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체외순환을 이용한 선천성 심장수술 후에 시행한 복막투석이 내피의존성 혈관 활성 물질인 Endothelin-1을 제거할 수 있는가?
Can Peritoneal Dialysis Remove Endothelin-1 after Cardiopulmonary Bypass for Repair of Congenital Heart Disease? 원문보기

大韓胸部外科學會誌 = The Korean journal of thoracic and cardiovascular surgery, v.40 no.4 = no.273, 2007년, pp.247 - 255  

장윤희 (부산대학교 의과대학 흉부외과학교실) ,  반지은 (부산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이형두 (부산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이선희 (부산대학교 의과대학 약리학교실) ,  임병용 (부산대학교 의과대학 약리학교실) ,  성시찬 (부산대학교 의과대학 흉부외과학교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배경: 일반적으로 선천성 심장질환의 수술교정에는 체외 심폐 순환(체외순환)이 이용된다. 체외순환과 관련된 폐손상이 잘 알려져 있는데, 임상적으로 산소화의 저하, 폐유순도의 감소, 폐혈관의 저항과 반응성의 증가의 소견을 보이며 수술 후 합병증 및 사망의 중요한 원인이 된다. 이러한 폐손상의 원인은 보체의 할성화, 호중구의 축적, 산소라디칼손상을 포함하여 아주 다양하지만, 폐혈관 내피의 손상과 그에 의한 endothelin-1 발현의 변화가 주된 원인이라고 보고되고 있다. 저자들은 복막 투석이 혈장 endothelin-1의 제거에 기여할 수 있는지 여부에 대한 연구를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5년 3월 부터 2006년 3월 사이에 18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혈장 검체는 수술 전후로 채취하였고, 수술 후 복막 투석 카테터를 삽입하여 체외순환 이탈 후의 복막 유출액 검체를 채취하였다. Endothelin-1의 농도측정은 ELISA (enzyme Linked Immunosorbent assay)로 시행하였다. 결과: 술 전에 측정된 endothelin-1 값이 술 전 폐혈류 혹은 폐동맥압의 증가의 진단을 가진 환아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4.2 vs 1.8 pg/mL, p<0.001). 수술 전 혈장 endothelin-1의 평균 농도는 $3.61{\pm}2.17pg/mL$이었고, 체외순환 이탈 직후는 $5.33{\pm}3.72 pg/mL$로 가장 높게 측정되었다. 복막 투석 시작 후, 농도는 감소하기 시작하여 체외순환 이탈 직후에 비해 18시간째에는 유의하게 낮은 농도를 나타내었다(p=0.036). 결론: 혈장 endothelin-1 농도가 체외순환 이탈 직후에 가장 높게 측정되었고, 복막 투석 후 감소하기 시작하는 소견은 복막 투석으로 혈장 endothelin-1이 제거될 수 있는 가능성을 강하게 시사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ackground: Lung injury that follows bypass has been well described. It is manifested as reduced oxygenation and lung compliance and, most importantly, increased pulmonary vascular resistance reactivity; this is a known cause of morbidity and mortality after repair of congenital heart disease. Inju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선천성 심장기형의 수술에서 체외순환 후에 복막 유출액과 혈장에서 ET-1의 농도를 비교 분석한 최초의 연구이다. 복막 투석을 통해 염증을 유발하는 싸이토카인(cytokine)의 제거는 이미 산발적으로 보고된 바가 있으나, 수술 후 ET-1 제거에 대한 연구는 단지 고식적 혹은 변형 초여과법 (conventional or modified ultrafiltration)에 관련되어 있을 뿐이다.
  • 위에서 언급한 것처럼, 소아 심장 수술에서 수술 후 사망 및 이환을 초래하는 중요한 원인 중의 하나가 폐혈관 저항 및 반응성의 증가이고 이것에 기여하는 주된 원인으로써 술 전에 이미 존재하였던 내피세포의 손상과 체외순환 중에 생긴 폐손상으로 인한 ET-1의 생산과 ET-1 수용체 발현의 증가가 중요함이 밝혀졌다. 이러한 근거에 바탕을 두고 복막 유출액에서의 ET-1 의 농도와 혈장에서의 농도측정에 관한 연구를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해석하기 위해 체외순환을 이용한 선천성 심장수술 후의 ET-1의 시간에 따른 혈장 농도의 변화를 기술한 Hiramatsu 등[28]의 연구를 제시하면, 이들은 환자군을(1군) 폐혈류의 및 폐동맥압의 심한 증가가 있는 환자군, (2군) 폐혈류의 심한 증가와 경도의 폐동맥압의 증가가 있는 환자군, (3군) 경도의 폐혈류의 증가와 정상 폐동맥압을 가진 환자군으로 구분하여 체외순환 전, 순환 중, 순환 후의 혈장 ET-1의 농도를 비교, 분석하였다.
  • 복막 투석은 이미 수술 후 증가된 간질의 수분과 신체에 여러 종류의 싸이토카인 (cytokine)을 제거함으로써 술 후 경과를 향상시키는데 기여함이 입증되었지만(3), 폐혈관 저항의 증가에 직접적으로 작용하는 ET-1에 대한 복막 투석의 효과는 지금까지 알려진 바가 없다. 이에 저자는 선천성 심장 수술의 심폐기를 이용한 수술교정술 후에 복막 투석으로 혈장 ET-lo] 제거될 수 있는지 여부에 대한 연구를 시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Yanagisawa M, Kurihara H, Kimura S, et al. A novel potent vasoconstrictor peptide produced by vascular endothelial cells. Nature 1988;332:411-5 

