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기능적 단심설에서 공통방실판 역류의 판막성형술; 판막 이분성형술(bivalvation)의 조기 및 중기 결과
Bivalvation Valvuloplasty for Common Atrioventricular Valve Regurgitation in Functional Single Ventricle; Early and Mid-term Results 원문보기

大韓胸部外科學會誌 = The Korean journal of thoracic and cardiovascular surgery, v.42 no.5 = no.292, 2009년, pp.597 - 603  

장윤희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흉부외과학교실) ,  성시찬 (부산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흉부외과학교실) ,  김선희 (부산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흉부외과학교실) ,  이형두 (부산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소아과학교실) ,  반지은 (부산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소아과학교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배경: 기능적 단심 실에서 방실판막 폐쇄부전은 폰탄수술 후 사망과 그 만기성적의 중요한 위험인자로 알려져 있다. 단심실의 공통방실판 페쇄부전에 대한 이분성형술(bivavaltion valvuloplasty)의 중단기 성적을 조사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9년부터 2007년까지 판막 이분성형술을 시행한 기능적 단심실 환자 1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공통방실판 역류의 정도는 color Doppler 심초음파로 결정하였다 (경미(trivial); 1, 경도(mild); 2, 중등도(moderate); 3, 고도(severe); 4). 판막 수술 당시 평균 나이는 생후 $6.9{\pm}7.0$개월(중간 값 4개월, 범위 24일$\sim$21개월)이었고 평균 체중은 $6.2{\pm}2.8\;kg$ (범위: $3.1{\sim}11.3\;kg$)이었다. 9명의 환자가 심방이형증(atrial isomerism)을 갖고 있었으며 이 중 두 명은 총폐정맥연결 이상을 동반하였다. 1예를 제외한 모든 예에서 동시에 다른 수술이 함께 시행되었다. 판막 이분성형술 이외에 같이 시행된 판막 술식은 3예에서 교련봉합술, 또 다른 3예에서 교련부 판륜성형술을 시행하였다. 결과: 병원사망이 1예 있었는데 술 전 인공호흡이 필요하였던 생후 32일된 환아로, 폐동맥교약술과 함께 판막 이분성형술을 시행한 후 4.3개월에 기도와 폐 질환으로 사망하였다. 평균 추적기간은 40개월(범위: $4.3{\sim}114$개월)이었다. 평균 수술 전 공통방실판 역류는 $3.3{\pm}0.6$이었고 이는 수슬 후 $1.9{\pm}0.7$로 개선되었다(p<0.0001). 이 잔존 역류는 평균 14.3개월 후 $2.2{\pm}0.4$로 조금 증가하였으나 통계학적 유의성은 없었다. 6명(60%)의 환아에서 잔존 역류로 인해 양방성 상공정맥-폐동맥 단락술이나 폰탄수술 시에 판막에 대한 재수술이 필요하였다. 1예는 우측 방실판막에 엡스타인기형 형태를 갖고 있었던 환아로 방실판 협착 및 역류로 인해 판막치 환술을 시행하였다. 다른 1명의 환아는 우측 방실판막에 가장자리 봉합술(edge-to-edge technique)을 시행하였으며 나머지 4명의 환아에게는 전후 브리징판엽(bridging leaflet)사이에 봉합을 추가하였다. 모든 환자에서 마지막 추적 초음파에서 경미 혹은 경도의 역류를 보였다. 결론: 기능적 단심실의 공통판막 역류에서 판막 이분성형 술은 효과적이고 안전한 술식이다. 