activities: Processes, predictions, preventioin, J. Geochem. Explor., 52, pp. 5-23 

  23. Viraraghavan T., Kikken S.R., 1988, Peat filtration of food processing wastewater, BioI. waste 26, pp.151-155 

  24. Yuko Sato, Meea Kang, Tasuku Kamei, Yasumoto Magara, 2002, Performance of nanofiltration for arsenic removal, Water Research 36, pp. 3371-337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