  2. Pearl JM, Manning PB, McNamara JL, Saucier MM, Thomas DW. Effect of modified ultrafiltration on plasma thromboxane B2, leukotriene B4, and endothelin-1 in infants undergoing cardiopulmonary bypass. Ann Thorac Surg 1999;68:1369-75 

  3. Bokesch PM, Kapural MB, Mossad EB, et al. Do peritoneal catheters remove pro-inflammatory cytokines after cardiopulmonary bypass in neonates? Ann Thorac Surg 2000;70:639-43 

  4. La M, Reid JJ. Endothelin-1 and the regulation of vascular tone. Clin Exp Pharmacol Physiol 1995;22:315-23 

  5. Fagan KA, McMurtry IF, Rodman DM. Role of endothelin-1 in lung disease. Respir Res 2001;2:90-101 

  6. Wong J, Vanderford PA, Winters J, Soifer SJ, Fineman JR. Endothelinb receptor agonists produce pulmonary vasodilation in intact newborn lambs with pulmonary hypertension. J Cardiovasc Pharmacol 1995;25:207-15 

  7. Wong J, Vanderford PA, Fineman JR, Soifer SJ. Developmental effects of endothelin-1 on the pulmonary circulation in sheep. Pediatr Res 1994;36:394-401 

  8. Ruwhof C, van der Laarse A. Mechanical stress-induced cardiac hypertrophy: mechanisms and signal transduction pathways. Cardiovasc Res 2000;47:23-37 

  9. Burrows FA, Klinck JR, Rabinovitch M, Bohn DJ. Pulmonary hypertension in children: perioperative management. Can Anaesth Soc J 1986;33:606-28 

  10. Yoshibayashi M, Nishioka K, Nakao K, et al. Plasma endothelin concentrations in patients with pulmonary hypertension associated with congenital heart defects. Evidence for increased production of endothelin in pulmonary circulation. Circulation 1991;84:2280-5 

  11. Ishikawa S, Miyauchi T, Ueno H, et al. Influence of pulmonary blood pressure and flow on endothelin-1 production in humans. J Cardiovasc Pharmacol 1995;26(Suppl 3):S429-33 

  12. Wheller J, George BL, Mulder DG, Jarmakani JM. Diagnosis and management of postoperative pulmonary hypertensive crisis. Circulation 1979;60:1640-4 