그러나 많은 환자에서 잔존 역류를 가지고 있었으며 반수 이상의 환자에서 다음 단계의 수술에서 판막의 재수술이 필요하다 공통판 역류의 진행에 대한 장기적 추적조사가 꼭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ackground: Atrioventricular valve regurgitation in pediatric patients with a functional single ventricles (FSV) - has been known as one of the important risk factors for death and unfavorable long-term results after a Fontan operation. We evaluated early and mid-term results of bivalvation valvulop...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2). 1예는 엡스타인 기형 형태의 우측 방실판막을 갖고 있었던 환아로 공통 방실판 협착 및 역류로 인해 판막치환술을 시행하였다. 다른 1명의 환아는 우측 벽판엽 (right mural leaflet)과 문합 된 상하 브리징판엽 사이에 가장자리 봉합술(edge-to-edge techique)을 시행하였다.
  • Ando 등[9]은 기능적 단심실 환자에서 공통판 및 삼첨판 역류를 판막 가장자리 봉합법 (edge-to-edge repair) 으로 교정한 22예의 성적을 보고하였는데 공통판 역류에 대한 수술이 17예였다. 1예를 제외한 나머지 16예는 브리징판엽을 서로 문합하고 역류가 있는 교련부를 봉합하는 수술수기를 적용하였으며 1예에서만 브리징판엽 문합과 함께 원형 판륜성형술(circular type annuloplasty)을 시행하였다. 이들은 가장자리 봉합법으로 교정한 22예를 가장자리 봉합법이 아닌 다른 방법으로 교정한 27예와 비교하였는데 가장자리 봉합법으로 교정한 군이 수술 전 역류의 정도는 더 심하였으나 수술 후경도 그 이하로 유지되는 환자의 빈도가 더 높은 경향을 보였다고 하였다.
  • 1예는 엡스타인 기형 형태의 우측 방실판막을 갖고 있었던 환아로 공통 방실판 협착 및 역류로 인해 판막치환술을 시행하였다. 다른 1명의 환아는 우측 벽판엽 (right mural leaflet)과 문합 된 상하 브리징판엽 사이에 가장자리 봉합술(edge-to-edge techique)을 시행하였다. 나머지 4명의 환아에게는 브리징판엽 사이에 봉합을 추가하였으며 이 중 2명에서는 교련 부 판륜성형술이 추가되었다.
  • 나머지 1예는 판막 이분성형술만 시행되었다. 모두 4명의 환아에서 판막수술 전 각종 수술이 시행되었는데 2명에서는 체폐동맥단락술이, 나머지 2명에서는 각각 총폐정 맥연결이상 교정 술과 폐동맥 교약술, 총폐정 맥 연결 이상 교정술과 양방성 상공정맥-폐동맥단락술(타 병원) 이 각각 시행되었다(Table 3). 공통판막의 형태는 9명에서 전형적인 완전 방실판막의 구조를 보였고, 1예는 좌측 상부 브리징판엽 (left superior bridging leaflet)에 부유입구 (accessory orifice)가 있었으며, 1예는 작은 우측 공통판막 이 엡스탄인기형 (Ebstein anomaly)와 같은 구조를 보여 판막이 우심실 벽에 하방으로 부착되어 있었다(Table 4).
  • 보고하였다. 모든 환자가 심방이형증을 갖고 있었으며 9명의 환자는 반원형 판륜성형 (semicircular annulo- plasty)을, 나머지 9예는 판막 이분성형술을 시행하였다. 모두 7명에서 공통판 역류로 인한 재수술이 필요하였으며 2세 이하에서 수술한 환자와 체폐동맥단락술을 시행한 환자에서 역류가 악화되는 빈도가 높았다고 했으며 판륜성형술만 했던 환자에서 2년 후 무사고율(event free rate)이 낮았다고 하였다.
  • 수술방법은 모두 심정지 상태에서 찬 생리 식염수를 심실에 채워 상부 브리징판엽 (superior bridging leaflet)과 하부 브리 징판엽 (inferior bridging leaflet)의 접촉부위 (coaptation site)를 확인한 뒤 이 두 판엽을 Gore-Tex 봉합사를 이용하여 단속봉합으로 완전히 봉합하였다. 이 봉합선의 양쪽 가장 자리는 작은 심낭편을 이용하여 버팀봉합(but- messed suture)을 하였다.
