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폴리스티렌/혼합용매 계에서 사슬의 팽창에 대한 새로운 스케일링 파라미터의 적용
Application of a New Scaling Parameter to Chain Expansion in the Systems of Polystyrene/Mixed Solvents 원문보기

폴리머 = Polymer (Korea), v.31 no.2, 2007년, pp.98 - 104  

박일현 (금오공과대학교 고분자공학과) ,  이동일 (금오공과대학교 고분자공학과) ,  황미옥 (금오공과대학교 고분자공학과) ,  유영철 (금오공과대학교 고분자공학과) ,  박기상 (금오공과대학교 고분자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다양한 분자량의 폴리스티렌을 벤젠/n-헵탄, 1,4-다이옥산/이소프로판올, 1,4-다이옥산/n-헵탄과 같은 3종류의 혼합용매 계에 녹인 뒤 온도 상승에 따른 사슬의 팽창거동을 Flory $\Theta$온도 이상에서 점성도법으로 측정하였다. 온도 상승에 따라 두 종류의 영역, 즉 고분자 사슬이 팽창하는 영역과 수축하는 영역으로 구별되며, 분자량이 클수록 최대팽창온도가 높게 나타났다. 하나의 혼합용매 계 내에서는 $\tau/\tau_c$ 파라미터로 서로 다른 분자량의 사슬 팽창에 대하여 만능성이 나타나지만 서로 다른 혼합용매 계 사이에서는 각각의 기울기를 보임으로써 만능성이 관찰되지 않았다. 그러나 새로운 실험적 $b^{2/3}\tau/\tau_c$ 파라미터를 도입할 경우 모든 혼합용매 계의 사슬 팽창의 데이터들은 하나의 직선 위에 놓임으로써 만능성은 다시 회복되었다. 여기서 $\tau$$(T-\Theta)/\Theta$$\tau_c$$(\Theta-T_c)/T_c$로 각각 정의되며, $T_c$는 임계용액온도를 의미하며, b는 Schultz-Flory 식에서 $1/T_c$$1/M_w^{1/2}$에 대한 유효 기울기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expansion behavior of polystyrene (PS) chains with various molecular weights has been investigated above Flory $\Theta$temperature by viscometry after dissolving in the three different mixed solvents systems such as benzene/n-heptane, 1,4-dioxane/isopropanol, and 1,4-dioxane/n-heptan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만능성의 상실은 척도화 상수 차이에서 오는 것이 아니라 보다 근본적인 원인에서 오는 것으로 생각된다. 앞에서도 언급하였듯이의 "slope”이 #에 비례함을 이용하여 우리는 새로운 만능파라미터를 제안하고자 한다. 즉 # 대신 #를 이용하는 것이다.
  • 의 함수로 주어진다. 따라서 만능성의 상실이 각기 다른 혼합용매계의 # 값의 차이에서 오는지를 살펴보았다. 우선 각각의 혼합용매계의 Flory & 온도에서의 값을 광산란으로 새로 측정하는 대신 이미 0 온도에서 측정된 고유점성도 # 값으로부터 위의 척도화(scaling) 상수 값을 예측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polystyrene/dioxane/nheptane, polystyrene/ benzene-heptane과 polystyrene/1, 4-dioxane/isopropanol 의 3가지 혼합용매 계에서 온도변화에 따른 고분자 사슬의 팽창 거동을 조사하였다. 이때 단일용매 계에서 만능성을 보여 주는 4 파라미터를 가지고 혼합용매 계의 고분자 사슬의 팽창 거동에 대하여서도 적용가능한 지를 조사한 결과 0 온도 이상에서의 PS/혼합용매 계는 PS/단일용매 계와 달리 팽창 영역과 수축 영역2로 구별되며, 실험의 주요 결론은 다음과 같다.
  • 이때 연구 대상의 고분자로써 폴리스티렌을 선정하였는데 그 이유는 첫째, 단분산성이며 M)6 g/mol 이상의 고분자량의 시료를 쉽게 구할 수 있으며, 둘째로 0 온도 부근에서의 팽창 거동에 대한 많은 문헌 자료가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혼합용매로써 벤젠/헵탄(benzene/n- heptane;Bz/Hep), 다이옥산/이소프로판올(1, 4-dioxane/isopro- panol;DioAsop), 그리고 다이옥산/헵탄(1, 4-dioxane/heptane; Dio/Hep) 의 3종류의 혼합용매 계를 선택하여 고분자 사슬의 팽창에 대해 알아보았다. 여기서 혼합용매를 표기할때 먼저 기재된 용매는 폴리스티렌에 대하여 좋은 용매(good solvent)이고, 뒤에 기재된 용매는 반용매 (non-solvent) 임을 밝혀둔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기존의 모든 연구에서는 단일 용매가 사용되 었는데 만일 혼합 용매계가 사용될 경우에도 고분자 사슬의 팽창을 # 파라미터로 기술할 수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때 연구 대상의 고분자로써 폴리스티렌을 선정하였는데 그 이유는 첫째, 단분산성이며 M)6 g/mol 이상의 고분자량의 시료를 쉽게 구할 수 있으며, 둘째로 0 온도 부근에서의 팽창 거동에 대한 많은 문헌 자료가 있기 때문이다.