  13. Dschietzig T, Richter C, Bartsch C, et al. Flow-induced pressure differentially regulates endothelin-1, urotensin II, adrenomedullin, and relaxin in pulmonary vascular endothelium. Biochem Biophys Res Commun 2001;289:245-51 

  14. Reddy VM, Meyrick B, Wong J, et al. In utero placement of aortopulmonary shunts. A model of postnatal pulmonary hypertension with increased pulmonary blood flow in lambs. Circulation 1995;92:606-13 

  15. Ovadia B, Reinhartz O, Fitzgerald R, et al. Alterations in ET-1, not nitric oxide, in 1-week-old lambs with increased pulmonary blood flow. Am J Physiol Heart Circ Physiol 2003;284:H480-90 

  16. Black SM, Bekker JM, Johengen MJ, Parry AJ, Soifer SJ, Fineman JR. Altered regulation of the ET-1 cascade in lambs with increased pulmonary blood flow and pulmonary hypertension. Pediatr Res 2000;47:97-106 

  17. Black SM, Mata-Greenwood E, Dettman RW, et al. Emergence of smooth muscle cell endothelin B-mediated vasoconstriction in lambs with experimental congenital heart disease and increased pulmonary blood flow. Circulation 2003;108:1646-54 

  18. Shafique T, Johnson RG, Dai HB, Weintraub RM, Sellke FW. Altered pulmonary microvascular reactivity after total cardiopulmonary bypass. J Thorac Cardiovasc Surg 1993;106:479-86 

  19. Pearl JM, Wellmann SA, McNamara JL, et al. Bosentan prevents hypoxia-reoxygenation-induced pulmonary hypertension and improves pulmonary function. Ann Thorac Surg 1999;68:1714-21 

  20. Carteaux JP, Roux S, Siaghy M, et al. Acute pulmonary hypertension after cardiopulmonary bypass in pig: the role of endogenous endothelin. Eur J Cardiothorac Surg 1999;15:346-52 

  21. Komai H, Adatia IT, Elliott MJ, de Leval MR, Haworth SG. Increased plasma levels of endothelin-1 after cardiopulmonary bypass in patients with pulmonary hypertension and congenital heart disease. J Thorac Cardiovasc Surg 1993;106:473-8 

  22. Pernow J, Wang QD. Endothelin in myocardial ischaemia and reperfusion. Cardiovasc Res 1997;33:518-26 

  23. Takanashi M, Endoh M. Characterization of positive inotropic effect of endothelin on mammalian ventricular myocardium. Am J Physiol 1991;261:H611-9 

  24. Petrossian E, Parry AJ, Reddy VM, et al. Endothelin receptor blockade prevents the rise in pulmonary vascular resistance after cardiopulmonary bypass in lambs with increased pulmonary blood flow. J Thorac Cardiovasc Surg 1999;117:314-23 

  25. Reddy VM, Hendricks-Munoz KD, Rajasinghe HA, Petrossian E, Hanley FL, Fineman JR. Post-cardiopulmonary bypass pulmonary hypertension in lambs with increased pulmonary blood flow. A role for endothelin 1. Circulation 1997;95:1054-61 

  26. Miyauchi T, Yorikane R, Sakai S, et al. Contribution of endogenous endothelin-1 to the progression of cardiopulmonary alterations in rats with monocrotaline-induced pulmonary hypertension. Circ Res 1993;73:887-97 

  27. Schulz-Neick I, Li J, Reader JA, Shekerdemian L, Redington AN, Penny DJ. The endothelin antagonist BQ 123 reduces pulmonary vascular resistance after surgical intervention for congenital heart disease. J Thorac Cardiovasc Surg 2002;124:435-41 

  28. Hiramatsu T, Imai Y, Takanashi Y, et al. Time course of endothelin-1 and nitrate anion levels after cardiopulmonary bypass in congenital heart defects. Ann Thorac Surg 1997;63:648-5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