  • 32일된 단심실(Double inlet LV) 및 우심방이형증의 환아로 심한 공통판막 역류가 있었으며 수술 전 인공호흡에 의존하고 있었던 환아였다. 수술은 공통방실판에 대한 판막 이분성형술을 시행하였으며 수술 후 기관 삽관을 제거 할 수 있었으나 상기도감염으로 인해 다시 기관 삽관이 필요하였고 수술 3.5개월 후에 기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대동맥의 전방 고정술을 시행하였다. 수술 후 3.
  • 단속봉합으로 완전히 봉합하였다. 이 봉합선의 양쪽 가장 자리는 작은 심낭편을 이용하여 버팀봉합(but- messed suture)을 하였다. 이분성형술을 시행한 후 다시 냉각 식염수를 이용하여 다시 판막의 누출을 조사하고 양쪽 판막 구의 중앙부에서 누출이 있을 때는 해당 쪽 교련 (commissure) 부위의 판륜을 수평 매트리스봉합(horizontal mattress suture)으로 좁혀주는 교련부 판륜성형 술(commissural annuloplasty)을 시행하였고(3예), 교련부에서 직접누출이 있을 경우는 해당 교련부를 완전히 ^^(commissural closure) 하였다(3예)(Fig.
  • 재수술 환자 6명 중 1명에서 폰탄수술시 판막에 대한 3차수술이 시행되었는데 교련 봉합술(commissural closure)을 시행하였다. 이 환아는 심한공통판 역류를 동반한 담심실(double inlet right ventricle) 과우심방이형증을 갖고 있었던 환아로 생후 4.7개월 때 동맥교약술과 공통판 이분성형술을 시행하였고 수술 직후 초음파에서 경도로 호전되었으나 사간이 감에 따라 중등도로 역류가 증가되어 생후 20개월에 2차 수술인 Da- mus-Kaye-Stansel 술식 및 양방성 상공정맥폐동맥문합술과함께 공통판막에 대한 2차 수술을 하였으며 이때 우측 벽판엽 (right mural leaflet)과 문합된 상하 브리징판엽 사이에 가장자리 봉합술(edge-to-edge techique)을 시행하였고 다시 공통 판막 역류가 경도로 호전되었다. 이후 생후 33개월에폰탄수술시 초음파 검사에서 공통판 역류가 경도-중등도로 조금 증가되어 폰탄수술시 교련봉합술(commissural clo- sure)을 시행하였고 마지막 초음파 소견에서는 경미한 (trivial) 정도의 역류를 보이고 있다.
  • 이 봉합선의 양쪽 가장 자리는 작은 심낭편을 이용하여 버팀봉합(but- messed suture)을 하였다. 이분성형술을 시행한 후 다시 냉각 식염수를 이용하여 다시 판막의 누출을 조사하고 양쪽 판막 구의 중앙부에서 누출이 있을 때는 해당 쪽 교련 (commissure) 부위의 판륜을 수평 매트리스봉합(horizontal mattress suture)으로 좁혀주는 교련부 판륜성형 술(commissural annuloplasty)을 시행하였고(3예), 교련부에서 직접누출이 있을 경우는 해당 교련부를 완전히 ^^(commissural closure) 하였다(3예)(Fig. 1).
  • 나머지 4명의 환아에게는 브리징판엽 사이에 봉합을 추가하였으며 이 중 2명에서는 교련 부 판륜성형술이 추가되었다. 재수술 환자 6명 중 1명에서 폰탄수술시 판막에 대한 3차수술이 시행되었는데 교련 봉합술(commissural closure)을 시행하였다. 이 환아는 심한공통판 역류를 동반한 담심실(double inlet right ventricle) 과우심방이형증을 갖고 있었던 환아로 생후 4.
  • ,uloplasty)은 1994년 Oku 등[기에 의해 우심방이형증(right atrial isomerism)과 기능적 단심실을 갖고있는 6세 남아에서 공통방실판 성형술의한 방법으로서 소개된 후로 다른 외과의들에 의해서도 좋은 결과가 소개되어져 왔다[8-10]. 저자들은 지난 8년간 기능적 단심실에서 공통판 폐쇄부전증을 판막 이분성형술을 적용하여 왔으며 이의 중단기 성적을 평가하였다.