가설 설정

  • 이때 관찰된 중요한 새로운 사실들은 다음과 같다. (i) 같은계에서는 분자량이 클수록 온도 상승에 따른 팽창도가 더 크다. (ii)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고분자 사슬의 크기는 계속 팽창하다가 일정온도를 넘어서면 수축하기 시작한다는 것이다.
  • (i) 같은계에서는 분자량이 클수록 온도 상승에 따른 팽창도가 더 크다. (ii)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고분자 사슬의 크기는 계속 팽창하다가 일정온도를 넘어서면 수축하기 시작한다는 것이다. 이때 사슬이 최대로 팽창이 일어나는 온도 즉 최대팽창온도 #는 대략 PS/ Dio/Hep 계에서는 대략 50 ℃, PS/Bz/Hep계에서는 65 ℃, PS/Dio/Isop계에서는 75 ℃ 부근에서 나타났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J. P. Flory, Principles of Polymer Chemistry, Cornell University, Ithaca, NY, 1953 

  2. H. Yamakawa, Modern Theory of Polymer Solutions, Harper & Row, New York, 1971 

  3. P.-G. de Gennes, Scaling Concepts in Polymer Physics, Cornell University, Ithaca, NY, 1979 

  4. I. H. Park, J.-H. Kim, and T. Chang, Macromolecules, 25, 7300 (1992) 

  5. I. H. Park, Macromolecules, 27, 5517 (1994) 

  6. I. H. Park, Macromolecules, 31, 3142 (1998) 

  7. I. H. Park and M. J. Kim, Polymer(Korea), 22, 121 (1998) 

  8. I. H. Park, Y. C. Kim, and L. Yun, Polymer(Korea), 27, 255 (2003) 

  9. P.-G. de Gennes, J. Phys. Lett., 36, L55 (1975) 

  10. P.-G. de Gennes, J. Phys. Lett., 39, L299 (1978) 

  11. I. C. Sanchez, Macromolecules, 12, 980 (1979) 

  12. I. C. Sanchez, Macromolecules, 17, 967 (1984) 

  13. B. Farmoux, F. Boue, J. P. Cotton, M. Daoud, G. Jannink, M. Nierlich, and P.-G. de Gennes, J. Phys. Fr., 39, 77 (1978) 

  14. A. Z. Ackasu and C. C. Han, Macromolecules, 12, 276 (1979) 

  15. A. Z. Ackasu, M. Benmouna, and S. Alkhafaji, Macromolecules, 14, 147 (1981) 

  16. J. Francois, T. Schwartz, and G. Weill, Macromolecules, 13, 564 (1980) 

  17. Y. Oono and M Konomoto, J. Chem. Phys., 78, 520 (1983) 

  18. J. F. Douglas and K. F. Freed, Macromolecules, 17, 2344 (1984) 

  19. J. F. Douglas and K. F. Freed, Macromolecules, 17, 1854 (1984); 17, 2354 (1984) 

  20. J. F. Douglas, J. Roovers, and K. F. Freed, Macromolecules, 23, 4168 (1990) 

  21. A. Dondos, Polymer, 33, 4375 (1992) 

  22. A. Dondos, Macromolecules, 26, 3966 (1993) 

  23. B. Chu, Z. Wang, I. H. Park, and A. Tontixakis, Rev. Sci. lnstrum., 60, 1303 (1989) 

  24. B. Chu and Z. Wang, Macromolecules, 21, 2283 (1988) 

  25. B. Chu and Z. Wang, Macromolecules, 22, 380 (1989)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