대상 데이터

  • 1999년부터 2007년까지 공통방실판을 갖고 있는 기능적 단심실에서 판막 이분성형술을 적용한 11명의 환아를 대상으로 하였다. 판막수술 당시의 환아의 평균나이는 6.
  • 그러나 1명을 제외한 전환자에서 2차 수술에서도 비교적 간단한 술식 즉 상하 브리징판엽 사이에 추가 봉합, 교련봉합, 교련부 판륜성형술 등으로 역류를 줄일 수가 있었다. 1명의 환아에서 판막 대치 술이 필요하였는데, 이 환아는 작은 우심실을 갖고 있었고 우측 공통 판막의 벽측판엽과 우측하부 브리 징판엽의 일부가 우심실 벽에 붙어있는 Ebstein기형과 비슷한 판막구조를 갖고 있었다. 공통판막의 상하 브리징판엽 사이에서 역류가 주로 발생하고 있었으므로 판막 이분성형술이 가장 효과적인 방법으로 생각하여 시행하였다.
  • 1예에서 병원사망이 발생하였다. 32일된 단심실(Double inlet LV) 및 우심방이형증의 환아로 심한 공통판막 역류가 있었으며 수술 전 인공호흡에 의존하고 있었던 환아였다. 수술은 공통방실판에 대한 판막 이분성형술을 시행하였으며 수술 후 기관 삽관을 제거 할 수 있었으나 상기도감염으로 인해 다시 기관 삽관이 필요하였고 수술 3.
  • 모두 4명의 환아에서 판막수술 전 각종 수술이 시행되었는데 2명에서는 체폐동맥단락술이, 나머지 2명에서는 각각 총폐정 맥연결이상 교정 술과 폐동맥 교약술, 총폐정 맥 연결 이상 교정술과 양방성 상공정맥-폐동맥단락술(타 병원) 이 각각 시행되었다(Table 3). 공통판막의 형태는 9명에서 전형적인 완전 방실판막의 구조를 보였고, 1예는 좌측 상부 브리징판엽 (left superior bridging leaflet)에 부유입구 (accessory orifice)가 있었으며, 1예는 작은 우측 공통판막 이 엡스탄인기형 (Ebstein anomaly)와 같은 구조를 보여 판막이 우심실 벽에 하방으로 부착되어 있었다(Table 4).
  • 이 환아는 추가적인 판막 수술 없이 폰탄수술을 마쳤으며 최근 초음파소견상 경도의 방실판 역류를 보이고 있다. 이 환아를 포함한 5예가 생후 3개월 이내의 영아였고 3예가 생후 4개월에서 12개월 사이, 나머지 3예가 1세 이상이었다. Ando 등[9]은 기능적 단심실 환자에서 공통판 및 삼첨판 역류를 판막 가장자리 봉합법 (edge-to-edge repair)과 비가장자리 봉합법 (non-edge-to- edge repair, 대부분 원형 혹은 반원형 판륜축소술)을 이용해 교정한 49예의 성적을 보고하였는데 가장자리 봉합법을 적용한 22명의 환자의 평균나이는 3.

데이터처리

  • 모든 평균은 mean±SD로 표현하였고 평균의 차이는 MedCalc version 7.0 (MedCalc Software bvba, Belgium) pro- gram을 이용하여 T-검정을 하였으며 p<0.05일 때를 의미 있는 것으로 간주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1)

  1. Knott-Craig CJ, Danielson GK, Schaff HV, Puga FJ, Weaver AL, Driscoll DJ. The modified Fontan operation. An analysis od risk factors for early postoperative death or takedown in 702 consecutive patients from one institution. J Thorac Cardiovasc Surg 1995;109:1237-43 

  2. Stamm C, Friehs I, Mayer JEJ, et al. Long-term results of the lateral tunnel Fontan. J Thorac Cardiovasc Surg 2002; 121:28-41 

  3. Uemura H, Yagihara T, Kawashima Y, et al. What factors affect ventricular performance after a Fontan-type operation? J Thorac Cardiovasc Surg 1995;110:405-15 

  4. Mahle WT, Cohen MS, Spray TL, Rychik J. Atriventricular valve regurgitation in patients with single ventricle: impact of the bidirectional cavopulmonary anastomosis. Ann Thorac Surg 2001;72:831-5 

  5. Okita Y, Miki S, Kusuhara K, et al. Annuloplastic reconstruction for common atrioventricular valvular regurgitation in right isomerism. Ann Thorac Surg 1989;47:302-4 

  6. Imai Y, Seo K, Terada M, et al. Valvular repair for atrioventricular regurgitation in complex anomalies in modified Fontan procedure with reference to a single ventricle associated with a common atrioventricular valve. Semin Thorac Cardiovasc Surg Pediatr Card Surg Annu 1999;2:5-19 

  7. Oku H, Iemura J, Kitayama H, Saga T, Shirotani H. Bivalvation with briding for common atrioventricular valve regurgitation in right isomerism. Ann Thorac Surg 1994;57:1324-6 

  8. Kado H, Shiokawa Y, Asou T, et al. Surgical results of valvuloplasty for common atrioventricular valve regurgitation in single ventricle. Kyobu Geka 1995;48:606-10 

  9. Ando M, Takahashi Y. Edge-to-edge repair of common atrioventicular or tricuspid valve in patients with functionally single ventricle. Ann Thorac Surg 2007;84:1571-7 

  10. van Son JAM, Walther T, Mohr FW. Patch augmentation of regurgitant common atrioventricular valve in univentricular physiology. Ann Thorac Surg 1997;64:508-10 

  11. Sapire DW, Ho SY, Anderson RH, Rigby ML. Diagnosis and significance of atrial isomerism. Am J Cardiol 1986;58: 342-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